자유게시판


나이가 든다는 것

2011.01.27 02:22

노랑잠수함 조회:865 추천:3

쪼금 깁니다. 스크롤이 짜증나실 수도...^^

====================================================================

마흔 다섯...

마흔 다섯 해를 살아왔다는 이야기이고, 갑작스런 문제만 생기지 않는다면 앞으로도 스무해 이상 더 살 수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일 년이라는 단위를 기준으로 숫자를 쌓아가기를 마흔 다섯 번 했다는 말이다.

 

어릴 적, 그러니까 법적으로도 어른이라 대접받지 못하고 학교라는 울타리를 생활의 중심축으로 움직이던 그 때까지는 나이를 먹는다는 것에 그다지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기껏해야 대접받을 수 있는 후배들이 좀 더 늘었다는 정도?

 

군대를 제대하고 나니 비로소 나도 이제 어른인가?’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그 즈음이었을 것이다.

나이가 든다는 것이 조금은 무거울 수도 있겠다는 막연한 느낌이 들었다. 성질 급한 친구들 몇은 결혼을 했고, 몇 년 후 그 친구들이 아기라는 생명체를 안고 나타나는 모습을 보면서 나이 듦에 대해 조금씩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몇 년 후엔 아이 엄마와 헤어지고...

그 때 나는 차라리 빨리 나이를 먹었으면 좋겠다는 소망을 품기도 했다.

너무 아팠기 때문이다.

내 사람이라고 생각했고, 함께 손잡고 늙어가야 할 나의 반쪽이라고 생각했던 사람과의 이별은 그렇게 고스란히 통증을 남기고 떠나갔다.

아니, 어쩌면 내가 떠난 것일 게다.

 

그 때, 고작 다섯 살 남짓했던 딸아이는 내 손가락을 아프게 쥐고 있었다.

아이가 커가고, 초등학교에 입학을 했으며, 이제 5학년이 된다.

딸아이는 이제 제법 자란 딸이 되어 나의 말동무가 되어준다.

 

오래전 아내와 사별을 하고 홀로 딸을 키운 아빠가 딸의 결혼식을 끝내고 돌아왔는데 차마 현관문을 열지 못하고 집 주위만 서성였단다.

아무도 없는, 아니 시집간 딸의 흔적이 온통 배어 있는 집에 홀로 들어갈 용기가 나지 않아서...

무슨 뮤지컬의 줄거리라던가?

이 이야기에 나오는 아빠의 마음, 현관문조차 열지 못하는 그 속내가 이해되었고, 콧등이 찡했다.

 

얼마 전 끝난 드라마에서 사업에 망해 쫒기는 아빠에게 딸이 아빠, 죽지마. 자살같은 건 하지 말라구요...’라며 우는 장면을 보았었다.

드라마, 영화를 보며 울어본 기억이 없었던 나는 처음으로 그 장면에서 눈물을 쏟고 말았다. 딸과 둘이서 살며 보낸 지난 몇 년이 그대로 겹쳐졌다.

 

나이가 든다는 것...

우리는 나이를 먹어간다는 것에 슬픔을 느낀다. 적어도 삼십대 중후반을 넘기면서부터는 나이를 먹는다는 것이 즐겁지 않다. 생일상에 놓인 케이크도 반갑지 않고, 그 위에 불타는 초의 숫자는 케이크를 무너트릴 것 같이 무겁게 느껴진다.

 

우리는 나이를 먹어간다는 것에 공포를 느낀다. 여든을 향해 가시는 아버지는 뇌경색의 후유증으로 걸음도 느릿해졌고, 말투도 어눌해지셨다. 그럼에도 나이를 먹어가는 속도는 참 빠르게 느껴진다.

지팡이를 짚지 않으시면 바깥 외출도 힘들어하시고, 앉았다가 일어나실 때는 내 손을 잡으셔야만, 아니 내가 힘주어 잡아드려야만 겨우 일어나시는 아버지가 어찌 나이 먹는 속도는 그리도 빠르신지...

아버지는 요즘 그런 말을 하신다. ‘... 내가 어쩌다가 이렇게까지 된 건지...’

그 말끝에 항상 따라붙는 말은 이렇다. ‘이제 어쩌냐?’

 

하루 하루 시간을 보내기가 버겁고, 나이 먹는 게 두려우신 게다. 혼자서는 아무것도 할 수 없음에 힘들고, 자고 일어나면 또 어떻게 될지 공포스러우신 게다.

 

우리는 왜 나이 먹는 게 이렇게 무섭고, 어렵고, 힘든 것일까?

 

누군가 이런 말을 했다고 한다.

용기는 경험에서 나온다. 아무래 용맹한 사람도 한 번도 겪어 보지 못한 일은 무서울 수밖에 없다. 용기를 가지려면 연습을 해야 한다. 그렇게 해서 익숙해지고 나면 무서울 것이 없다.”

이 말을 듣고 고개를 끄덕였던 기억이 난다.

그래서 군대에서는 모든 전투 상황을 가정해서 부단히 훈련을 하는 것 아니겠는가?

 

나이를 먹는다는 것, 그것은 절대 연습을 할 수 없는 일이다. 제 아무리 뛰어난 능력을 가진 사람도, 철저하게 리허설을 하는 배우조차도 경험할 수 없는 것이 나이 듦이다. 서른 살 청년은 서른한 살을 경험할 수 없고, 마흔 다섯인 나는 마흔여섯을 절대 경험할 수 없다.

 

더구나 주위에 나이든 사람들조차 나에게 스승이 되지 못한다. 그들이 나이 들어가는 모습은 절대 나의 앞날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니 나이가 든다는 것은 무섭고 힘든 것일 수밖에 없다.

 

나이 드는 것이 무섭지 않은 나이는 몇 살쯤일까?

단언컨대 절대 그런 나이는 없다. 누구나 나이를 먹는 새로운 경험은 익숙해질 수 없으며, 누구나 나이 든다는 것은 새롭고 힘든 일이다.

 

그렇지 않은 척, 대범한 척, 초연한 척...

그 위선의 가면 너머에는 초조하게 진땀을 흘리며 찡그린 표정이 숨어있는 것이다.

 

어쩌면 그것이 정답일지 모르겠다.

나이를 먹는다는 것, 나이 든다는 것은 바로 그렇게 스스로의 약한 모습을 확인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 내가 별 것 아님을 인정하게 하는 과정일지도 모르겠다.

 

인간의 상상력, ‘어쩌면... 이럴지도 몰라...’라는 그 물음, 지금까지 인간 사회를 발전시키는 원동력이 되었던 바로 그 가정법이 인간으로 하여금 나이 듦에 대해 공포를 갖게 하는 원인일지도 모르겠다.

 

상상하는 것이다.

나이가 들면, 난 몸이 약해져서 혼자 제대로 걷지도 못할 거야.’

불치병에 걸려서 개고생 하다가 죽을지도 몰라.’

내 주위엔 아무도 남지 않고 혼자 쓸쓸하게 죽어 가면 어쩌지?’

 

사람이 죽을 때가 되면 마음이 고와진다고 한다. 죽음을 실감하게 되는 그 나이쯤 되면 주위를 둘러보게 되고, 가족들에게, 친지들과 친구들, 이웃들에게 친절한 사람이 된다고 한다. 인심도 쓰고 넉넉하고 인자한 사람이 된다고 한다.

어쩌면, 이것도 바로 그 나이 듦에 대한 공포 때문은 아닐까?

 

가끔 그런 생각을 할 때도 있다.

빨리 나이를 먹어서, 지금의 이 힘든 시기가 모두 지나가고, 한가로운 저녁노을을 바라보며 조용하게 지난날들을 추억하는 낮은 목소리... 그 주인공이 되고 싶다고 말이다.

 

어쩌면 그마저도 나이를 먹으며 겪게 될 힘들고 어려운 시기가 무서워서 모조리 생략하고 싶은 마음, 사실은 나이 먹는다는 것이 무서워서 매해 한 살씩 무거워지는 나이를 건너뛰고 싶은 그런 마음일지도 모른다.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나이를 먹는 것만큼 무서운 것도 없지만...

피할 수 없다면 즐기라고 했던가? 죽은 시인의 사회라는 영화에서 키팅 선생님, 우리의 캡틴께서 외쳤던 바로 그 말... 까르페디엠!

일부러 귀신의 집 체험도 하는 마당에 나이 먹는 공포도 즐기며 살 수 있으면 좋겠다.

 

뒤를 돌아보니...

서른아홉, 이를 갈며 삼십대의 아홉수를 아프게 살아낸 내 모습이 보인다. 딱 그 정도면 견딜 만 할 것 같다.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공지 [공지] 2025년 KPUG 호스팅 연장 완료 [9] KPUG 2025.08.06 17871
공지 [공지] 중간 업데이트/ 다시한번 참여에 감사 드립니다 [10] KPUG 2025.06.19 38747
공지 [안내의 글] 새로운 운영진 출범 안내드립니다. [15] 맑은하늘 2018.03.30 46769
공지 KPUG에 처음 오신 분들께 고(告)합니다 [100] iris 2011.12.14 473222
29813 대만이 온다.. 라는 유튜브를 기다리고 있습니다 [1] 왕초보 11.05 32
29812 서울 본가 TV에 별이 일곱개 생겼다고 합니다 [19] 왕초보 10.28 170
29811 34인치 모니터 질렀습니다. [13] 해색주 10.20 193
29810 이번 추석은 버라이어티 했습니다 [8] file 바보준용군 10.11 336
29809 벌써 추석이네요 [5] file 해색주 10.07 182
29808 강아지 추석빔...2 [11] file 아람이아빠 10.02 207
29807 나랏말싸미 듕국에.... [6] 인간 09.28 238
29806 강아지 추석빔.. [12] file 아람이아빠 09.21 263
29805 집을 질러야 할 것 같습니다. [5] 해색주 09.18 333
29804 테레비를 샀습니다 [17] file 바보준용군 09.11 771
29803 체력이 마이너스이구만요. [8] 해색주 09.08 353
29802 영포티는 모르겠고 [9] file 바보준용군 09.06 727
29801 영포티라고 아시나요? [11] 해색주 08.31 498
29800 그 동안 만든 것들 [8] file 아람이아빠 08.31 325
29799 kpop demon hunters [11] 왕초보 08.28 772
29798 가족의 중요성 [13] 인간 08.19 595
29797 휴가는 잘 다녀오셨나요? [20] 해색주 08.18 450
29796 오아시스 욱일기 논란 [5] 왕초보 08.15 479
29795 몇년만에 자게에 글을 쓰는 중인지 모르겠습니다. [11] Electra 08.14 402
29794 자세한건 만나서 이야기 하자. [12] 산신령 08.13 462

오늘:
302
어제:
19,677
전체:
17,944,9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