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F Project Phase 2 태블릿에 현재까지 살려진 기능
2014.12.03 20:37
나중에 좀더 자세하게 리포트에서 이야기 드리겠지만
하나하나 집고 넘어가겠습니다.
기기는 RK3188로 보시면 됩니다.
1. Wifi On상태시 배터리 소모량
베이스모델인 U3T에서도 거의 없었지만
전혀 볼수가 없습니다.
상당부분 재미있습니다.
2. Widi기능
이건 Windows 8.1타블렛에서도 구현된 기능이지만
크롬캐스트와 같이 Widi동글이 있으면 무선 디스플레이로
기기에 나온 화면을 볼수 있습니다.
3. GPS
이야기 드렸지만 인증부분과는 무관한 GPS는
아예 살려두었습니다. ^^;
꽤 재미있을겁니다.
4. 조도센서
이부분은 좀더 봐야지 알겠는데요.
기본적인 스펙데이터 상에는 Gyro와 나와있다고 하는데
화면밝기에 따라서 달라지는건지 아니면
오토셋팅이 기본적으로 들어있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여간 화면이 방안의 조도에 따라서 바뀌긴 하는듯 합니다.
5. update.zip의 인식
이게 상당히 중요한데요.
RKbatchTool의 경우 IMG파일로 업데이트를 시키는데
STUF Project Phase 2 태블릿에서는
update.zip을 SD카드 혹은 낸드의 공영역에 넣어두면
알아서 인식을 해
업데이트 할건지 안할건지 물어 봅니다.
이 이야기는 현재 펌웨어에 UPDATE 어플이 존재해서
서버만 괜찮다면 자동업데이트도 가능하리라 봅니다.
6. 어플영역
현재 1기가로 셋팅되 있습니다만
상황을 보고 늘릴지 줄일지 고민좀 해봐야겠습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전체 용량중에 OS가 차지하는 부분은 약 1.5기가정도 됩니다.
16기가로 낸드를 정하면야 조금 올려도 상관없늕데
8기가로 내릴경우에도 어플영역을 1기가로 잡는다 하더라도
공영역이 5.5기기정도 남아서
웬만한 게임 2게정도는 낸드에서 실행하기 용의하긴 합니다.
7. 다음팟플레이어의 구동
이부분은 상당히 재미있는데요.
개인적으로 스트리밍어플에 호환이 가장안되는게
다음팟플레이어라
이걸 기본으로 잡고 테스트를 하면 웬만한건 다 호환됩니다.
다음팟플레이어의 문제는 이렇습니다.
호환이 맞지 않으면 실시간 동영상을 볼때 계속 무한 버퍼링이 됩니다.
따라서 다음팟플레이어에서 구동이 된다면 우리나라에서 웬만한
인강은 볼수 있다는 이야기도 될겁니다.
이정도입니다.
좀더 기대해 주세요.
코멘트 14
-
해리필터pc
12.03 23:39
-
햇반
12.04 00:13
저도 기대가 되는데요.
그래도 태블릿은 뭐니 뭐니 해도 액정 화질이 중요한 것 같아요. 액정화질 어느 정도 되어야 다른 것에 대한 관심이 가더라구요.
본 모델은 화질이 어느 정도인지, 굉장한 정도는 아이더라도 인터넷 할 결우 글자에 대한 인식율이 좋았으면 합니다.
수고하세요.
-
IPS 1280X800에 DPI 160으로 설정되 있습니다.
가독성은 좋은데 (사진찍어 놓죠) 개인적으로는 1280X800을 별로 좋아하는 편이 아니라서요..
-
위안화 환율이 떨어지기를 간절히 기도하겠습니다
-
저도 달러화랑 위안화가 떨어졌으면 좋겠어요. 아무리 협상 잘해도 9월달쯤 예상한 가격하고 3-4천원 더 올라갑니다. T_T~~
-
구르미
12.04 08:33
ㅠㅠ 환율이...
-
수빈아빠처리짱
12.04 08:59
GPS 지원이 가장 좋네요.
블루투스도 있으면 좋겠지만...그건 없어도 무방하니..
-
풀맨
12.04 09:36
조도센서가 있으면 센서 어플로 측정 가능할겁니다. 조도센서 동작단위가 어떤건 1단위인데 어떤건 몇백단위로 작동하더군요. 센서가 1단위 지원한다면 펌웨어 문제로 더디게 움직이는 걸수도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e-compas도 있으면 좋겠지만... 그리고 환율은 한동안 쭉 올라갈겁니다. 그나마 위안화직거래가 가능해져서 수수료가 낮아진다는게 유일한 위안인데 런칭할 때쯤 원달러 1300원 이상 올라갈 수도 있습니다. 물가도 상승할것 같고... 그런 부분이 좀 안타깝네요. -
풀맨
12.04 09:40
아 그리고 어플영역은 요새 많이 필요합니다. 현재 가진 태블릿이 어플 영역 2기가인데 게임 몇개 설치하니 저장소 부족 뜹니다.(sd로 옮길만한건 다 옮겨도)확장 가능하면 어플 영역 4기가 이상을 추천합니다. 아니면 요즘 추세대로 통합영역방식?을 쓰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 -
조도는 측정가능한 기기도 있으니 크게 문제는 없는데 자동밝기와 수동밝기사이에서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가 중요합니다. 어제 오늘 밤샘하면서 지금 기초 데이터 자료 만들어 놓고 있는데 일단 e-compass는 존재하는 걸로 나오는데 오늘 오프라인GPS 어플을 깔았으니 밖에 나가서 테스트 좀 해봐야겠습니다. 어플영역에 관해서는 락칩은 RK3188이나 RK3288에서 통합영역으로 낸드를 셋팅한게 킷켓에도 없기에 (롤리팝쯤 가면 모르겠으나) 좀 늘리는 방향으로 가야할지 논의좀 해봐야겠습니다.
환율문제는 현재 환율우대를 받을수 있는 은행에 계속 연락을 하고 있습니다만 통밥을 굴려봐야 송금액이 총액 1억도 안되는 거라 잘 받을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T_T~~
-
풀맨
12.04 10:53
e-compass 마지막 테스트는 구글 스카이 맵 추천합니다.(실내에서도 가능) 요것만 제대로 작동하면 진짜 쓸만한 물건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e-compass 없으면 실행은 되도 좌우 방향 전환이 안되더군요.
-
풍수지리학
12.04 12:20
블루투스 기능도 있나요?
-
뱃살크리
12.04 13:27
저도 어플영역 좀더 확장에 한표 드립니다.
나머지야 microsd로 확장이 되는데, 요즘 어플들 용량이 큰게 많아서 조금만 설치해도 찼다고 하더라구요.
나머진 기대됩니다. 초보자분들도 쉽게 업데이트 하겠네요. ^^
-
HAppyGuy
12.05 10:47
와우 정말 기대되네요 ^^
오오 기대가 되네요
이 프로젝트의 결실이 맺어지면 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