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거 되게 쪽팔리는 전기 질문이긴 한데요
2020.11.28 11:28
질문하시기 전에 게시판 검색을 먼저 해주세요.
타블릿PC, 스마트폰에 관한 질문 또는 요청은 <포터블기기 질문답변> 게시판을 이용해주세요.
=============================================================================================
검색어를 뭘로 해야 딱 해답이 떠오를지 고민하면서
아무 키워드나 계속 쳐넣다가 몇시간이 훌쩍 가버리는 것 같아
쪽팔림을 감수하고 케퍽에 물어보는게 제일 빠를 것 같아서 왔습니다.
전기... 쪽에서도 기초에 속하는 질문일텐데요,
아무래도 케퍽이 전기 쪽으로 먹고 사는 분들만 모인 곳이니...
질문을 뭐라고 해야 하나 사실 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러니까 음, 간단하게 말하면
220 볼트 전기 회로가 이해가 잘 안가서 설명을 부탁드리는 것인데요
이런 겁니다
직류 교류 상관없이 일단 전기가 통하려면 closed circuit 이 되어야 하는것 아닙니까?
그리고 일반 가정에서 110 볼트 전기를 쓴다고 하면 (접지는 논외로)
Hot wire / Neutral wire 해서, 콘센트 한쪽에 hot, 다른 콘센트에 neutral 연결 해야
서킷이 완성되고 전류가 흐르는 원리인 것으로 저는 이해하고 있었는데요
제가 사는 곳은 110 볼트 220볼트 혼용입니다. 가정에도 혼용이죠.
브레이커 박스 열어보면 바깥에서 들어올 때 선이 세개 들어옵니다.
110볼트 선 두개, neutral 하나.
그래서 110볼트 콘센트 만들려면 110 Hot 하나 잡고 뉴트럴 잡습니다.
220볼트 만들려면 110 두개 잡습니다.
여기서 제가 혼란이 옵니다.
뉴트럴이 없는데 어떻게 서킷이 완성되죠? 내가 뭔가 잘못 알고 있나?
한국은 220 쓰니까 혹시 몰라 검색을 좀 때려봅니다.
결론적으로 한국도 예전엔 이런 방식을 썼다더군요
요즘도 이런 방식을 쓰는 곳에 있을 수도 있다고.
그러니 전자기학적으로 뭔가 틀린 것은 아닌 모양인데
이해가 안되서.
동네 아저씨들은 그게 뭐가 어렵냐고 핀잔을 줍니다.
전압은 수압하고 같은 거니 110 전압 두개면 220 되는거 아니냐고.
같은 힘으로 나오는 호스 두개 꽂으면 물 더 세게 나오지 않겠냐고;;;
아니 누가 그걸 모르냐고요 그건 산수고;;;
제가 무엇을 모르고 있는 걸까요? ㅠㅠ
직류/ 교류와 상관이 있는 건가?
도대체 전자기학 정보 중에 어느 곳을 찾아야 답을 얻을 수 있을지...
====================
질문을 해 놓고도 도저히 생각이 떠나질 않아서
검색 좀 더 때려보다가 우연히 발견했는데
220 볼트는 neutral 이 필요가 없다는 설명을 발견했네요
110 볼트 선 두개가 서로 반대 위상으로 되어 있어서 뉴트럴이 필요 없다고 설명을 하던데
아직도 뭔소린지 정확히 이해는 못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게 맞는 건지 좀 써보렵니다.
이제까지 저는 인풋 아웃풋 개념으로 이해를 했거든요
그래서 한 군데서 전기 나오고 다른데로 들어가고.
어릴 때 학교에서 배터리 놓고 꼬마전구 놓고 배우던 그대로.
배터리에서 전기 나와서 전구 거쳐서 배터리로 들어가야
서킷 완성되고 그래야 전기 흐르는 거.
그걸로 이해했고 지금까지 먹고 살고 있는데
(전문직종은 아니니 뜨악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그러니까 110 선 두개 합쳐서 220 만든다는 개념이 이해가 안 갔던 것 같은데
(아웃풋 + 아웃풋 이 어떻게 서킷을 완성시킬 수 있느냐? 는 식으로 말이죠)
그런데 110 선 두개가 서로 다른 위상으로 뉴트럴이 필요 없다는 말이
무슨 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제가 이해한 게 맞다면
교류전기에서는 양극 음극이 1초에 50회 또는 60회씩 전환되므로 (사용 국가에 따라)
양극 음극이 큰 의미가 없어서 인풋/ 아웃풋 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된다
교류 전기에서는 단순히 전기 선이 연결되기만 한다면
그것으로 서킷이 완성되는 것이다.
연결된 선이 110 두개면 220 이고
110 하나에 뉴트럴 하나면 110으로 작동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110 Hot 두개로 220 만드는 것은 교류 전기의 발명으로 가능한 것이다
만약 지금 세상이 교류가 아닌 직류 전기로 이루어진 문명이라면 이런 일은 불가능할 것이다
뭐 이렇게 이해하면 되는 건가요? 제가 이해한게 맞기는 한가요? 아 어렵네요.
사실 수학을 못해서 문과로 진학해버린, 그러나 관심은 이공계열이 훨씬 풍부한 문과생 아저씨라 그런가봅니다.
----
할일이 있는데... 아침까지 마쳐야 하는 일인데... 계속 들여다 보고 있는 전 미쳤나봅니다
발전기에서 전기를 발생시킬때 교류로 만들어진다는 얘기를 왜 보고 있는지.
암튼 저걸 단상 3선식이라고 한다는 걸 알아냈네요;;;
코멘트 6
-
바보준용군
11.28 11:57
개념이 어러개 들어가서 갑자기 혼돈 올수도 있죠<br /><br /><br />전압 말그래도 압력 입니다<br /><br />전류 말그대로 흐름 입니다<br /><br /><br />승압을 통해 전압을 올릴수도 있고요<br /><br />감압을 통해 전압을 낮출수도 있죠<br /><br /><br />직진성을 가지고 있으며 도체 흐르는것이고 부도체로 절연을 하는거죠<br /><br /><br />또한 일정한 파형을 가지고 있어서 이것을 분류해서 우리가 통신으로 쓰는거고요<br /><br />교류와 직류는 명학하게 파형이 다르겠죠 -
그러게요... 분명 알고 있다고 생각헀는데 갑자기 한 순간에 혼란이 밀려올 때 참 당황스럽고... 주변인들의 말과 시선들도 신경을 안 쓸수가 없더군요 ㅎㅎㅎㅎ
-
시나브로
11.29 22:40
+110V
0V(neutral)
-110V
이러면 간단하게 설명이 될까요?
-
네... 그게 전기 원리를 한참 들여다보고 나니 말씀하신 것이 쉽게 이해가 됩니다. 아마 그 전에는 이해 못했을 것 같아요. 감사합니다.. 제가 이해한 것이 완벽하지는 않더라도 어느 정도 맞는 선에 있다는 것을 확인해주신 셈이라... ㅎㅎ
-
나도조국
12.02 14:32
답은 다 나왔는데요, 이 얘기는 교류라서 위상이 반대인 두 110V를 직렬연결해서 220V를 얻는 것이고요, 직류도 똑같이 할 수 있습니다. 직류 경우엔 위상이 없지요. 혹시 건조기 새로 들이셨나요 ?
-
아! 그렇군요. 정확하게 진단을 해 주시네요. 뭔가를 알아가면서 살다보니 틀린게 많았네요. 직류도 똑같이 할 수 있다는 것도 완전 신기하네요. 일단 답은 다 나왔다고 하셨으니 제가 궁금했던 것은 대강 해결이 된 것 같고, 위상차로 220을 얻는 것으로 요약을 해 주셨고. 직류로 똑같이 하는 것은 아직도 신기하네요. 건전지로 전기를 배웠던 저의 지식이 모두 무너지는 것 같아요~ + 에서 나와서 - 로 들어가는게 아니었던가... ㅋㅋㅋㅋ 건조기 들인 것은 아니에요 ㅎ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