롱릴리프라고 아시나요?
2025.07.07 23:37
한국말로는 필승조라고 합니다. 보통 5선발 경쟁에서 밀려난 투수들이 가는 보직이라고 하더군요. 여기서 욕심이 나는 선수들의 경우 팀을 낮춰서라도 선발로 올라가려고 한다는군요.
제가 이직했을 때 바로 투입되었던 프로젝트는 패전처리조(추격조) 같은 경우였습니다. 프로젝트 기안하고 초안을 잡은 분석가는 꽤 괜찮은 커리어에 인정받아서 AI팀으로 이동하고 제가 실무자로 왔는데 다들 망한 프로젝트라고 했을 정도였습니다. 전임자가 뼈대는 잘 만들어놨는데, 팀장님이 욕심 부리면서 껍데기는 화려한데, 중요한 로직은 아직 정해지지 않은 프로젝트였습니다. 아시겠지만 경력자가 이런데 투입된다는 의미는 어찌 되었던 살려내서 "너의 능력을 증명하라"입니다. 투수로서는 끝물인데다 마무리도 제대로 못지면 그냥 퇴출인거죠.
다행히 저와 함께 일했던 차장님이 무척이나 해박했고 다른 부서/팀과의 조율하고 정리하는데 뛰어난 분이었어요. 저는 짧은 기간내에 쿼리와 요건을 정리하고 빠르게 뼈대를 잡아가서 결국 2달 정도 야근해서 프로젝트를 살려내고 1차례 연기해서 제시간에 시스템 오픈하고 부서장님도 마무리 보고를 했습니다. 1년 정도는 해당업무 담당해서 안정화시키고 후임도 받아서 인수인계 하고 저는 지금 다른 일을 하고 있습니다. 당시에는 다른 중요 시스템 개발 사이에서 해당 시스템 홍보하고 이를 다른 부서에 전파하는 걸로 꽤 인정받아서 같이 일했던 차장님은 작년에 승진을 했습니다. 저도 다른 일을 하다가 올해초에 직급 조정을 했구요.
그 차장님이 올해초에 팀에 복귀하면서 팀장님이 되셨네요. 얼마전에 술자리에서 그러시더군요. "이 정도면 1선발은 아니어도 3선발 정도로는 올라온거 아닌가요?" 저는 그당시 인정 받은 덕분에 다른 일을 하면서 고집스레 제 주장을 해서 작년에는 새로운 일을 하게 되었고 올해에도 다른 일을 하고 있습니다. 그 프로젝트 할 때 그런 이야기를 한 적이 있습니다. "나이 많은 퇴물 투수 데려다가 패전 처리시키다가 어찌어찌 동점까지 버티니까 이제는 선발 등판까지 하라는 거 아닙니까?" 그래도 어찌어찌 버티고 경력자 포스를 뿜어내며 시키는 일을 그럭저럭 해내니 여기까지 왔네요. 올해 4번째 계약 했는데, 좀더 일해보고 싶습니다.
아래는 제가 좋아하는 엘지 트윈스 롱릴리프 롸켓 이동현 선수입니다. 경기도 안좋고 사방에서 구조조정, 정리해고, 권고사직이 난무하는 요즘입니다. 이번달도 다들 잘 버티고 더위 잘 이겨내시기를 기원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