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IP를, 고객사 고유 IP로 생성 가능할까요 ?
2013.05.03 15:19
컴퓨터 IP를, 고객사 고유 IP로 생성 가능할까요 ?
저희가 장비를 공급하면서, 장비를 운용하는 컴퓨터를 같이 공급합니다.
그런데, 직원이 미팅을 가서, 고객사 전산팀과 미팅을 했다고 하면서
"컴퓨터 IP를, 고객사 고유 IP로 생성 가능할까요 ?"
라고, 물어봅니다.
제가 아는 상식의 선에서, 이해가 안됩니다.
I.P는 Internet Protocol 이라는 뜻이고
컴퓨터 자체가 ip를 가지는것이 아닌(약간 비슷하기도 하지만)
컴퓨터가 인터넷에 연결이 된 이후, 인터넷에서 그 컴퓨터에 대하여 ip를 부여하는것인데
고객사의 고유 ip(특정 ip 번호를 가지게 해달라는 것, 같은데)
정확하게, 고객의 요청이 이해가 안됩니다.
제목의 요청이 가능한 것인지..
위 요청과 비슷한 상황의 상상이 가능하실지..
고수님들께 문의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18
-
전설의주부용사
05.03 15:25
Vpn에서ip 하나 할당되게 해달라는것 같은뎁슈 -_-ㅋ -
맑은하늘
05.03 15:30
감사합니다.
"vpn ip 할당" 검색중.. 입니다
-
맑은하늘
05.03 15:38
검색 해 보았네요. vpn ..ip 등
http://www.pptp.co.kr/apply/diff.htm
제 생각에는, 위 요청이, 장비의 공급사가 아닌, 고객의 전산팀 쪽에서, 컴퓨터에 추가로 s/w를 설치하든지.
그쪽 스코프에서 할 이슈가 아닌가 해서요.
감사합니다.
* 추가 : 용사님의 안내가 맞다면, 컴퓨터 공급사쪽에서, 해 준다면, 소프트웨어나, 추가 장비가 필요한가요 ?
vpn 서비스는, 매달 비용을 지불하고, 사용하는것 아닌가요 ?
-
맑은하늘
05.03 16:34
-
맑은하늘
05.03 16:34
여담 하나, 위 링크 새로 열리게 했는데, 창이 새로 열리지 않네요.
이건 뭐지..
-
VPN 보시면 됩니다. 파코즈에 나의 테크니컬 팁에 VPN서버 만드는 방법이 나와있어요 윈도우에서..
-
맑은하늘
05.03 18:12
넵 감사합니다. -
근데 이건 그쪽 전산팀에서 해결해주어야 할 이슈죠. 고객 회사의 네트워크 망을 같이 구축해준게 아니라면요.
지금 그 직원과 맑은하늘님 모두 관련 지식과 정보가 부족한 상태로 보입니다. 이럴 경우 고객이 원하는걸 전혀 다르게 대처해서 잘못된 대처에 돈만 깨지고 욕만 먹고 나중에 다시 처리하기 위해 더 큰 돈이 깨지고 몸이 힘들 가능성이 높아요. 가능하면 VPN이나 네트워크에 대해 어느 정도 아는 주변 인물을 수소문해서 고객 미팅때 잠깐 도움을 받는게 좋을거 같습니다.
만일 납품하시는 제품이 네트워크와 관련이 없다면, "네트워크 쪽은 저희가 잘 몰라서요." 라고 고객을 설득하고 한 발 빼시는게 좋습니다. 관련도 없고 정확한 지식도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섣불리 고객에 대한 예의라고 생각해서 아는 척을 하는 것이 결코 양 사에 도움이 되지 않습니다.
-
맑은하늘
05.03 18:18
넵. 감사합니다.
vpn인지도 정확하지 않네요.
고객이 무엇을 요구하는지가 정확하지않고
말씀하신대로 저희는 컴퓨터만 공급하는것이지
네트워크를 공급하는것은 아니랍니다.
그런데.. 고객사 전산팀에서. 왜 . 무엇때문에 그러는것인지 파악이 안되네요
/ 말씀하신대로 그 파악이 먼저겠죠
위 내용과 다른 이슈인데..
저 컴에서.. 리포트가 나오는데. 리포트안의 데이터를 엑셀 포맷으로.. 액세스 포맷으로
나오게 해달라는 요청도 하네요.
다시한번 댓글 감사드립니다.
/ 문제는 장비가 수입 장비여서. 공급사와 고객 조율하는것도 어렵네요 -
다시 읽어보니, 제가 너무 시건방지게 조언한거 같아서 저도 손발이 좀 오그라드는거 같네요~ 저희도 맨날 하는 실수라서요. ^^;; 막상 "안되요!" 라고 담당자에게 이야기했더니 너무 당연히 "네~"라는 응답이 왔던 경우도 참 많더라구요. 괜히 우리가 너무 쫄아서 막 이것저것 대응해주다가 그만 문제를 키우는 경우가 저희도 참 많더라구요.
그리고 엑셀포맷으로 데이터를 만드는건 생각보다 어렵지 않습니다. 테이블 형태로 HTML 문으로 데이터를 뽑고 그걸 xls 확장자로 저장하면 엑셀에서 테이블을 자기네 포맷으로 읽는답니다.
-
인터넷 초창기에는 ip 고정이 기본이었는데 말이죠 ^^;
글 내용으로 보면 해당 사항은 제공하시는 솔루션에서 당연히 포함되어야 할 내용으로 보입니다.
요즘엔 없으면 이상한 기능인데요.
-
맑은하늘
05.03 23:16
없으면 이상함의 차이가 있는것 같습니다.
스코프의 영역이라 생각되네요. 의견 감사드립니다.
-
시나브로
05.03 22:42
pc ip를 자동할당이 아닌 고객사에서 쓰는 고정ip로 셋팅해달라는 얘기 아닌가요?
-
맑은하늘
05.03 23:15
그렇게 할 수 있는건가요 ?
감사합니다.
-
김강욱
05.04 00:08
이 얘기가 맞는 쪽으로 생각이 드네요.
쉽게 말하면, 고객사쪽에서 세팅하기 귀찮으니, 고객사의 IP 에 맞춰서 세팅해서 주면 고객은 그냥 갖다 끼우겠다.
뭐...생각하면 당연한겁니다.
별건 아니니, 해주시는게 나을 듯 합니다.
-
이게 꼭 그렇지많은 않아요. 쉽게 고정IP만 세팅해주면 되는거면 아주 단순한건데, 그 회사에 VPN을 사용하고 있다거나 아니면 특정 네트워크를 쓰고 있다거나, 혹은 IP를 전산팀에서 관리하는데 전산팀이 그걸 외부에 알려주지 않는다거나 하는 규칙들이 존재하게 되면 골아프게 되거든요.
저도 예전에 프로그램에 메일전송을 가능하게 해달라는 추가 요청을 받았습니다. 어려운 일은 아니라 흔쾌히 서비스 삼아 해준다고 했죠. 그쪽에서 자체적으로 구축한 SMTP 서버 주소까지 받아서 작업을 진행했지만, 죽어도 메일은 가지 않더군요. 거의 일주일간을 고생하고 출장비 날리고 난리쳤지만, 결국 상위 전산팀에서 "저희는 SMTP 포트는 다 걸러냅니다." 라는 답변을 받은 적이 있었죠. 하부 부서의 전문가라는 사람은 SMTP가 뭔지도 모르기 때문에 일주일간 제대로 된 답변을 받을수도 없었고, 저희는 그 상위 전산팀에 문의할 창구가 따로 없기 때문에 이유도 몰랐구요. 결국 "메일 보내는 기능도 제대로 구현 못하는 회사"라고 갈굼을 엄청 받고 욕만 먹고 끝났습니다.
계약된 업무 이외에 다른 업무도 덤으로 받아서 진행할때는 신중히 접근해야 합니다.
-
자갈시계
05.04 15:54
무슨 장비인지 모르지만 ,,
전산팀이 요구하는 것이 조금 애매하네요,,
고유 IP라는 것이 사내망 IP 인지 ,,공인IP인지 설명이 없어서..
전산팀이라면 그정도는 알아서 해결하지 않을까요?
어차피 IP 할당은 라우터 관리자의 권한이 필요합니다.
인트라넷 연결이 필요치 않으면 사내망 IP 하나를 고정으로 사용하고 싶다는 말인거 같네요..
라우터 관리자에게 컴퓨터의 MAC주소를 알려주고 IP를 고정할당 받을 수 있을겁니다.
-
유태신
05.07 02:05
PC IP를 고유IP로 만든다는 말은, 고객사 PC IP를 DHCP 서버에서 유동을 할당하지 말고, 각 PC의 IP를 고정 IP로 해 달라는 말인 것으로 보입니다. 이럴 때에는, 각 PC 마다 고유의 IP를 배정한 다음 각 PC의 네트워크 설정에서 설정하면 됩니다.
당연히, 현재 사용하고 있던 DHCP 서버는 정지시키거나, PC에 배정하고 남은 영역만 유동으로 할당하게 DHCP의 IP 관리 영역을 조정하면 됩니다. 이것은 사내에서 임의로 지징한 사설 IP 이든지, 통신사에서 배정받은 IP이던지 상관 없는 문제입니다.
그리고, 만약 회사 밖에서 접속을 원하는 것이라면, 고정 IP이냐의 문제보다는 공인 IP를 통신사에 신청할 것인지, 아니면 DDNS를 이용할 것인지의 문제입니다. 공인 IP라면 204.103.10.138 같은 숫자로 된 IP를 배정받을 수 있고, DDNS라면 IP 주소는 수시로 바뀌지만, DDNS에 고정된 URL을 등록하여 URL로 접속하면 됩니다.( DDNS에서 해당 IP가 바뀔 때마다 새로 갱신하게 되어 있습니다)
VPN은 IP 주소 체계와는 상관 없이, 사내망을 구성하는 시스템의 한 방식으로, 같은 울타리 안이 아닌 서로 물리적으로 떨어져 있는 두 지역을 하나의 망으로 구성하기 위해서 개발된 개념입니다. VPN은 이를 위해 별도의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사용해야 합니다.
일단, 고객사의 생각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필요가 있겠습니다. 무엇을 원하는 건지 말이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