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영상 파일에서 프레임 너비*높이 vs. 데이터 속도/ 총비트 전송률 등 중 어느 것이 더 시각적으로 영향이 큰지요?
2020.10.05 14:43
안녕하세요?
동영상을 보면 어떤 것들은 프레임 너비*높이(예를 들어 1920*1080)는 크지만 데이터 속도(예를 들어 769kbps)/ 총비트전송률(예를 들어 961kbps)는 낮은 것들이 있는 것 같습니다. 아마도 파일 크기를 줄이기 위한 조치가 아닌가 싶습니다.
그래서 궁금한 것은 만약 파일 크기가 같다면,
1. 이처럼 데이터 속도/ 총비트전송률을 낮추고 프레임 너비*높이만 크게 한 파일과
2. 프레임 너비*높이를 줄이고 반대로 데이터 속도/ 총비트전송률를 높인 파일들 중에서
어떤 것이 (컴퓨터 모니터 상에서) 시각적으로 더 시각적으로 더 나은지,
아니면 질량 불변의 법칙으로... 파일 크기가 같다면 시각적으로 큰 차이가 없는지 하는 점입니다.
처음에는 가성비를 고려해서 1번처럼 FHD인 파일 위주로 봤는데
반드시 FHD라고 해서 다 같은 FHD라고 할 수가 없다는 생각이 들었고,
파일 크기를 줄여서 FHD라도 화면만 채울 뿐 FHD라고 하기엔 어려운 것처럼 보이는 것들도 있는 것 같더라고요.
(아무래도 초당 전송되는 프레임 수가 작고 하면 눈으로 바로 감지하기 어렵더라도 화질이 떨어져 보이는 것 같더라고요).
그래서 전문적으로 어떤 차이가 있을지 한 번 질문 드려 봅니다.
미리 답변에 감사드립니다.
야호~ 드림
코멘트 9
-
박영민
10.05 16:10
-
야호
10.09 00:39
좋은 정보에 깊은 감사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많이 만지기는 하지만 잘 알지 못하는 분야이긴 합니다만,
방송을 잠깐 할 일이 있었는데 비트레이트가 확실히 화질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 같기는 합니다.
사견으로는
큰 프레임으로 어지간히 낮은 베트레이트를 쓰지 않으면
아무리 화질이 좋아도 프레임이 작으면 한계가 있지 않나 합니다.
극단적인 예이긴 하지만 gif 나 썸네일 같은 예를 들수 있겠죠
720과 1080 정도의 차이라면
극단적으로 높은 720 비트레이트와
극단적으로 낮은 1080 비트레이트 설정시 교차점이 있을수도 있지 않을까 합니다
-
야호
10.09 00:44
제가 막눈이라 그런지
컴의 모니터 에서는 720에 파일 크기가 두 배 정도 되는 거랑 1080에 파일 크기가 반 정도 되는 것의 차이를
얼핏 봐서는 잘 모르겠더라고요.
파일 크기가 주는 느낌인지 720에 파일 크기가 큰 (비트레이크가 큰) 것들이 아무래도 부드럽게 보이는 것 같은 느낌이 들기는 한데
눈으로 느끼는 그 정도 차이에 파일 크기 두 배의 가치가 있는 것인가 하는 의구심이 들었습니다.
답변에 깊은 감사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실험을 해보거나 한 것은 아니라서 실제로는 어떨지 모르고 그냥 추측성 발언이므로 크게 신경쓰지는 마시고요... ㅋㅋ
방송관련으로 영상을 하나 만든 적이 있는데
동일 클립을 유튜브에 올린 후 다운 받아서 보면
원본 영상 (1080) - 유튭 1080 - 유튭 720 차이가 확 보이긴 합니다
원본 영상 1080 과 유튭 1080 차이는 비트레이트만큼의 차이라고 보면 될 것 같고
720 높은 비트레이트와 1080 낮은 비트레이트 확인만 해보면 될 것 같네요... ㅋ
-
나도조국
10.21 05:19
코덱이 제일 중요합니다. h.265같은 코덱으로 압축하면 비트레이트가 h.264와 비교해서 반 정도만 되어도 육안으로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고화질을 보여줍니다. 코덱 세팅이 엉망이 아니라면 같은 비트레이트에서는 해상도가 높은 넘이 화질이 좋습니다만, 다른 변수들 (예: 원래 소스의 화질 등등) 때문에 언제나 그런 것은 아닙니다. 또 하나 변수는 오디오입니다. 오디오를 여러 채널 넣어도 파일 크기 차이가 좀 나게 됩니다.
또 한가지는 그 압축된 동영상 파일을 어디다 담아서 재생하느냐가 차이를 만들기도 하는데요, 가능하면 하드드라이브나 USB에서 재생을 하세요. 옛날 코덱은 별 문제 없는데 h.264 정도만 되어도 DVD에 담아서 재생시키면 읽는 버퍼링때문에 재생이 원활하지 않은 부분이 생기기도 합니다.
-
야호
10.27 00:17
정보 대단히 감사합니다. 코덱이 그렇게까지 많은 크기나 화질 차이를 야기한다는 것은 몰랐네요.
어떤 코텍으로 압축했는지 명시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일단 받아 봐야 한다는 문제가 좀 있기는 하지만
그래도 전에 비해서 file 크기가 많이 줄어 들게 되는 이유가 코덱과 오디오에 있을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네요.
깊은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저도 코덱에 한표입니다.
고효율 코덱은 적은 파일로도 괜찮은 화질의 동영상를 스트리밍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요즘 480, 720, 1080, 1080p, 4k 등 해상도등이 고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해상도가 고정되면 프레임도 거의 고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영상도 액션영화과 같은 스트리밍과 앉아서 말만하는 경우는 전송되는 데이터가 틀립니다.
코덱을 최적화 하시면 원하시는 결과를 얻지 않을까 합니다.
-
야호
10.27 00:21
정보 대단히 감사합니다. 위에도 썼습니다만 코텍에 따라서 그렇게까지 file 크기와 화질에 차이가 많은 줄은 몰랐었네요.
제가 ripping을 한 것이 아닌 경우가 많아서 제가 조절하는 경우에 말씀을 염두에 두고 조절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DVD를 NAS에 올릴 때 어떻게 올려야 메뉴까지 유지될 수 있는지 궁금해 하고 있었는데 ripping을 해야 하나 싶습니다...조만간 이 질문도 이곳에 올리게 될 것 같습니다만 -.-;;)
다시 한 번 깊은 감사 말씀을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https://support.wecandeo.com/guide/video-pack-guide/videoimagequality/
여기 깔끔하게 정리를 했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