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현재 중국 저가 타블렛의 가격대 (싱글코어만)
2012.07.02 21:52
이건 절대적인 가격이 아니고 최저가만이니 참조만 해주세요
1. Allwinner A13 5인치급 800X480 G+G
250위안-299위안 (4만5천원-5만4천원)
2. Allwinner A13 7인치 800X480 G+G
299위안-399위안 (5만4천원-7만2천원)
3. Allwinner A10 7인치 800X480 G+G 아니면 P+G
350위안-499위안 (6만3천원-9만원)
4. RK2918 7인치 800X480 G+G 아니면 P+G
350위안-499위안 (6만3천원-9만원)
5. RK2906 7인치 800X480 G+G
399위안 (7만2천원)
6. Allwinner A10 7인치 1024X600 G+G
450위안-550위안 (8만원-9만9천원)
7. Allwinner A10 7인치 IPS 1024X600
599위안-699위안 (10만8천원-12만6천원)
8. RK2918 7인치 IPS 1024X600
599위안 (10만8천원)
8. Allwinner A10 8인치 1024X760 G+G
599위안-699위안 (10만8천원-12만6천원)
9. Allwinner A13 8인치 800X600 G+G
499위안-550위안 (9만원-9만9천원)
10.Allwinner A13 9인치 800X480 G+G
499위안-599위안 (9만원-10만8천원)
11. TCC 8923 7인치 800X480 P+G
399위안 (7만2천원)
12. TCC 8923 7인치 IPS 1024X600
550위안-599위안 (9만9천원-10만8천원)
13. RK2918 9.7인치 IPS 1024X600
799위안-899위안 (14만4천원-16만2천원)
14. RK2918 9인치 1280X768
799위안 (14만4천원)
15. RK2918 10.1인치 1024X480
799위안 (14만4천원)
16. Allwinner A10 9.7인치 IPS 1024X600
799위안-999위안 (14만4천원-18만원)
17. Allwinner A10 10.1인치 IPS 1280X768
999위안-1100위안 (18만원-19만8천원)
18. AM-M3 7인치 800X480 G+G
399위안 (7만2천원)
19, AM-M3 7인치 1024X600 G+G, H+G
499위안-599위안 (9만원-10만8천원)
20. AM-M3 7인치 IPS 1024X600
599위안-799위안 (10만8천원-14만4천원)
21. AM-M3 8인치 1024X768
699위안-799위안 (12만6천원-14만4천원)
이정도 가격이니 대략 가격대를 아실수 있을겁니다.
코멘트 20
-
펭귄
07.02 22:39
-
여기서 만원-2만원정도만 더 붙이면 듀얼코어가격이긴 합니다. 싱글은 싱글 나름대로 장점이 있습니다. 동영상의 경우 듀얼보다 싱글쪽이 배터리 관리능력에서 휠씬 우수한 편입니다.
또한 멀티쪽보다 싱글쪽이 안정화된것도 사실이구요.
항후 6개월정도는 싱글쪽이라하더라도 가격 경쟁력만 있으면 그렇게 밀리지는 않을겁니다.
문제는 듀얼쪽이겠죠..
-
펭귄
07.02 22:56
미래를 생각하면 싱글코어는 더이상 무의미 해진다고 봅니다
동영상 쪽에서도 쿼드코어인 넥서스7도 무려 9시간이나 재생하니 게임 끝 이라고 봅니다 (물론 4200배터리 버프도 있긴하지만..)
-
4200mAh에서 9시간 가는 게임은 정해져 있습니다.
Ployer Momo9에서도 그렇게 배터리 관리가 잘된다고 해도 GTA3 돌리면 5-6시간까지가 한계죠.
앵그리버드를 돌리면 가능할겁니다.
동영상의 경우 초기펌웨어에서는 14시간까지 가능하니까 따지고 보면 싱글에서의 배터리 성능만 따졌을때
Ployer Momo9 2세대가 60%정도 동영상 재생능력이 좋다고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미래를 생각하면 싱글코어가 더 강해집니다.
세상은 돈많은 나라만 있는게 아닙니다.
더구나 안드로이드라는건 PC용 플랫폼도 아니고 현재 듀얼자체만 하더라도 오버스펙입니다.
싱글에서 최적화만 잘 시키면 웹브라우져도 무리없이 돌아갑니다. (TCC8923의 예)
또한 언더 $40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현상황에서 듀얼코어는 좀 무리수에 가깝고
후진국의 경우 좀더 안전하고 안정적인 기기가 필요합니다.
Raspberry Pi 프로잭트가 왜 Allwinner A10을 선택했는지 보면 알수 있습니다
-
어떤 타블렛도 마찬가지겠지만 실제 살펴 보지 않으면 쿼드가 좋은지 안좋은지도 알수 없습니다.
졸속으로 만들어지긴 했지만 최강의 스펙을 자랑했던 갤탭 10.1의 경우 듀얼인데도 싱글급의 9.7인치 타블렛보다
최적화 능력이 떨어져서 더 느려보입니다.
쿼드의 경우 아무리 구글에서 만들었다 하더라도 어떤 문제점이 있는지는 알수 없습니다.
다만 구글이라는 브랜드가 앞으로 최적화를 시켜줄거라는 신뢰가 있기 때문에 그렇긴 하지
초기모델이라는 관점에서는 좀더 두고 봐야할겁니다.
4개월만에 만들었다는게 사실이라면 말이죠,.
-
펭귄
07.03 00:21
지금 쿼드코어 많이 안정되었습니다.
지금 시대에 싱글코어라... 약간 시대를 역행하는 느낌이 들군요..
싱글코어도 한계가 있습니다 속도면에서
게임이나 다중멀티작업을 할때 싱글코어의 한계를 많이 느낍니다
단순히 배터리 성능만이 아닌 속도도 봐야하지 않을까 라고 생각합니다
-
저 어떤 싱글을 기준으로 이야기하시는지요?
싱글도 Cortex A5, A8, A9 여러가지가 있고 최대 클럭수도 다양합니다.
단순히 Rk2918정도의 수준으로 판단하시면 상당히 곤란합니다.
아 그리고 쿼드코어중에 안정적인게 있나요???
현재 시제품인 건 쿼드코어 타블렛은 화웨이사에서 나온거 하고 Asus 트랜스포터 프라임정도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리고 쿼드코어중에서 7인치급은 구글 넥서스 타블렛 하나인데요.
7인치급과 10인치급의 발열 처리구조가 상당히 다릅니다.
7인치급의 경우 발열처리만 삐끗해 버리면 온도가 그냥 올라갑니다.
즉 아직까지 화웨이의 K3V2나 Transformer Prime의 Tegra3가 단일 기종에만 적용되었을뿐
다수에 기종에 적용되지 않은 이상 평가를 유보해야 합니다.
OMAP 44XX도 그렇게 배터리 관리가 잘되고 발열이 없다고 해도
SmartQ사에서 OMAP 44XX를 탑재한 Ten3만들었을때 발열과 배터리가 광탈해 버리는 문제도 있었습니다.
-
펭귄
07.03 01:21
테그라3 는 중국 듀얼코어처럼 멍청(?)하지 않습니다 웹서핑 음악 동영상등을 할땐 낮은 1코어에서 작동되고 그 이상의 성능을 요구할시 나머지 코어를 씁니다 CPU내에서 자체적으로 조절 하기에 발열 이 심할수가 없지요 -
저기 OMAP은 중국계 아닌데요.. -_-~~ Texas Instruments에서 나온건데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발열문제 나왔습니다. 아 그리고 혹시 Transformer Prime말고 Tegra3 탑재된 스트레스 테스트 해보셨나요?? 이야기 드렸지만 아직 Transformer Prime밖에 안나왔기 때문에 다른 회사 기기에 적용할경우 어떻게 될지 모른다는 겁니다. 발열이라고 하는게 단순히 코어제어만으로만 되는것이 아니라 그냥 배터리 충전할때도 발열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AA13의 경우도 발열이 전혀 없는 CPU인데 기기에 따라서 내부구조를 발적화 시켜놔서 발열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 세상에 절대적이라는 말은 없는겁니다.
-
에스비
07.03 02:52
지금은 쿼드코어가 안정화 된게 아니라.. 쿼드코어를 다 동작하는 경우가 없도록 만들어 뒀습니다. 모바일에서 쿼드코어의 풀파워를 안정화시키려면 멀었습니다. ARM의 차세대 아키텍처 생각하면, 한 4년으로도 부족할겁니다.
지금은 순전히 마케팅용으로 쿼드코어를 쓰는거고, 모바일에서 쿼드코어 쓸 일도 없습니다. 만약 있다면 매우 작위적인 경우겠죠.
게다가 안드로이드의 스레드 스케줄러는 병맛이라 멀티코어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이거 해결되려면 현재 쿼드코어가 저스펙이 되는 시점인 앞으로 2~3년 이후에나 수정될겁니다. (만약 구글이 고칠 생각이 있다면. 참고로 스레드 스케줄러보다 훨씬 간단한 터치보정알고리즘도 고치는데 4년 가까이 걸렸습니다. 스레드 스케줄러 고치려면 커널과 VM 다 엎어야 하니, 비교대상이 아닙니다.)
개인적으로 안드로이드 스레드 스케줄러가 개선되기 전까지는 가급적 싱글코어나, 정 제품이 없으면 듀얼코어 쓰자는 주의입니다. 모바일 환경에서 쿼드코어 자체가 무의미한 일인데 - 그래서 쿼드코어가 다 활성화되는 경우 자체가 거의 없음 - , 여기에 안드로이드 스레드 스케줄러도 비효율적이라 멀티코어가 전력대비 효율이 높은 편이 아닙니다. 그래도 듀얼코어까지는 어찌저찌 별 탈 없겠지만, 넘어가면.. 없느니만 못하죠.
현 시점, 그리고 향후 최소 2년간은 코어당 성능은 1. 싱글코어, 2. 듀얼코어임은 확실합니다.
코어가 늘어감에 따른 코어당 처리량 저하는 트리플코어부터 급감하고요.
즉 현재 안드로이드에서는 듀얼코어 넘어가는건 별 의미 없습니다.
듀얼코어도 제 성능 안나옵니다.
그리고 중국SoC가 허접하다고는 해도, 그거가지고 국내업체가 돈, 시간 충분히 들여서 펌웨어 개발하면 놀라울 정도로 고성능이 나옵니다. 반면 전 세계의 모든 공대생이면 다 아는 공대생의 로망, 공대에서 잔뼈굵기로 갑 오브 갑인 TI의 OMAP을 막만드는 중국업체에서 가져다 쓰면 처절할 정도로 저성능에 전력관리 하나도 안됩니다. 희대의 망작이 나오죠. TI가 요즘엔 병맛이지만, 작년만 해도 SoC 아주 잘 만들어냈죠.. 참고로 모토로라의 거의 모든 안드로이드폰은 TI OMAP 씁니다. 갤럭시 넥서스도 TI OMAP입니다.
그 말은, Tegra 3도 중국업체가 개발하면 병맛될 수 있다는겁니다. TI OMAP만 봐도, 똑같은 커널소스로 누구(삼성)는 "갤럭시 넥서스"를 만들고, 누구(중국어디)는 희대의 망작을 내 놓습니다. 커널 소스코드가 중요하지만, 그걸 기기에 포팅하는 작업도 못지않게 중요합니다.
Tegra3를 ASUS처럼 각잡고 개발하면(넥서스7) 문제가 생길 일이야 거의 없겠지만, 그냥 막가는 중국업체에서 Tegra 3 탑재하면 '그냥 탑재한 상태' 그 이상은 아닐 가능성이 충분히 있습니다. 한 마디로 Tegra 3 도 중국 막나가는 업체가 탑재하면 막장 나옵니다. 충분히.. 소프트웨어가 그냥 깐다고 까지는게 아니거든요. 돈, 시간 많이 들여야 해요.
-
그렇다네
07.02 22:42
이걸 보니 보따리 업체들이 얼마나 남기고있을지 상상이 되네요.
-
우리부스
07.03 00:16
16. 17번에 해당하는 모델 한두가지정도 추천해주신다면 어떤모델이 있을까요? ips에 9.7인치 이상이고 동영상하고 만화뷰어의 용도가 90프로입니다 xoom 과 d50가지고 있는데 xoom은 동영상재생의문제와 d50은 작은화면이어서 활용도가 조금떨어지네요.제가 눈이 나빠서인지 확실히 큰화면이 좋긴하네요. 8인치에 ips 1024이상되는것도 괜찮을꺼 같네요.
-
16의 경우 Onda에서 나온 Vi40정도가 가장 낫긴 할텐데 제가 써보질 않아서 잘 모르겠습니다. 17번의 경우 AMPE A10이라는 기종이 나와있는걸로 알고 있는데 이것 역시 써보지 않아서 잘 모릅니다.
개인적으로 큰 기종을 별로 안좋아해서 리뷰한게 많지는 않습니다, ^^; (라기 보다는 자금문제 때문에~~)
8인치는 IPS 듀얼코어정도밖에 없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
piloteer
07.03 00:19
4만 5천원...
연금술은 실존하는군요.
-
저 연금술급 물건사다가 보조로 쓰고싶어지는1인(아무레도 8인치(케이스씌우면 780그람)는 한손으로는 좀....)
-
문제는 저게 2터치 감압식이라는 거죠 -_-~~
들리는 소문에 따르면 7인치 199위안짜리도 (3만8천원) 나올수 있다고 하는데요
그렇게 되면 터치패널, LCD, 배터리 모두 다운그레이드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헐
-
이런 정보를 원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정말 감사합니다. 사랑해요
-
Azraile
07.03 15:06
한눈에 쏙 들어오네요. 잘봤습니다 ^^;
으으... 199달러에 쿼드코어를 보니... 싱글코어는 이제 보이지도 않아요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