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서와 회로에 대하여 초보적인 질문드립니다.
2013.09.05 12:45
두루뭉실한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전문적인 지식이 전혀 없어서 실마리부터 찾고자 여기에 질문 올립니다.
손가락 관절의 움직임 정도를 감지하는 물리적인 센서를 찾고있습니다.
1. 와이어와 연결되서 와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있을까요? 아니면 감도가 좋은 버튼이 있을까 궁금합니다.
2. 그리고 그런 센서와 회로를 구매하려면 어떤 경로를 통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3. 센서와 회로에 대해 공부하려면 어떤 분야를 공부해야 할까요. 혼자서 설계하는 수준이 되려면 어느 기간 정도 공부해야 할까요?
코멘트 16
-
아침만뉴요커
09.05 13:03
-
칸쵸
09.05 16:39
자세한 조언 감사드립니다. 정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ㅠ (_ _)
혹시 그런 지식적 조언을 하실 수 있는 전공이 어떻게 되시는 지 알 수 있을가요?
-
마음조정
09.05 14:14
TED에서 볼마우스 부품을 써서 모션인식에 썼던게 있었는데 누구였는지 기억이 안나네요. -
푸른들이
09.05 16:03
Pranav Mistry의 "The thrilling potential of SixthSense technology"를 찾으시는 건가요?
http://www.ted.com/talks/pranav_mistry_the_thrilling_potential_of_sixthsense_technology.html
-
칸쵸
09.05 16:48
마음조종님 푸른들이님 감사합니다. 제가 생각한 장치가 정확히 동영상 초반에 나오는 마우스로 만든 인식장치였어요. 벌써 2009년에 이미 만들어졌었군요 ㅠㅠ 그래도 이미 누가 만들었던 것이더라도 한 번 저도 만들어 보려합니다. 조언 감사합니다 (_ _)
-
왕초보
09.05 14:40
어떤 용도로 쓰실 건가요 ? 깔끔한 것은 accelerometer를 사용하는 것입니다만 제일 어려울 것이고요.
-
칸쵸
09.05 17:04
위의 동영상에서 손가락 제스쳐를 인식하는 물리적인 장치를 만들어보려 합니다. 말씀하신 accelerometer에 대해 찾아보겠습니다. 실마리를 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
터키사랑
09.05 14:53
IMU를 쓰는것도 방법일것 같은데요
-
칸쵸
09.05 17:06
소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_ _)
-
hakdh
09.05 15:27
얼마만큼의 정밀도가 필요한 건지, 어디에 사용 될 건지에 따라서 많이 달라지겠네요. 로봇 수술에 사용되는 컨트롤러를 찾아보시면 가장 정밀 할 듯 합니다만. 결국 관절 축에 포텐쇼미터를 달아서 현재 위치를 아는 것 이겠지요 -
hakdh
09.05 15:34
http://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lavacrow&logNo=1068433
또는 앱솔루트형 엔코더가 사용되어도 되겠네요.
360도 회전도 측정되며 포텐쇼미터에 비해 회전시 부하가 없지요. -
칸쵸
09.05 17:09
링크가 연결되지 않는데 블로그 이름을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
hakdh
09.05 15:36
잉크젯 프린터에 사용되는 리니어엔코더도 있을테구요.
여러가지가 떠오르네요. -
칸쵸
09.05 17:14
어렵군요ㅠ 다양한 의견 감사드립니다 (_ _)
리니어 인코더처럼 직선 변위를 측정하는 부품 중에 저렴하고 소형인 것이 없을까요? ;;;
변위 센서라는 검색어로 찾아보았는데 제일 싼게 13만원이네요 ㅠㅠㅠ 그냥 저도 마우스 뜯어서 만들어야지 싶습니다 ㅠㅠㅠㅠㅠ
-
MIBE
09.05 17:20
1. 와이어와 연결되서 와이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센서가 있을까요? 아니면 감도가 좋은 버튼이 있을까 궁금합니다.
아침만 뉴요커님이 말씀하신 데로 크게 2가지정도인데요, 포텐션미터와 Flex Sensor (http://www.youtube.com/watch?v=MCXcDkeHlQI)
장단점을 설명드리자면
-포텐션 미터
장점 ; 비교적 높은 정확도
단점 ; 손에 고정하기 위한 Solid한 기구물이 필요, 대표적인 예가 아이언맨 이겠네요 ㅎㅎ
- Flex Sensor
장점 : 말그대로 유연하기 때문에, 위의 동영상 처럼 일반 천 장갑 등에도 붙여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단점 : 낮은 정확도, Flex 센서는 사실 각도 측정용이 아니라 구부러짐에 따라 저항값이 변하는 걸 이용한 센서라
정확한 각도를 알아내긴 어렵지만 대략적인 손의 자세와 움직이는 패턴 정도는 알아낼 수 있을 겁니다.
+plus 아마 이건 좀 다른 Solution 이지만 Computer Vision 에서 Camera를 가지고 손의 자세를 파악하는 방법도 있긴합니다.
2. 그리고 그런 센서와 회로를 구매하려면 어떤 경로를 통해야하는지 알고싶습니다.
들어가보세요~
3. 센서와 회로에 대해 공부하려면 어떤 분야를 공부해야 할까요. 혼자서 설계하는 수준이 되려면 어느 기간 정도 공부해야 할까요?
원하시는 수준에 따라 다르겠지요.. Sensor와 Motor 제어 정도라면 간단한 마이컴이나 아두이노 등등을 보시면 재미있게 해보실 수 있구요,
Embedded Board를 하나 만들겠다..정도이시면 끝이 없을 것 같습니다. 외주업체분들 보드 디자인하시고 척척 만들어오시는 거 보면 개인적으로 존경스럽더라구요... 제가 잘 모르는 분야라 그런지...
-
칸쵸
09.05 17:28
감사합니다 ㅠㅠ 설명을 자세히 해주시니 점점 더 윤곽이 잡혀가는 듯 합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 (_ _)
1. 정확히 어떤 동작인지 모르지만 관절의 움직이라면 포텐쇼미터(가변저항)을 쓰기도 합니다.
오디오에 있는 회전하는 볼륨 조절 장치랑 비슷한것이죠. 그걸 관절에 부착하면 구부러지는 각도를 알수 있겠죠..
Flex Sensor라는 것도 있네요.. 휘어짐을 감지한다는...
2. 구매는 요새 전자부품 소량 판매하는 인터넷 사이트들 많습니다.
디바이*마트, 엘레*츠 ..... 청계천가도 되지만 청계천에서는 가게들 찾아다니기 번거롭고 소량은 잘 안팔죠..(가끔은 소량은 그냥 주기도 하지만..)
3. 공부는...... 끝이 없는 내용이고 설계를 어떻게 생각하느냐에 따라 다르죠..
센서도 회로의 일부이죠. 외부 환경 변화에 따라서 전압이나 전류가 변하고, 그걸 받아서 처리하는 것이죠...
개인적으로는... 그냥 취미로 자작하는 사람이라면, 너무 깊게 알 필요는 없다고 보구요.. 기본적인 전자지식, 납땜이나 부품등의 용도와 사용법, 마이컴(AVR, 아듀이노?)한가지 사용할줄 알면....그 이후부터는 알아서 할수 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
그렇게만 해도 동아리 후배들 가르켜보면.... 1년 정도는 걸린것 같습니다. 물론 본인의 관심과 노력이 중요하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