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말감 논란
2015.02.17 07:35
전 이빨 치료는 전부 다 아말감으로 하는 편입니다.
하지만 요새 치과 가면 아말감 해주는데가 거의 없습니다.
아말감은 치과에서 돈이 안되니까요.
특히 치과 이름에 '금'자가 들어간 곳들은 더 그렇더군요.
말들은 그럴 듯 합니다.
'아말감에는 수은이 들어가 있어서 몸에 좋지 않고 내구성이 떨어진다. 레진이나 금이 유해성도 없고 오래간다.'
근데 이게 거짓말이라는 것은 역사적으로 증명된 사안이죠.
잘 모르는 사람들에게 잘못된 정보를 제공하는 치과들을 보면 과연 저들이 의사가 맞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물론 여성분들의 경우 심미적인 부분에서 레진 같은게 좋겠지만,
남성들의 경우 특별히 앞니가 아닌 이상 굳이 레진이나 금을 할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금 같은 경우 제가 알기로는 이빨치료에 최악의 재료라고 알고 있습니다.
코멘트 16
-
RuBisCO
02.17 08:01
아말감에 대해선 아직 논란이 좀 있는거로 압니다. 다만 레진이 내구성이 좋다는 새빨간거짓말을 천연덕스럽게 하는 의사 분들이 많은 모양이군요 ㄷㄷ -
수빈아빠처리짱
02.17 08:09
아말감 정말 좋은데, 돈이 안된다는 이유로 다른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수은 관련 논란이 있지만, 개인적으로 수은함유량은 자연접촉에서 접하는 수은과 비슷하다고 생각하고 있고, 그렇게 거부감도 없음.
수은,구리,주석 합금으로...수은은 다 증발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
RuBisCO
02.17 08:16
날아가는건 아닙니다. 다른 금속과 아말감을 형성하여 안정된 상태의 수은은 극히 미량을 제하고는 거의 유출되지 않고 그냥 그대로 굳어있죠. 다만 접착력이 없어서 넓은 부위를 갈아서 굳혀넣고 일단 수은을 다루는 만큼 취급에 주의를 해야 하다보니 그 때문에도 기피되죠. -
치과의사인 친구가 환자 입장에서 아말감만큼 좋은 재료가 또 어디있냐고 하더군요.
저렴한데다가 안정적이기도 하니까요.
대신, 의사 입장에서는 시술 시에 미량의 수은 증기를 흡입하게 되어서 좋지는 않다고 하네요.
-
행복주식회사
02.17 09:02
불편한 진실 중에 하나죠.
-
찐
02.17 09:04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유태신
02.17 09:42
뭐.. 논란의 여지는 있습니다만... 어쨌든...
수은이 포함된 물체를 몸에 지니고 있다는 건... 기분이 나쁜 건 사실이죠..
만약, 수은이 아니고 방사능 물질이라고 해도 다들 지금처럼 천연덕스럽게 아말감을 할 지는 ....
하여튼... 대체 물질이 있다면 그걸 쓰는 게 좋다고 봅니다. 다만... 그게 가격이나 내구성 등이 못 따라 간다는 게 함정이겠죠.
어쩌면 더 좋은 것이 있는데.. 아말감처럼 돈이 안되어서 의사들이 배제하고 있는 것일지도...(! '')
-
치과 의사형님들끼리이야기도....
논란이 있더라고요.
돈이 있다면 치아 치료의 경우 테세라&금&세라믹을 추천하고,
비용문제가 크다면 아말강도 괜찮다고하시더라고요.
물론.. 페이 닥터분은 아말강 못쓰고 자신이 개원한분은 아말강도
환자분이 원하면 해주신다고.. (물론 돈이 안되기 때문에 빈의시죠ㅠ)
-
쿠후^^
02.17 13:13
제가 치과의사가 아니라 잘 모르지만, 몇년전 제 이가 안좋아 스스로 연구(?)해본 결론은..
아말감 - 이론적으로는 수은 때문에 안좋을수 있다. 유럽에선 이미 오래전부터 안쓰는 재료. 그러나 요즘같이 온갖 안좋은 물질에 둘러싸여 사는 공업사회에서는, 실질적으로 별 문제 안될꺼 같다. 이것 저것 다 따져서 피해살면, 산속에서 혼자 살아야 할듯.. 보험도 되니 싼맛에 써도 괜찮은 재료인듯 합니다.
레진 - 내구성 제일 안좋은 재료. 본래의 치아 색과 비슷하므로 미용용도로 쓰는 재료. 근데 최근엔 내구성을 확높인 튼튼한 레진도 나온듯(이건 이름이 레진이 아니라 다른 이름이더군요. 잘 기억이..)
금 - 아주 튼튼해서 내구성도 좋고, 생체 친화적이어서 거부반응도 거의 없는 재료. 돈만 있으면 제일 좋은 재료. 단, 치료한 티가 확 나니 미용목적으론 안좋음.
임플란트 - (이건 직접 해본 경험입니다.) 의외로 수술도 금방 끝나고 사랑니 빼는거 보다 안아픔. 개인적으로 만족도 엄청 높은 돈이 안아까운 치료술. 기존의 이를 살리려고 아둥바둥하다 결국 수술했는데, 진작에 빼버리고 수술할껄 괜히 아둥바둥했다는 후회가.. 단, 이같은 평가는 저처럼 수술결과가 성공적인 경우만 해당됩니다. 만약 수술결과가 좋지 못하다면(수술환자의 약 5%정도 되는듯), 후속조치를 하기 위해 그 어떤 치과치료보다 개고생을 하게 됩니다.
-
테세라 말씀하시는거죠?ㅎㅎ
-
쿠후^^
02.17 22:23
무슨 ㅌ어쩌구였는데, 찾아보니 테세라 같기도 하구 긴가민가하군요.
한 10년전쯤 그 ㅌ어쩌구로 어금니 한쪽을 했었는데, 아직도 멀쩡하네요.
-
여진석
02.17 17:53
아말감은 치과의사의 건강에 해롭지요. 그리고 치아도 많이 갈아야 할 겁니다.
치과의사가 자신이 수은을 흡입하기 싫다면 아말감은 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내 입냄새도 가끔씩은 역겨운데, 남의 입냄새 참아가며 일하는 사람이
수은증기 싫다면 이해해 줘야 한다고 봅니다.
-
DoNotDisturb
02.17 23:03
아말감은 윗분이 말씀하신 것 처럼 시술시 수은증기가 나와서 미량을 흡입할 수 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시술받는 사람은 자주 흡입할 일은 없겠지만 치과의사는 자주 흡입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을 줄이는 것이 인도적으로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또한 아말감 내부의 수은이 바깥으로 나올 수 있는 기전도 존재합니다. 완벽히 안정된 상태로 저장되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물론 쉽게 발생하기 어려운 경우기는 하지만요.
아말감은 재료의 특성 상 시술 가능한 케이스가 드뭅니다. 아말감을 잘못 시술하면 충치를 더 깊고 크게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교과서적인 케이스 외에는 아말감을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충치도 커지고 아말감이 빠져서 먹어버릴 수도 있거든요. (특히 아이들은 자신의 이에서 빠진 아말감을 먹는 경우가 흔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말감은 보험이 되는 재료라는 장점으로 인해 폭넓게 사용되어 왔습니다. 아말감은 교과서적인 케이스에 적용한다면 정말 좋은 재료지만, 악명높은 재료가 된 주 원인이 바로 보험이 적용되는 재료이기 때문에 부적합한 케이스에도 마구잡이로 아말감을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아말감을 실제로 시술할 수 있는 교과서적인 케이스는 드물어서, 충치를 모두 아말감으로 메우면 좋을게 없지요. 아말감의 부작용이야 워낙 유명하니까요.
-
왕초보
02.18 00:34
아말감은 매우 안정된 화합물이라 인체의 어느 기전에 영향을 주는지 궁금합니다. 아이가 먹더라도 그냥 변으로 나올 뿐 문제가 생길 수는 없는데요. 일단 치과에서 돈이 별로 안된다는 점은 틀림없네요. 그것때문에 실제로 현업에 종사하시는 전문가의 의견을 듣고 싶어도 믿을 수가 없는 안타까운 현실이 생기는 것이고요.
재료가 어떠하건, 정기적으로 치과에서 검진을 (최소 6개월에 한번) 받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레진이건 아말감이건 금이건 빠지거나 틈이 생긴다면 빨리 치료하는게 좋거든요. 그리고 임플란트도 피할 수 있으면 피하라고 합니다. 아무리 보기 흉해도 내 이를 가지고 있는게 좋다고 합니다. 내 턱뼈를 뚫어서 쇳조각을 넣는 것이 쉬울 리가 없지요.
-
DoNotDisturb
02.18 01:25
갈바닉 부식이죠 뭐.. 아말감 재료에는 합금이 안된 수은도 있구요.
인체만으로는 부식이 일어나진 않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있을지도 모르지만 아주 특이한 경우일 듯)
아말감 수은 문제는 시술받는사람은 왠만해서는 문제가 없고 (참치회 먹는거보다 낫겠죠), 시술자의 수은중독 위험이 문제지요.
아말감은 좋은 재료입니다. 다만, 적용 가능한 케이스가 적을 뿐이구요.
보험 된다고 아무데나 쓰니 문제지요.
-
도망자
02.18 09:45
여자친구가 현직 치위생사인데 저거보고 물어봤더니
인체에 해가될건 거의 없는데
아말감 자체가 접착력이 없어서 이에 구멍을 낼때 속은크게 입구는 좁게 마름모꼴로 만들어야한다고... 그래서 좀 구멍이 크게나는거 빼고는 참 좋은재료라 칭하더라구요.
단 치과의사 입장에서 절대적으로 돈이 안되서 다른재료를 쓰게 한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