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D에 백업한 한글 파일명 문제-옛날 윈도와 Windows10
2020.06.26 03:27
오래전 (아마 2000년대 초반)에 CD에 백업한 파일을 열어보니.. 파일 이름이 한글인데 전혀 읽을 수가 없습니다. 이게 옛날 Windows가 어느 시점에선가 한글 코드를 아마도 완성형 ksc5601 종류에서 Unicode로 옮겨온 탓인듯 한데 지금 Windows10에서는 제대로 읽을 방법이 없네요. XP 에서도 제대로 보이지 않는 걸로 보아서는 아마도 조합형 한글코드인듯 합니다!
이런 파일 이름을 읽을 수 있는 툴이 있을까요 ? 만들어야 하는건지요. -_-;;
코멘트 11
-
mr
06.26 13:43
-
나도조국
06.30 03:09
이 툴은 파일 속의 한글을 보여주는 툴인듯 합니다. 저는 파일 이름/폴더 이름 문제라서 조금 더 복잡합니다.
한글은 잘 보여줍니다만, 폴더는 전혀 못 알아봅니다. 또한 자기가 지원하는 파일 이외에는 아예 리스트에 보여주지도 않아서 (이건 잘 만든 기능인듯 합니다만 제게는 불만인 경우죠 ^^) 첨엔 조금 황당했습니다. 이거 만든 분이 만들면 금방 할 수 있으시겠다 싶기는 합니다.
-
파일 내용이 아니라 파일 이름이군요. 제가 오래전에 백업했던 것들은 어떨지 한번 챙겨봐야겠네요.
-
나도조국
06.30 03:11
어렴풋한 기억에 한동안 CDROM에 써지는 파일이름/폴더이름은 조합형이다 라고 했던듯 해요. 그런데 요즘 백업한 넘들 보면 그냥 한글이 보이는 걸 보면 그동안 바뀐 것이거나 Microsoft가 Microsoft한 것이거나 그런 것일듯 합니다. 많이 갑갑하네요. 뭐 오래된 백업 오랫동안 안 봤으니 별 문제는 없겠습니다만.
Norton Commander/Total Commander 같은 툴을 하나 만들면 이런 기능을 넣으면 좋을듯 하긴 해요. 능력도 없고 잉여력도 없어서 문제긴 합니다. -_-;; 오랜만에 total commander나 먼지털어서 깔아볼까 생각중입니다.
윈95 컴퓨터를 하나 발굴해서 읽어보면 읽히지 않을까 하는 얕은 궁리를 하고 있습니다. ^^ 오리지날 윈95는 아마도 CDROM지원이 없었던듯 한데 어디까지 기억을 더듬어가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한글 코드에 대한 정보도 이제는 검색하기 쉽지 않네요.
방금 비슷한 시기에 백업한 씨디 중에 파일 이름을 멀쩡하니 읽을 수 있는걸 하나 발견했습니다. 완전 헷갈리네요. ㅠㅜ
-
오리지널 윈도95도 당연히! CD-ROM을 지원합니다. ㅎㅎ 정품 자체가 CD-ROM으로도 발매되었는걸요.
굳이 윈도95 PC를 구하실 것 없이 VM으로 해결보셔도 되겠네요. 물론, 윈도95/98을 따로 구하시는건 또 다른 이야기...
추가: 혹시 영문 윈도95에 한메한글 for Windows 95를 설치해서 쓰셨던건 아니죠?
-
나도조국
07.02 00:05
윈95는 아마 OSR2부터 CD-ROM지원했을 겁니다. 오리지날은 부팅 디스켓+CDROM이었던듯 해요. 디스켓으로 부팅해야 CDROM을 사용할 수 있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무엇을 사용해서 저 문제되는 백업CD를 구웠는지는 전혀 기억이 없습니다. ㅠㅜ 그거라도 어디 저장해 두었으면 큰 도움이 되었을텐데. 신기한 것이 거의 같은 시기에 구운 CD몇장은 멀쩡한데 대부분이 저지경이란게 ㅠㅜ
아 추억돋네요. 더 이상한걸 썼을 수도 있습니다. njwin이었나요.
윈95/98 컴퓨터는 뒤지면 나올 겁니다. VM까지 안가도 될거예요. 문제는 그걸 지금 컴퓨터에서 볼 수 있는 이름으로 바꾸는거죠. 그걸 그 컴퓨터에서 할 수 있는건 아니고, 또 파일이 한두개가 아니어서 메모해서 손으로 하는것도 말이 안되고요.
-
제가 CD-ROM이 달려있는 486DX2-50 시스템을 갖고 있었고,
윈도95가 나오자마자 바로 사서 설치하고 그대로 윈도 3.1에서 쓰던 CD를 돌려봤었는걸요.
애시당초 윈도 3.1에서도 사용되었던 CD-ROM인데...
OSR2부터 지원된건 USB 아닌가요?
-
나도조국
07.02 12:17
저도 윈3.1에 CDROM달린 넘 갖고 있었어요. 문제는 특별한 driver를 설치하지 않으면 동작하지 않았다는 것이죠. (윈3.1에서야 다 그렇죠 뭐) 그래서 제 기억에 윈95도 설치하려면 처음부터 씨디에서 설치가 안되고 플로피로 부팅해서 이 CDROM driver를 올린 다음에야 CDROM으로 설치를 계속했었어요. 뒤지면 아마 3.5" 윈95 설치 플로피가 나오긴 할겁니다. 아마 OSR2 부터는 그냥 CDROM으로 설치할 수 있었던듯 해요.
그러고보니 USB도 OSR2에 추가된듯 하네요. 어쩌면 플로피 부팅은 제가 가지고 있던 제품이 그랬을 수도 있겠네요.
-
일단은 뭐... 윈도95 설치CD가 어땠건간에, OS 자체는 CD-ROM을 지원했다는건데 그건 그렇고...
파일명 문제는 멀쩡하게 읽히는 환경만 찾으면, 거기서 파일들을 압축파일로 묶거나 ISO 이미지를 뜨던지 해서,
리눅스 시스템에 올리고 iconv로 파일명의 codepage를 바꿔서 rename 해주는 스크립트를 짜서 돌리면 되지 않을까요?
-
mr
06.30 17:17
버추얼박스같은 가상시스템에 win98을 깔아보시면 어떨까요?
아니면 혹시 MDIR같은 유틸에서 지원할지 모르겠네요.
http://blog.daum.net/luckyman717/178
-
나도조국
07.01 04:10
WinM을 어찌어찌 다운 받았습니다. 한번 해 보겠습니다. ^^ 링크: https://widelake.net/post/5/
결론: 안됩니다. 한글 관련 설정이 전혀 없어서 기본기능에서 지원해주어야 하는데 그냥 윈도 Explorer와 똑같이 깨진 모양으로 나옵니다. 혹시 다른 목적으로 설치하신다면 반드시 '영문'판을 다운받으세요. 한글은 메뉴까지 모조리 깨져서 나옵니다. (영문 윈10이어서 그런지도 모릅니다) 가장 황당한 것은.. 일단 메뉴를 한글로 설정하고 실행하면.. 처음 광고창에서 무슨 버튼을 눌러야 할지 조차 알 수 없습니다. ㄷㄷㄷ 이쁜 툴인데 개발이 중단된 것이 참 안타깝네요.
Win98은 조금 시간을 두고 생각해봐야겠습니다. DVD지원부터 시작해서 온갖 문제가 터질 듯 해서. ^^ 또 윈98에서 보여준다고 하더라도 그걸 지금 쓸 수 있는 한글코드로 이름 바꾸는건 완전히 다른 문제라서요.
https://m.blog.naver.com/ezne/221197216717
이 툴로 열어보세요...
보니까 예전에 썼던 기억이 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