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를 무선으로 연결해 보자, 오래된 무선공유기의 재활용.
2010.03.04 14:08
최신 IPTV 셋탑박스는 무선NIC가 내장되어 있어서 이러한 방법이 필요없는지 모르겠습니다만,
우연히 IPTV를 시청하는 친지의 고민을 듣고 해결해 준 방법입니다.
문제는 간단합니다. IPTV를 시청하는데 인터넷 라인은 컴퓨터 쪽에 있는거지요.
컴퓨터쪽의 공유기에 유선으로 TV 셋탑까지 길게 이더넷 라인이 끌어와 있어 볼품도 없고, 방안에서 TV를 볼 경우 더 골아프더군요.
이 문제의 해결은 간단합니다.
IPTV 셋탑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을 연결해 주면 되는거지요.
근데 셋탑에 무선 연결을 위한 프로그램 등등이 없더군요. 유선 환경만을 감안하고 이더넷 포트만 있는 모델이라.
여기서 활용되는 것이 구형 무선공유기 또는 FON AP입니다.
가장 대표적인 모델, 링크시스 유무선 공유기...
버팔로 모델도 있고.
이렇게 생긴 이삼년전에 유행하던 포네라도 있죠
이제 이 놈들은 국내 인터넷 환경에는 적합하지 않지요. 100메가가 넘는 초고속 인터넷 환경에서는 이 공유기 처리속도가 따라가지 못해 속도저하가 나타나는 겁니다.
이 구모델을 이용해서 IPTV를 무선으로 구현하는 겁니다.
이렇게요..
외부 인터넷선 ==============> (유무선공유기) ---- 무선 ----( 위의 구형무선공유기) <============= IPTV 셋탑
이더넷 선 이더넷 선
즉 구형무선공유기의 연결 입장에서 보면
무선으로 외부 인터넷 환경에 연결되고, 이 연결을 유선 이더넷으로 릴레이 시켜주는 겁니다.
간단히 말씀드리면
일반적인 유무선 공유기가 유선WAN 포트쪽으로 인터넷 라인을 연결하고, 내부 4포트가 내부망, 무선환경도 내부망이 되는데,
무선을 인터넷 연결이 되는 외부 인터넷 라인으로 사용하고, 내부 4포트를 내부망으로 쓰는 형태가 되는 겁니다.
이를 위하여 공유기 설정에서 바꿔야 할 것은.
무선을 'AP모드'가 아니라 'client 모드'로 사용하면 됩니다.
구형 공유기에 client mode가 없다고요? 펌웨어를 바꾸면 됩니다.
등등 구형무선공유기에 펌웨어를 바꿀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사실 이 펌웨어는 링크시스의 GPL 소스코드 사용으로 링크시스의 소스 공개로 많은 유무선 공유기가 싼 가격에 폭발적으로 많아지는 여러 일련의 사건과 관계가 있습니다만, 이 이야기는 접어두지요.
FON 공유기는 위의 dd-wrt가 펌웨어를 제공하지요.
client mode 는 아래 그림을 참고하세요.
보시면 Wireless Mode 탭이 있는데 이 부분이 AP 면 일반적 유무선 공유기 역할을 하게 되는 거고,
Client mode가 되면 유무선 공유기가 마치 무선랜 어댑터 같은 역할을 하고, 무선으로 받은 패킷을 공유기의 유선망으로 주고받을 수 있게 되는 겁니다.
SSID는 외부 인터넷 선에 연결되어 있는 새 유무선공유기의 무선 SSID와 암호 등을 넣고 설정 다 하시고,
이 구형 무선공유기를 그냥 IPTV 셋탑에 이더넷 연결하고 전원만 켜면 연결이 되는 거지요.
IP 설정 등 기본적인 사항은 다 아시리라 믿습니다.
이거 응용하면 XBOX 게임기 등 이더넷으로 되어 있는 기계의 무선화에 그대로 쓸 수 있습니다.
이거 어때요? 크기도 작고 딱이죠? FON 공유기를 아는 분께서 던져줘서 있었는데, 이 용도로 딱이더군요. 크기도 작고 간단하고..
컴퓨터가 아니면서 이더넷에 연결되야 하는 물건을 무선화 하는데 모두 적용할 수 있습니다.
구형 무선공유기 펌웨어 교체로 할 수 있는 일은 정말로 많습니다. 위는 빙산의 일각일 뿐입니다.
스토리지 서버부터 터널링 게이트웨이 허브서버 등등... 다음에 시간이 나면 한번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코멘트 11
-
여진석
03.04 15:41
-
채리새우
03.04 20:59
아.. 저렇게 하면 댁내배선이 없는 건물에서 쉽게 설치가 가능하겠네요!
-
꼬마마녀
03.04 21:29
엇 그런데 저런 구형 무선 공유기의 전송속도가 IPTV 화면전송에 적합한가요?
제가 QOOK 인터넷TV 쓰는데 기존에 쓰던 iptime의 Q204 유선공유기에 연결하니까
전송속도가 모자른다면서 화면이 안나왔거든요.. 그래서 KT에서 후지게 생긴 다른 공유기 주고 갔는데...
유선도 속도를 가리는데 신기하네요 무선으로는 또 가능하다니..
속도를 가리는게 아니라 공유기를 가린것일까요.
나중에 이사가서 랜선 작업 안되어있는 아파트라면 저렇게 시도해봐야겠습니다... ^^
-
Q204가 IPTV를 못 볼만치 느린 기종은 아닙니다. KT에서 제공한 것이 아닌 공유기 사용 시 화면이 안 나오는 문제가 있었다면 Multicast routing이나 KT측 장비에서의 공유기에 대한 인증 등, 환경의 문제일 가능성이 매우 큽니다.
-
우산한박스
03.05 00:42
와! 이런 환상적인 방법이 있었다니! 감사합니다 :)
-
크론드
03.05 00:47
저도 DD-WRT의 WDS기능을 사용해서 인터넷선이 들어오는 거실과, 내방 사이의 선을 없앴죠.
대신 대역폭의 한계가 있는데 감수하며 쓰는 거죠.
요즘 유명 국산 공유기도 WDS기능정도는 다 탑재되어 나오는 모양이더라고요.
집에 있는 WRT54G가 고장만 나면 바로 신형으로 바꾸려고 벼르고 있습니다.
-
맑은샛별
03.05 03:42
유익한 정보네요. 구형 유무선 공유기의 재탄생이네요. ^^*
-
피델리티
03.05 12:32
WDS 기능을 사용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WDS 기능에서는 대역폭 손실이 큽니다.
클라이언트 모드로 사용하는 것이 대역폭상 유리합니다.
IPTV 셋탑과 XBOX 등 이렇게 연결해야 할 기기가 여러개가 되면 더 그렇고요
-
지니~★
03.09 06:42
라포네라 있는데... 한 번 시도해봐야겠습니다~
-
scotch
03.09 22:28
감사합니다. 나중에 필요할 때 다시 들려야 겠습니다 ^^
-
hl5brj
04.06 00:41
늦게 봤습니다만 꼭 필요한 내용이군요. 고맙습니다.
LG 070무선공유기도 같은 방법으로 사용할 수 있겠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