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터 하드 장착 쉽나요..?..
2013.09.09 18:38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제가 컴퓨터는 켜는것과 끄는것만 압니다..
그런데 지금 사용하는 컴터의 하드가 다 차서 1~2T 짜리 하드를 추가 장착할려고 하는데
제가 컴터를 하나도 모릅니다.....ㅡㅡ;;
전혀 무지환 상태인데 하드를 하나 따로 구해서 쌩초보가 장착 가능 할까요..?..
아니면 컴터 들고 매장가서 하나 사서 달아 달라고 할까요....
이거 은근 고민입니다..저한텐...^^;;
코멘트 14
-
푸른솔
09.09 19:19
그리 어려운건 없어요.
하드의 타입에 맞추어 IDE 나 SATA 케이블에 연결하시고 전원 케이블 장착하시면 됩니다.
일반적으로 IDE는 납작하고 넓은 회색 케이블이구요 SATA 는 검정색의 예전 휴대폰 20핀 케이블 비슷하게 생겼답니다. -
장착 자체가 어렵진 않으나, 대기업 PC를 사용중이시면 섀시 구조상 확장 자체가 아주 난감한 경우가 있긴 합니다.
-
김강욱
09.09 23:01
일단, 구글에서 하드장착하는법으로 검색해서 사진이 있는 블로그 같은 걸 고르세요.
그 사진과 자신의 컴터를 열어서 비교를 좀 해보시고, 플랜을 좀 짜보시고.
모르시는 건 KPUG 에 질문을....
별 기기가 없는 경우 장착은 쉬울 수도 있습니다만, 장착 그 이후 하드 인식하는 게 어려울 수도...
-
아레스
09.09 23:37
1.컴이 조립컴인지 대기업컴인지 확인(대기업컴에 하드를 장착할 수 있는 부분이 없는것도 있어요)
2.1-2t면 sata이니 보드가 사타포트가 있는지 확인
3.하드 구매
4.하드 장착(3.5인치용에 끼시면 되요..os근처에 있는 공간.)
5.1번포트엔 os용 나머지 포트에 사타케이블끼고 하드와 케이블 연결
6.전원on
7.윈도우상에서 하드인식후 포맷(빠른 포맷 일반포맷 상관없어요.. 편하실건로 빠른포맷추천)
8.하드용량이 실제 용량보다 안나온다고 불량이라고 의심하시마세요..
-
케이스열고 사진한번 올려주시면 답나올것 같은데요
-
기둥
09.10 10:01
타바스코님 말씀처럼 본체 뚜껑을 열고 내부 사진을 한 장 찍어 올려주시면 능력자님들께서 잘 안내해 주실 것이라 생각합니다.
어렵지 않습니다. 전원 코드 연결하듯이 선 두개만 꼽으시고 케이스에 나사로 고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
인포넷
09.10 15:29
어렵지 않아요...
무지 간단해요...
-
iris
09.10 16:19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렵습니다. 사실 엄청나게 간단하게 쓰면 이렇게 됩니다.
- 뚜껑 연다.
- 자리에 넣는다.
- 나사 네 개 조인다.(안되면 적당히.)
- 케이블 두 개 꽂는다.(전원/데이터)
- 전원켜고 인식 확인하고 포맷한다.
- 끗.
문제는 적는 것과 하는 것의 난이도 차이입니다. 경험자는 이걸 끝내는 데 3분이면 충분합니다. 하지만 PC를 열어본 적도 없는 분이라면 어려운 일일 수도 있습니다. 사실 이 분들께는 어떤 케이블이 어떤 것인지 이해를 시키는 것도 시간이 걸리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SATA 포트가 메인보드의 어디에 있는가, 각 포트의 번호별 특징은 무엇인가까지 이해를 시키는것은 훨씬 더 시간이 필요합니다.이건 다른 기계도 마찬가지입니다. 자동차의 전조등을 교체하는 방법을 간단히 적으면 이렇습니다.
- 보닛을 연다.
- 적절한 공구로 헤드라이트 부분의 나사를 푼다.
- 적절한 힘으로 헤드라이트를 들어낸다.
- 뒷부분의 전원 케이블을 분리한다.
- 클립을 제거하고 전구를 뺀다.
- 새 전구를 넣는다.
- 나머지 역순.
- 끗.
이걸 더 간단하게 하면 이렇게 됩니다.
- 보닛을 연다.
- 헤드라이트 뒷쪽으로 손을 넣어 클립을 알아서 잘 분리한다.
- 전구를 뺀다.
- 새 전구를 넣는다.
- 역순.
- 끗.
하지만 이건 PC를 20분에 조립하는 사람도, 대한민국 법률 전문가도, 國K-1도 대부분 어려워하여 카센터에 맡깁니다. 쉽다면 쉬운 일인데도(일부 차량은 설명서에 안내를 합니다.) 이렇게 합니다. 이처럼 기계를 넣고 바꾸는 것은 쉽다면 쉽고 어렵다면 어렵습니다. 지식이 전무한 사람에게는 한없이 어렵습니다.
-
푸른들이
09.10 18:02
전조등 교체 정도는 면허증이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다 할 수 있다고 생각해선 안되는 거군요. ㅡㅡ;
-
저도 할 줄 몰라서 말이죠. ㅎㅎ
-
iris
09.10 22:01
대한민국에서는 면허 취득 과정에서 자동차 기본 점검이나 정비는 전혀 물어보지 않아서 말입니다. 철저히 '조작'만을 가르치며 시험합니다.
-
티쓰리유저
09.10 23:17
아무것도 모르던 시절 전조등을 가는데. 아마 2 시간 정도 걸렸던 것 같아요.. 이게 전조등하고 브레이크 기름통하고 바로 옆에 붙어 있어서 손을 넣어서 빼낼 공간이 없어서.. 나중에 알았는데 그 기름통을 위로 올리는 방법이 있었던 것을 몰랐죠.. 그래서 전조등 자체 하우징을 뺴내서 전조등을 간 기억이 새록새록 나네요.. (정말로 삽질 중 삽질)
-
상호아빠
09.11 07:19
아는 동생을 부른다...
1 컴퓨터를 열어본다.
2 HDD넣을 공간있는지 확인
3 hdd용 전원 ,데이타(sata)케이블 달려 있는지 확인.
4 있다면 하드 장착,케이블 2개 연결 후 켜면 끝
위글보고 어려울꺼 같다면 하드 구매하고 공임비내고 연결 부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