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문 Tablet 양산시 필요 License 문의
2012.09.13 14:53
안녕하십니까?
Tablet 양산시 필요한 License 조사중입니다. (구글 라이선스 아니라 특허관련)
제품은 일반 컨슈머용(리테일 마켓 판매)이며, 유럽 시장 판매용입니다.
1. MS 관련
- 필수 코덱이나, 터치등 양산시 필요한 라이선스
2. MPEG LA
- MPEG LA 가입 및 비용 지불
3. Wifi 관련
- Wifi 관련 특별히 계약이 필요한 사항
질문이 좀 두서없지마, Tablet 판매시 필요한 라이선스 자료 있으시면
공유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10
-
뮤리찌
09.13 17:10
-
jwnha
09.13 21:41
감사합니다.
잘 참조 하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어떤 대답을 원하시는 지는 모르겠지만
필수코덱이나 MPEG LA의 관한 건 타블렛 관련이 아니라 AP회사에서 Co프로세서 개념으로 관리를 하며 거기에 대한 라이센스 문제는 CPU회사 홈페이지에 이런이런 라이센스를 받았다라고 명시되 있거나 CPU Data Sheet에 포함되 있습니다.
CPU Data Sheet는 이곳 게시판만 검색해보면 나올수 있습니다.
터치및 Wifi 관련 부분 역시 타블렛 펌웨어에 해당 드라이버를 넣으면서 각 부품에 대해서 그 회사와 계약을 하면서 안드로이드 운영체제에 맞는 드라이버를 받아서 펌웨어를 받아야 합니다.
터치 패널 양산의 경우 몇가지가 있는데 이것 역시 질문내용이 명확하지 않아서 무엇을 원하시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마지막으로 타블렛 판매시 필요한 라이선스 자료라는거 역시 무엇인지도 상당히 불분명하게 이야기 하시는듯 합니다.
만약에 타블렛의 CPU제조서 부터 부품제조까지 한꺼번에 하신다고 하면 흠...
글쎄요..
-
jwnha
09.13 21:41
답변 감사드립니다.
질문이 불명확 하였는데
Tablet PC의 개발
- 부품 개발이 아니라, 기존 양산되는 부품을 이용한 tablet 완제품 개발을 의미하였습니다.
신규로 Tablet 시장 참여시 필요한 라이선스 조사차 드린 질문입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
뮤리찌
09.13 23:13
실례가 안된다면 어느 회사의 어떤 CPU를 채택하실 에정이신가요 ?
아마도 CPU회사 사정에 따라서 라이센스를 가지고 있는 범위가 다르고, SET Buyer에 적용해 줄 수 있는
라이센싱이 가능한지에 따라서도 다른 것으로 판단됩니다.
중국회사의 CPU회사는 사실 라이센스에 있어서는 거의 전무한 상태라서요 ^^;; (특히 비디오 관련)
-
jwnha
09.14 13:57
현재 CPU는 RK3066 검토중입니다.
비디오 관련 codec은 포함하고 있겠지만, 라이선스는 또다른 이슈로 보여서 조사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현재 중국 타블렛 생산회사에서 그래도 라이센스에 어느정도 자유로운 곳이 미국에 본사를 둔 Amlogic과 중국회사지만 MIPS의 푸쉬를 받고 있는 Ingenic정도일겁니다.
락칩의 경우 몇몇 코덱에서 문제가 조금 있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Allwinner야 지뢰가 너무 많구요.
-
뮤리찌
09.14 22:36
네.. 그러시군요... 저도 락칩은 28시리즈때 조사를 하였습니다만, 비디오 라이센스가 없습니다. ㅠ.ㅠ
오디오는 있긴 합니다만, MS WMA는 없었습니다.
단순하게 칩셋을 구입한다고 라이센스가 공유되는 것은 아닙니다. 별도로 반드시 라이센스 공유를 명시하시어
칩셋 견적을 받으셔야 합니다. 미국국적 칩셋 회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입니다.
라이센스가 없는 디코딩의 파일 확장자는 구동이 안되게 확장자를 막아야 합니다.
그리고 라이센스 공유에 대한 증빙을 반드시 받으셔야 합니다. 수출떄 라이센스 이슈가 있을떄는
수출지역의 세관에 바로 제시를 하셔야 합니다.
그리고 올초 부터 논의 되고 있습니다만, 안드로이드 UI에서 MS관련 특허 침해 여부가 있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는 MS에 이야기를 하셔야 문제가 없습니다.
-
jwnha
09.14 23:19
자세한 답변 정말 감사드립니다.
현재 MS 및 MPEG LA 관련 License 추진중입니다.
감사합니다.
-
아 그리고 이야기를 까먹고 안드렸는데 나중에 설정란에 가보시면 오픈소스 라이센스에 관한 항목이 있을겁니다.
거기에 보시면 대략의 라이센스부분에 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이게 엉망진창입니다.
넣은 기술의 라이센스를 빼먹지 않나 넣지도 않은 기술에 라이센스를 넣질않나
유럽으로 갈때 이거 하나하나 체크하지 않고 들어가면 큰코 다칩니다.
2011년 초에 관련 라이센스 조사를 한 적이 있습니다. (태블릿PC)
관련 내용을 제 블로그에 올려 놓았습니다.
참조 하시기 바랍니다.
유럽에는 저도 태블릿PC를 트레이딩을 하고 있습니다만, 요즘 터프 합니다.. ㅎㅎㅎ
http://muritzy.tistory.com/category/Tablet%20PC%20/%20%EC%8A%A4%EB%A7%88%ED%8A%B8%ED%8C%A8%EB%93%9C/Audio%20/%20Video%20Codec%20%EB%9D%BC%EC%9D%B4%EC%84%BC%EC%8A%A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