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리눅스간 Synergy를 랜선으로...?
2016.01.14 20:01
안녕하세요 호주사는 건설노무자입니다
저는 레노보 x230과 소니 바이오 놋북에 각각 윈도7과 우분투14.04를 깔아놓고 시너지로 입력장치를 공유해서 사용중입니다. 윈도7이 메인이구요.
제방이 거실의 공유기와 거리가 좀 있어서 무선랜 수신상태가 썩 좋지는 않지만 두 놋북에서 인터넷하고 NAS데이타 읽고 쓰는데 큰 지장은 없습니다.
문제는 시너지 또한 이 무선랜을 통해 작동하다보니 입력랙이 좀 심합니다. 유투브를 보거나 할때면 어김없이 마우스가 끊어졌다가 한참 후에나 간신히 연결됩니다. 겪어보신 분들은 아시겠지만 이게 상당히 성가셔서 어떻게 해결방법이 없을까 인터넷을 뒤져보니 (항상 그렇듯이) 저랑 비슷한 고민을 한 사람들이 랜선을 연결해서 해결을 보았다는 글들이 좀 있더군요.
방법은 무선랜 접속 상태에서 두 기기간의 유선랜을 서브넷으로 추가하고 시너지 서버/클라이언트에 이 아이피를 설정하는 방법입니다.
문제는 우분투에서 이 두 네트웍 레인지를 동시에 열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즉 wifi가 연결된 상태에서는 ethernet접속이 자동으로 비활성화되고 (시너지 사용불가) 이 ethernet을 강제로 연결시키면 wifi가 죽어버려서 시너지는 되지만 인터넷이 안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우분투에서 wifi (인터넷) 및 ethernet(시너지)을 동시에 활성화 시킬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다른 무슨 셋팅을 건드려야 하는걸까요?
아니면 일반 이더넷케이블이 아닌 crossover케이블을 써야 할까요?
참고로 시너지 이더넷 연결방법은 다음 사이트를 참고했습니다
http://superuser.com/questions/292926/use-lan-to-interface-synergy-while-having-wifi-connected-to-internet
코멘트 6
-
건설노무자
01.14 20:55
요컨데 제 설정에서 랜선만 크로스오버로 바꿔주면 된다는 말씀으로 이해가 되는데 맞나요?
인터넷에서 검색한 결과로는 굳이 크로스오버일 필요는 없다는 의견들이 지배적이어서 일단 일반랜선으로 했거든요. 옛날에 구형엑박 연결할 때 쓰던 크로스케이블이 있을텐데 찾아봐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건설노무자
01.14 23:29
크로스케이블 찾아서 연결했고 윈도7에서는 유선랜카드를 아래와 같이 설정했습니다우분투 역시 무선랜은 기존 설정 그대로 놔두고 유선랜카드만 다음과 같이 설정했습니다(화면캡춰가 잘 안되는군요)Wired connectionMethod: ManualAddress: 10.0.0.2NetMask: 255.255.255.0Gateway10.0.0.1뭐 딱 여기까지만 했는데 여전히 시너지는 잘되고 인터넷은 안 됩니다. 하나 특이점이라고 할 만한건 무선랜과 유선랜이 둘 다 연결상태로 뜨기는 하는군요 (가만히 생각해보니 처음부터 이랬습니다). 단 인터넷만 안 될뿐입니다. ping을 보내도 소식이 전혀 없구요.ifconfig로 보면 유선랜/무선랜 다 ip를 받아오기는 하는걸로 나오거든요... -
유선은 중간에 거치는 것 없이 기기끼리 직결하신거죠?
Ubuntu쪽의 유선 설정에서 Gateway는 빼 주세요.
-
건설노무자
01.16 10:12
야채님, 말씀대로 해보니 잘 되는군요 감사합니다^^
유투브건 뭐건 트래픽에 무관하게 랙없네요~
(근데 혹시나 하고 크로스오버 케이블 빼고 공유기사면 주는 짧은 랜선 그냥 연결해봤는데 얘도 잘 되는군요??)
-
요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들은 Auto negotiation이 기본 지원이니까요. :-)
Auto negotiation이 비정상 동작하는 경우만 아니면, direct/cross 구분에 별 상관없이 잘 동작합니다.
음 하시고자 하는 적인 이해를 했습니다만
건설노무자님이 네트워크 이해가 되셔야하만 하실수 있을 것 같습니다.
하시고자 하면,
1. 우선 허브(크로스케이블)나 WIFI공유기가 각각 필요합니다. 1개의 공유기로는 불가능하며, 크로스 케이블도 가능합니다.
2. 각각 윈도우,리눅스(우분투)에서 라우팅을 잡아 주셔야 합니다.
synergy를 유선으로 했을 때, 사설IP와 prefix를 잘 잡아주시고, 사설IP 라우팅을 허브(크로스케이블)이 연결된 NIC로 잡아주시고, 나머지 모든 것은 인터넷인 연뎔된 wifi로 잡아주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