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 밖에서 컴퓨터에 ftp로 접속하는 방법?
2011.10.16 03:21
제 안드로이드 기기는 컴퓨터와 연결했다가 접속을 해제하면 에러가 나서 꼭 리붓을 해야 합니다.
SD 카드를 뺐다가 끼워도 꼭 리붓을 해야 합니다.
그래서 FTP로 컴퓨터와 타블렛을 연결해서 파일 전송하는 법을 찾았습니다.
물론 속도는 확연히 느리지만 머리는 덜 아픕니다. ㅎㅎ
앱을 깔고 타블렛을 FTP 서버로 돌려서
파일 질라로 타블렛에 접속하여 필요한 파일들을 교환합니다.
물론 집에 라우터가 있기 때문에 주소는 192.168.*.*:0000 이런 식으로 접속이 되지요
만약에 밖에 나갔는데 집의 컴퓨터와 접속을 해야 하는 상황이 생겼을 경우에는
파일질라 서버 프로그램으로 컴퓨터를 FTP 서버로 돌려놓고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 컴퓨터에 접속해서 필요한 일을 하면 될텐데
그게 접속 주소가 서버에서 설정이 가능하게 되는 건가요?
윈도우 7 계정 비번 설정해 놓은 것도 FTP 접속에 영향을 주겠지요?
이거 되면 참 재미있을텐데 말이지요 ^^;;
코멘트 8
-
calm
10.16 03:31
-
별로 어렵지 않은 모양이군요
한 번 시도해 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모든 것을 다 고려해준 SW를 사용하신다면 괜찮겠지만.. 돈 안 들이고 뭘 하고 싶으면 자기가 뭘 알아야죠.
이미 보셨을 지도 모르겠지만 아래의 링크정도는 아는 게 좋을 겁니다.
Fixing connection and transfer problems; Network configuration
-
매우 재미있고 흥미로운 글입니다
지금 재미있게 (?) 신나게 (?) 읽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DMZ + DDNS 설정으로 쉽게 설정할수 있는데요. 권장하진 않습니다. FTP는 워낙 랜덤으로 공격이 많이 들어와요. 관리 빡시게 안하시면 자료가 막 외부로 돌아다니는건 둘째치고라도, 하드의 파일시스템 꼬와놓기 일수입니다. 한번 그렇게 공격당하면, 재설치해도 3일이 지나기 무섭게 다시 또 공격들어와서 다 꼬와놓습니다. 누군가 인위적으로 하는게 아니라, 멀웨어들이 그냥 임의적으로 돌아다니면서 저 짓을 하곤 합니다.
제가 관리하는 시스템 (집이건 회사건)에서 절대 돌리지 않는게 FTP와 SMTP예요. 워낙 귀찮거든요.
-
그러게요 안 그래도 오늘 앉아서 뭐 하다가 생각이 들었는데 "외부 공격 들어오면 어떡하지?" 였습니다. 방법이야 없는 건 아니겠지만 거기다 또 신경을 쓸 여유가 없기에 가정 내부 네트웍으로만 가끔 쓰려고요. 아예 서버용 컴이 따로 있으면 또 모를까 ^^
-
공유기에서 ddns, 포트포워딩 설정만 하면 됩니다.외부에는 기본포트인 21번 포트로 열리게하면 안됩니다. 바로 털리니 좀 바꿔줘야합니다.
예를 들어 aaa.dyndns.org -> 211.123.3.1IP의 6621포트 -> 192.168.0.233의 21번 포트 이렇게 설정하세요.
-
뭐 가끔씩 누군가 들어올려고 뭘 돌리는 것 같긴 한데.. 그때마다 IP블로킹 해 버립니다.
기본적으로 방화벽 설정하고, 전 24시간 돌리는데 아직 털린적은 없네요. ^^
뭐 예전에 아톰PC로 서버 돌리기전에 쓰던 방법(전기료 때문에)은 24시간 켜 둘수 없던
관계로 필요할 때만 WOL기능으로 PC를 원격으로 전원 키고, 필요한 프로그램 받고
원격접속해서 PC전원 끄고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음 그냥 FTP 서버 프로그램 하나 설치해서 돌리시면 될 것 같은데요?
대신 공유기에서 DMZ 설정을 FTP서버가 돌아가는 컴퓨터 맥ID로 설정해주셔야 할 겁니다.
그리고 윈도우에 내장된 FTP 프로그램이 아니라면, 윈도우 계정 비번과 FTP 비번은 상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