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렉과 PC 연결...
2012.05.15 10:27
일렉기타와 PC와 연결할 방법을 찾고 있습니다.
위 링크 댓글에 그러한 글도 있구요.
그냥 일렉기타와 PC의 마이크단자와 연결해주는 변환잭만 사서 하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다른 분은 멀티이펙터가 있어야 한다는 분도 계시네요.
일렉기타 강습도 받고 그러는 입장에서...
앰프 효과 내주는 프로그램도 있는데 ( ..);;;
어떻게 연결해야 싸게 구현할 수 있을까요? 녹음도 하고 컴퓨터 상에서 이펙트 효과도 느끼고 싶어요.
코멘트 21
-
편강
05.15 11:17
-
에고 좀 연습 하다가 또 놓고 딴짓 하다가... ㅠㅠ
전혀 안늘었어요. ㅠㅠ 아직 도레미 하는 중입니다. ㅠㅠ
근데 갑자기 공연 하라고 해서 지금 도망갈 구실 찾는 중이래요.ㅠ
일단 변환잭만 사면 된다는거죠? 함 해보겠습니다. ^^ -
편강
05.15 14:24
아랫분 말씀 들으니, "절대" 안된다는데, 음질 안좋은거 외에도 기타에 안좋거나 한가봐요;;
혹시 제가 괜히 섣부른 방법 알려드려서 스님 기타 상하게 하는 거 아닌지 모르겠네요 ㅎ
일단 전문가 님들의 답변을 한번 기다려 보시고, 시도해보시길~!!
-
Pinkkit
05.15 12:17
그냥 기타를 컴퓨터 마이크잭에 끼우시면 절대 안되구요.. 저가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하신후 기타와 컴퓨터 연결하셔서 amplitube 등의 가상 앰프 시뮬레이터를 이용하시면됩니다.
오디오 인터페이스 중에 기타 연견만을 위한 것도 있으니 알아보셔요. 개인적으론 저가 중엔 그나마 amon 이 괜찮았던것 같은데 요즘은 어떤 제품이 대세인지 모르겠네요. -
흑 편강님은 된다고 하시고, Pinkkit님은 안된다고 하시고 ㅠㅠ
헤깔려요. ㅠㅠ;;;
amon 찾아 보니...
이런 제품이 눈에 띄네요. 최저가 139,000원 ...
-
별사랑
05.15 12:22
저는 다른 악기를 위해서 오디오카드를 사용하는데, Pinkkit 님께서 말씀하신바와 같이 Infrasonic Amon 정도면 원하시는거 충분히 하실수 있을것 같습니다. 더 저가용으로는 Rock Frog라는 제품도 있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여기 참조하시면 될 듯 합니다.
http://21tos.tistory.com/entry/Infrasonic-Amon-Black
-
편강
05.15 14:18
링크 사진 보니 바로 이해가 가네요. 이런 건 얼마나 하는지 봤더니 13~5만원 정도;;
-
이건 더 싼 듯 한데요. 이런 것은 어떻나요?
-
그리고 링크를 보니 좀 복잡하네요. 한 번에 연결해 놓고 단추 한두개만 눌러서 전환하는 방법은 없나요?
선을 뺐다 꼽았다가 하기에 제 머리가 못따라 갈 것 같아요 >.<
-
기둥
05.15 15:45
일렉기타에서 나오는 신호는 언발란스드 신호입니다.
또한 전기적인 레벨이 정해져있습니다.
장비와 장비간에는 발란스드 라인레벨의 신호로 연결하는 것이 손실없이 장비 고장없이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때문에 보통은 오디오 인터페이스라는 장비를 사용해 연결합니다.
데스크탑이나, 노트북에 내장되어 있는 사운드카드는 보통 외부에서 마이크 입력과 라인입력 단자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타에서 나오는 신호를 라인입력 단자에 잭크기가 다른 아답터를 통해 연결하는 것 만으로도 별도 장비 없이 사용하실 수는 있읍니다만, 추천하지 않습니다.
사운드카드, 오디오카드, 오디오 인터페이스 모드 같은 역할을 합니다. 다만, 활용도에 따라 특화 되었다고 보시면 됩니다.
따라서, 좋은 음질의 신호를 입력 받아 녹음하고 편집하시려면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구입하시길 권합니다.
링크하신 제품은 기타 만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것으로 사용하셔도 괜찮겠다는 생각입니다.
현재 사운드카드가 컴퓨터에 내장되거나, 설치되어 있다면 변환잭만 구입하셔서 마이크 입력 단자가 아닌 라인입력 단자에 연결하여 사용하는 것도 괜찮습니다. 그러나, 이때는 어느정도 잡음은 감수 하셔야 합니다.
기타에서 나오는 신호는 아나로그 신호이며 컴퓨터에서 디지털로 변환된 신호입니다.
그러므로 AD변환에 얼마나 좋은 제품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가격이 결정됩니다.
1. 현재 컴퓨터의 사운드카드를 점검해서 라인 입력 단자가 있는지 확인한다. 있다면 변환잭만 구입해 연결한다.
간혹 노트북이나 저가 사운드카드의 경우 라인입력이 없는 경우도 있으며, 마이크단자와 라인입력 단자를 겸하여 사용하면서 내부에서 설정에서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 직접 고르신 제품으로 연결한다.
3. 인터페이스를 장만한다. 본격적으로 녹음해서 음악을 만들어 본다.
세가지 모두 가능한 방법이며, 각 방법은 가격대 차이가 있고, 그에 따라 음질의 차이도 분명히 있습니다.
-
기둥
05.15 15:48
기타만 연결하시겠다면 고르신 제품 괜찮습니다.
인터페이스는 보통 입출력을 모두 담당하고, 미디 단자가 있어 모든 전자 음향 기기와 PC간의 연결을 담당합니다.
-
캬~!!! 기둥님~!!!
제가 궁금했던 점들을 명쾌하게 설명해 주셨네요. ^^;
고맙습니다. ^^;;;
일단 사운드카드는 메인보드 내장입니다만... 아마 라인 단자가 있을 것 같습니다.
책상 밑에 기어 들어가 겨우 들여다 보니 스피커 관련(마이크 포함) 6개가 있네요.
이중에 하나겠죠? ^^;;;(아니면 낭패 ㅠㅠ)
그래도 마누라 꼬셔서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하나 구입해 볼까 생각 중입니다. ^^;
-
darkness
05.15 16:34
제가 했던 고민이랑 정확히 일치하네요
그냥..방구석 앰프 하나 사서 헤드셋 꽂았습니다.
그냥 지르면 편해요
.
.
.
도레미 튕기다가 방치한지 몇달 된듯 하네요 ㅜㅜ
앰프는 컴퓨터 스피커로 쓰이고 있고..( '');;;
-
연습 좀 하세요~!!!
-
예전 퀘이크워크 쓸땐 걍 연결해서 녹음 했었는데 말입니다
마이크 단자에 ..^_^;;
아님 휴대용 앰프 하나 지르셔서 헤드폰 쓰고 연습하셔두 되욧.^_^
9v 밧데리 연결해서 쓰는 넘이였습니다
예전 베이스 연습할때 많이 썼었습니다 변환잭 같은 것두 필요없죠 걍 꽂아 쓰시면 ^_^
-
왼쪽꺼가 일렉기타전용 오디오인터페이스(그래서 아에 케이블이 본체이 붙어있죠)인 락프로그
오른쪽가 휴대용 헤드폰앰프(겸 약간의 이펙트기능포함) NUX pg -1
개인적으로 어느것을 많이 쓰냐면 압도적으로 휴대용앰프입니다. pc켜고 소프트웨어 실행하는거 많이 귀찮거든요. 게다가 실력안되니 녹음따위 할 이유도 없죠 ㅠㅜ
-
왕초보
05.16 07:08
사실 어느 오디오 분야나 마찬가지로 일렉기타도 미신이 난무하는 곳의 하나이고, 많은 연주자들이 distortion을 즐기는 분들이라, 어떤 특정한 문제(!)가 사랑받기도 합니다. ㄷㄷㄷ
일단은 기타의 픽업이 어떤 타입이냐에 따라 사실은 앰프도 달라져야 합니다만.. 아무도 신경도 안쓴다는.. 기타가 상할수 있다는 것도 충분히 가능한 얘기입니다만, 픽업이 상할 수 있다는 얘기랍니다.
-
료우코
05.16 22:10
일렉기타와 컴퓨터와의 직접적인 연결은 비추천 하구요
꽤 윗 분의 댓글처럼 락프로그를 사시거나
좀 본지 오래되서 잊어버렸는데
컴퓨터 연결 가능한 이펙터를 원하시면 ARTEC사의 rp255? 250? 버전 이상급은 컴퓨터 연결하여 사용가능합니다
-
kiona
05.16 23:19
다이렉트로 물리면 레이턴시 시간이 너무 길어요 -
사모쓰
05.17 12:10
저같은 경우는 노트북+Line6 Toneport UX2+Gigaworks T20 II or MDR7506 로 방구석 기타리스트 중 입니다.
안정적인 PCI 카드 타입 오디오 인터페이스로는 가성비 좋은 인프라소닉의 쿼텟 추천드리고요.(MNS[미디앤사운드] 중고거래에 자주 보임 중고가 10만)
USB 타입 오디오 인터페이스로는 위에도 나온 인프라소닉 Amon이나 Line6계열 추천드립니다.(뮬 중고거래에 자주 보임 10만 근처)
전문적으로 녹음하실거 아니시면 10만원대 제품들로도 레이턴시 크게 걱정 안하셔도 됩니다.(레슨 숙제로 녹음 여러 번 해봤는데 별 지장 없더군요)
정말 저렴하게 연결하실려면 락프로그 사시고 무료 VST, VSTI 만으로도 연주 즐기실 수 있습니다.(전 Line6 완전 사랑해서 VST는 Line6 전용 GearBox랑 POD Farm을 주로 사용)
오디오 인터페이스로 시스템 짤 경우 장점은 아무래도 기타 보다는 프로그램 셋팅에 따라 소리를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는 점이지요. 좋게 보면 저가 기타의 경우 조금 더 고급스런 소리를 뽑을 수도 있고, 나쁘게 보면 고가의 기타도 기타의 특성이 많이 죽는다는 점이 있을 수 있네요.
그렇다고 프로그램 만으로 최상의 톤을 뽑을 수 있는건 아니고요 기타 특성이 아주 없어지는 것도 아닙니다.(손가락과 장비가 지대한 영향을...)
제 기타는 픽업이 EMG81-85 인데 프로그램 덕에 그럭저럭 괜찮은 클린톤을 얻을 수 있었지요.
-
스팁
05.20 13:25
저도 관심있는 부분이었는데. 잘 배워갑니다.
ㅋㅋ 링크 가보니 제 댓글이 딱~! 관심사이다보니, 또 댓글을 달게 되네요.
벌써 2년 전인가요?ㅎㅎ 스님 기타 실력은 일취월장하셔서 이제 합주도 하신다는 소문을 들었던 듯 합니다^^
방구석에서 기타치는 저보다 훨씬 잘 하실듯;; 이미 제가 조언을 할 입장은 아닌듯 합니다만 ㅎㅎ
전 아직 2년 전에 적어놓은 저 방법으로 잘 놀고 있습니다. 말씀하신 대로 변환잭 이용입니다.
인터넷 쇼핑몰에 오디오젠더 혹은 3.5mm 5.5mm 변환 젠더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제품들이 있어요.
5.5 to 3.5 젠더 + 양쪽 3.5 케이블 이 있으면, 일렉쪽에 젠더 꽂고, 케이블을 컴퓨터 마이크 단자와 젠더에 꽂으면 연결 되겠죠.
그럼 마이크로 노래방 하듯이, 일단 컴퓨터로 일렉 소리 넘길 수 있어요. 녹음기 프로그램 쓰면 녹음 할수 있겠죠?
다만, 이펙트 효과는 소프트웨어로 구현이라, 반응 느리고, 컨트롤 힘들고, 단점이 있겠죠.
싸게 하실거면 젠더와 케이블, 직접 가면 5천원? 배송비 있으면 1만원 안쪽으로 녹음 가능하실듯 합니다.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