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담 스페인유저의 Archos Gamepad 리뷰 #2.Spec
2013.01.29 18:14
Source : http://manguiro.blogspot.com.es/2012/12/review-video-consolatablet-archos.html
author : Deen0X
///////////////////////
문단별 간단 요약 및 '발'번역+'발'의역
[주의 : 스페인어 원문을 영어로 번역[구글번역]한뒤, 어줍잖은 실력으로 번역해본 것입니다. 부정확한 부분, 오/탈자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스펙
Archos 홈페이지에 게시된 내용입니다.
아래는 AnTuTu Benchmark 와 Quadrant Standard 어플리케이션의 스크린 샷 입니다. 시스템 제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Quadrant Standard Info
AnTuTu Benchmark System Info

벤치마크와 퍼포먼스 테스트
다른 기기의 테스트와 달리, 이 기기는 루팅이 되지 않은 상태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였습니다. 즉, 일반적으로 CPU가버너를 Performance로 놓고 진행했지만, 이번 테스트에서는 기본 가버너인 interactive 에서 테스트 되었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좀 더 자세히 설명드리자면, 'CPU 가버너 정책'이라는 것은 CPU에 적용되는 관리방법 중 하나입니다. 가버너 정책에는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Performance'는 CPU를 항상 최고 성능으로 작동하게 하지만, 배터리 소모가 큽니다.
다른 가버너들은 자세히 설명드리기엔 너무 복잡하기 때문에 간단히 설명드리자면, 정책의 이름과 가버너 작동 방법에 따라 다른점은 극히 적지만 결과에는 매우 큰 차이를 나타냅니다.
Interactive 방식은 CPU를 system이나 사용자가 요구하는 activity가 존재하여 더 많은 성능이 필요할때 CPU 속도를 가속하며, 여유가 있을때는 CPU 속도를 감속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가버너의 문제는 CPU가 특정 작업들은 낮은 클럭으로 처리하게 된다는 것과 기기를 깨운 뒤[wake up]의 속도를 끌어올리기 까지의 공백기간의 반응속도가 Performace 가버너에 비해 조금 느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눈에 띌 정도로 느린 건 아니지만, 시스템이 느리게 작동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하죠.
그렇기 때문에 필자는 잘 모르는 사람들을 위해 광범위한 설명을 반복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제 벤치마크의 결과를 통해 기기의 성능을 알아보도록 하죠.
Note : 이 테스트의 형식에 따라서 강조된 부분이 있습니다. 최고점수가 나온 어떤 기기든, 항상 최고점수를 유지하진 않습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다른기기가 최고점수로 등록될 수도 있기 때문에 다른 기기를 성능을 완벽히 뛰어넘을 정도로 '완벽'하거나 '최고'의 성능을 가진 기기라고 말할수는 없습니다.
여러 관점에서 기기의 성능테스트를 할수 있는 많은 앱들이 존재합니다. 필자의 글에서는 일반적으로 Quadrant와 AnTuTu Benchmark 라는 어플들을 사용합니다. 이 어플들은 디바이스 간의 비교를 가능하게 해주는 테스트 앱으로 잘 알려져있습니다. 아래 테스트 결과는 Quadrant Standard 와 Antutu Benchmark의 결과입니다.
Quadrant Standard
결과 :
CPU : 6564
Ram : 3475
DB I/O : 6734
2D : 1061
3D : 2116
Total : 3990
그래프에서 볼 수 있듯이, 기기의 전반적인 퍼포먼스와 위치는 Asus Transformer Prime TF201과 엇비슷합니다.
AnTuTu Benchmark
결과 :
Ram : 1796
CPU Int : 2282
CPU float : 1654
2D : 1248 [600x976]
3D : 4602 [600x976]
DB I/O : 555
SD write : 94(9.4MB/s -> 거의 Class 10급 입니다)
SD read : 21(2.1MB/s -> 벤치마크에 에러가 있는듯 합니다. 실제 성능이 그렇지는 않습니다)
CPU frequency : 1608Mhz(x2) -> 1.6Ghz로 작동(가버너:interactive) X 2 Cores
Total : 12252
Note : 테스트는 기기의 내장메모리를 사용했습니다. 'SD읽기'항목의 테스트 결과는 벤치마크상의 에러같아 보입니다. 읽기보다 쓰기가 빠른 메모리를 찾아보긴 힘듭니다.
루팅(아직 불가능)과 구글플레이(안드로이드 마켓)
글을 작성하는 시기에는 루팅을 할 방법을 찾지 못했습니다. Archos 제품의 특징 중 하나로, 기기를 루팅할 프로그램을 제공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하단 status bar 없이 게임을 풀스크린으로 즐기고 싶은 사용자나, CPU 가버너를 바꿔 성능을 높이거나, 배터리를 아끼고 싶은 사용자는 좀더 기다려봐야 겠습니다.
반면에, 구글 플레이는 공장출하시부터 설치된 상태입니다. 덕분에 기기를 벽돌로 만들수도 있는 귀찮은 작업을 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전에 출시된 대부분의 Archos 기기들은 AppsLib과 같은 대체 앱스토어를 설치해왔으나 구글 플레이보다 더 적은 수의 앱을 제공하고, Archos 에서 출시한 기기들은 그 중에서도 일부의 앱들만 작동한다는 문제점이 있었습니다.
따라서, 루팅을 해서 구글 플레이를 설치해야만 제대로 기기를 활용할 수 있었습니다.
조작감
아마도 가장 흥미로운 부분일텐데요, 기기를 사용하면서 느꼈던 점들을 되도록 간단명료하게 정리하도록 하겠습니다.
저번에 언급했다 싶이, 버튼 레이아웃은 특정 동작시 불편함을 주는데, 게임을 할때 바로 영향을 미칩니다. 버튼과 아날로그 스틱 사이의 공간이 매우 협소하여 게임을 플레이할때 좀더 세밀한 컨트롤을 하기 힘듭니다.
게임플레이시의 컨트롤 방법을 몇가지로 정리해봤습니다.
- 조이스틱을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게임
- 조이스틱/키를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게임
- 조이스틱/키를 지원하지 않는 게임. 맵핑이 필요. Archos Mapping Tool 이용.
- 터치게임
조이스틱을 네이티브로 지원하는 게임
필자는 기기를 테스트하기 위해 Shadowgun이라는 게임을 자주 플레이하는데, 오른쪽 아날로그 스틱으로 조준을 하고 쏘는데 문제가 있음을 발견했스빈다. 해결하기위해서는 게임 옵션에서 '민감도'를 낮춰주어야 합니다. (이 게임은 네이티브로 조이스틱을 지원하기 때문에 해당 옵션이 켜져있습니다) 그 뒤에는 만족할만한 조작감이 되었습니다.
참고로, Yinlips YDPG16의 키맵핑을 사용하여 이 게임을 플레이할때는 오른쪽 아날로그 스틱이 없었기 때문에 액션버튼들[역자 : A,B,X,Y]들로 조준을 했었습니다. 필자가 비교해 볼때, Archos Gamepad에서 처럼 아날로그 스틱으로 조준하는 것 보다 디지털 스틱[역자 : YDPG16처럼]으로 조준하는게 좀더 편했습니다.
Note : 게임을 플레이 하기 싫었다는게 아니라, 오른쪽 아날로그 스틱으로 정확한 조준을 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에 포기했습니다. 디지털방식[역자 : YDPG16]처럼 조준 속도를 최소로 제한해놓았다면 잘할수 있었을 겁니다.
조이스틱을 지원하는 다른 게임인 Dead Trigger도 비슷한 문제가 발생하여 오른쪽 아날로그 스틱(일반적으로 조준하는데 사용)으로 정지된 사물을 조준하기도 매우 힘들었습니다. (Shadowgun에 나오는 폭탄거미처럼 움직이는 사물을 조준하는 것은 말할 필요도 없습니다)
위에서 언급한 게임들외에 정확한 조준이 필요하지 않는 슈팅게임이나 기타게임들은 100% 즐길수 있는 수준으로, 전체적인 조작감이 좋았습니다.
그러한 게임들의 예로 조이스틱으로 조종가능한 Riptide GP와 같은 게임이 있습니다(설정할 필요도 없습니다)
Grand Theft Auto III는 아무것도 설정하지 않고 플레이 할 수 있었다는 점이 놀라웠습니다. 이 게임은 이미 조이스틱이 달린 안드로이드 장치를 지원하고 있었기에, Archos Gamepad도 그대로 지원하는 모양입니다. [역자 : GTA3는 Xperia Play를 네이티브로 지원합니다]
Sympony of Eternity라는 RPG게임도 네이티브로 조이스틱을 지원합니다.(게임을 플레이하는데는 D-pad와 몇개의 버튼만 있으면 되긴 합니다만)
이런 게임들의 대부분은 왼쪽 아날로그 스틱을 캐릭터를 움직이는데 사용하는데, 이런 게임들은 플레이하는데는 당연한 조작법입니다.
조이스틱/키를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게임
이러한 게임들은 대부분 Android에서 십자키를 키보드의 화살표키에 맵핑을 시켰기 때문에 우연스럽게 부분적으로 키를 지원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런 경우가 꽤나 다양한데, 그중에 하나인 Wild Blood라는 게임에서는 어떠한 안드로이드 기기에서나 키보드만 연결되면, 키보드 방향키로 캐릭터(Lancelot)를 움직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키 맵핑 기능을 사용하면 될것 같아보이지만, 그렇게 되면 머리아픈 골칫거리가 하나 생기게 됩니다.
하나의 버튼이라도 가상 키 맵핑을 사용하게 되면, 모든 키들이 가상 키 맵핑 앱에 종속되게 되어 네이티브로 작동했던 키가 하나도 작동하지 않습니다. Wild Blood에서 공격키가 할당되어 있지않아, 가상 키 맵핑으로 공격키를 할당하게 되면, 캐릭터를 움직이던 십자키가 작동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결국 모든 키를 맵핑시켜 주어야 합니다.
조이스틱/키를 부분적으로 지원하는 다른 게임들
- Order & Choas
- Gangstar Ri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