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블렛뉴스 [2014년 홍콩전자전 AP부분] Rockchip
2014.06.02 20:46
2014년 홍콩에서 부스를 마련한 Rockchip의 경우
다른업체와는 다르게 상당히 다양한 기기를 보여주었고
역시 Rockchip의 최고의 화두는 바로 Cortex A17 쿼드인 RK3288이었습니다.
작년 홍콩전자전의 Rockchip부스는 상당히 큰 규모였는데
이번에는 규모가 줄어든 대신 2층의 구조로 만들어져 있어
Buyer와의 상담은 2층에서 하게 되있었습니다.

역시 Rockchip의 부스를 제일 처음 장식하는건 바로 RK3288에 대한 광고였습니다.
King of Performace라고는 했는데 개인적으로 실연할수 있는 어플이 많이 없어서
테스트 해볼 상황은 아니었고 여기서 테스트 해봤자 어차피 엔지니어 샘플이기에

RK3288이 지속적으로 광고했던 것은 바로 H.265에 대한 지원 및 HDMI 2.0의
PCB기본 탐재기에
이부분은 보여진 데모만 가지고 확인했기에 실제 그런지에 대한 여부는 기기가 나와서
실연을 해봐야지 알수 있을듯 했습니다.

RK3288의 레퍼런스 모델은 2048X1536 레티나급 9.7인치 타블렛이었습니다.
기본 OS는 4.4.2이며 Kernel은 3.10입니다.
현재 Rockchip의 대부분의 쿼드급 AP의 경우 Kit-Kat이 들어간 상태니까
OS에 대한 부분은 4.4.2 밑으로 내려가는일은 없으리라 봅니다.

UI는 구글기본런처에 해당하는 상당히 기본적인 런처이며 탑재된 어플 역시
얼마 없었습니다.
그래서 UI Transition에 대한 부분이 설정이 안되서 이거 볼려고 직원들에게
설정해 달라고 한다음 UI Transition을 봤던니
AA31보다는 확실히 나아 보였습니다.

Rockchip에서 보여준 4K X 2K모델은 24FPS인 LG에서 UHD샘플로 썼던 동영상입니다.
헌데 이거 실연부스에서 쓸려면 LG측에 허락을 맡아야 되는데 그냥 무단으로
사용하는 듯한 느낌이었습니다.


배터리 관련부분은 체크하고 싶었긴 했는데 직원말로는 상당히 오래간다는 이야기를 했으나
이것 역시 체크 해봐야 겠습니다.
물론 언급된 내용만 따진다면 8000mAh에서 8-10시간정도 간다고 하는데
글쎄요??

이번에 가장 Rockchip에서 공세적으로 나온건 Rockchip이 생각하는 RK3288의 칩을
탑재하는 기기를 단순히 타블렛만 내는것이 아니라 셋톱박스족에도 무게가 실린걸 볼수 있었습니다.




또한 RK3288이 탑재된 15인치급의 중형 이상의 타블렛 역시 빠른 출시를 염두에 두었는지
실제 실연모델을 볼수 있었습니다.

거기에 전통적으로 Rockchip의 경우 한세대 밑의 칩들에 대한 소비를 약간 다른 방향으로
바꾸는데요.
저가형 칩들의 경우 소형기기에 대해서 적용한다는 이야기를 했습니다만
7인치급에다 RK3288을 빨리 적용하지는 않는다고 합니다.



하나 이상했던건 Rockchip이 의외로 LTE쪽에는 크게 신경을 쓰지 않는 것인지
LTE관련 타블렛은 한구석탱이에 쳐박혀 있었다는 겁니다.
즉 지금까지 Rockchip혹은 Allwinner에서 통신관련 타블렛은 한세대가
끝나갈때 기기에 탑재해서 기기를 만드는걸 봤을때 이해는 되지만
CES2014에서는 LTE에 대해서 꽤 많이 선전한걸로 기억합니다만
의외로 중국내수 및 해외시장에서 크게 어플하는 수준은 아닌듯 합니다.

RK2926/2928이 들어가는 아이들용 타블렛도 기기 적용에 하나로
출시되긴 했고
이런 타블렛들이 많은 중국회사에서 제조되고 부스를 마련했지만
개인적으로는 도저히 아이들에게 주고 싶은 생각이 들지는 않았습니다.

그리고 Rockchip역시 Smart시계에 적용되는 Chip을 만들긴 하는데
자세한 사항에 대해서는 알수도 없었고
Smart시계 자체가 구동이 안되었습니다.
실제로도 Smart 시계의 경우 목업만 전시해둔 회사가 워낙 많아서
실연이 안되기도 했으니까요.

Rockchip 부스 자체에서 선보인 게임기 패드인데
JXD나 Yinlips에 보여준 디자인보다 상당부분 떨어져서
이게 실제 유통할 모델인지 아니면 데모모델인지 감이 잡히질 않았습니다.
다만 성능이 좋다하더라도 구입하고 싶은 생각은 없었습니다.

Rockchip에서 RK3168을 탑재한 구글 글래스 형태의 기기입니다.
실착을 해봤으나 잠깐 가지고 논다라면야 크게 문제가 없겠지만
실연을 하기는 배터리 문제 및 눈에 대한 촛점과 겹쳐서 3-4분만 써도
눈이 피로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2014년 홍콩에서의 Rockchip는 어느 AP회사보다도 상당히 다채로운 기기를 많이 출시했고
적용력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하지만 RK3288외에는 크게 끌리는것 없어 보였습니다.
실모델들이 시장 장악력을 갖는 시기가 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가격과 동반한 장악력을 갖게 되면
유저들에게 상당히 매력있는 기기가 될듯 합니다.
더욱이 현재 중국 저가 AP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그나마 살아남을수 있는 업체로
예상한다면 말이죠.
만약 RK3288의 최적화가 Z373X혹은 AA80보다 뛰어나다고 한다면
유저들이 외면하지는 않을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