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과 MacOS를 함께 쓸 Macbook을 구매하려고 합니다.
2012.06.06 16:15
안녕하십니까? 정상호라고 합니다.
정말 오랜만에 들어왔는데 운영자님들께서 많이 애쓰신 듯 깔끔한 모습이 너무 좋습니다.
앞으로는 다시 자주 들러 함께 나누는 기회를 가지려고 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만능문답의 힘을 믿고 질문드립니다.
먼저 제가 컴퓨터를 쓰는데 평범치 않고 유난스러운 사람임을 아는 분은 아실....
아실 분이 계실까 싶기도 합니다만... 하도 뜨문뜨문이라.... 어쨌거나...
Macbook을 구매할 계획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장 오늘 내일은 아니지만 여름이 지나기 전에는 구매하려고 합니다.
제가 외국에 있는 관계로 구매처는 한국도 좋고 ebay도 좋습니다.
뭐 크게 보면 Macbook의 사양이 다양한 것은 아니지만,
ebay에서 보면 또 간단치만도 않아서요.
업무 관계 상, Win을 포기할수는 없고 새로운 세상도 보고 싶으니
파티션을 나누어서 Win과 MacOS를 함께 설치할 생각입니다.
가능하면 고성능으로 i7 2세대 CPU를 생각하고 있습니다.
문장으로 쓰니 장황해지니 간단히 원하는 사양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CPU : i7 2nd gee.
RAM : 4G or more
HDD : Win과 MacOS 동시 설치 가능 크기
현 Win7 설치 TP X201, 500G 설치 - Recovery 제외 336G 사용
아무래도 SSD는 포기해야겠죠?
LCD : 13.3" 또는 15.4"
ODD : 별도의 외장기기 사용 가능. DVD 재생 필수, 내장도 괜찮음
무게 : 2kg 대. 다만, 외장 DVD나 전원 추가 무게는 괜찮음
제가 노트북 사용 시, 인터넷 검색 창은 보통 8 ~ 15개, 프로그램은 5~10개를
동시에 열어놓고 쓰는 나쁜 버릇이 있습니다만, 버릇을 고치기 보다는
노트북 성능으로 해결해보고자 합니다.
나쁜 버릇이지만 업무를 볼 때는 무척 편해서요.
Macbook을 써보고자 하는 것은 기본적으로는 새로운 것을 써보려는
제 성향 때문입니다. 맥북을 쓰는 경우 키가 좀 달라져서 불편이 있고
번호키도 없어서 전에 쓰던 번호키 달린 마우스도 챙겨두었습니다.
Macbook에서도 잘 작동할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참, 예산은 일단 2,000 usd 선이고 조정은 약간 선에서 가능합니다.
최소한 추가 전원 1개와 액정보호지 등은 함께 마련하려고 합니다.
가방은.... 뭐 있는 것으로 써도 될 것 같습니다.
여러분들의 혜안으로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미리 감사드립니다.
코멘트 7
-
재동
06.07 00:21
-
해색주
06.08 02:11
혹시 기존 모델을 판매하신다면 가격은 어느 정도가 적정한가요? ^^ 비슷한 모델로 사무실에서 버티는 차장님의 모델을 노리고 있습니다. ㅎㅎ
-
휴911
06.07 10:03
이런 피 같은 정보를.... 감사... 망극... 고맙습니다...
저는 게임에는 완전히 젬병이라 괜찮고요. 그러면, 별도로 하드를 나누어 OS를 두개 깔지 않아도 괜찮다는 거네요.
ODD 제거 후 SSD를 장착하는 방안도 생각해보겠습니다.
6/12 면 몇 일 남지도 않았으니 신제품 발매 후 신제품도 살펴보고 가격이 급락할 구 제품도 고려해보겠습니다.
다시 한번 감사드립니다. -
뮤리찌
06.07 13:08
저도 2년 전에 처음 MAC 노트북을 쓰다가 첨에 적응이 안되서(키에 대한 적응) 1년 묶히고 지금은 메인으로 잘 사용하고 있습니다.
저는 라이언버전에 패럴을 써서 win 7을 구동시키고 있습니다.
아직 SSD는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Memory는 8G정도는 올려야지 많은 웹페이지를 열어서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저도 8G로도 가끔 메모리 부족으로 가용 가능 메모리 확보를 하면서 쓰고 있습니다.
어플관점에서는 사용상 불편한 것은 못 느끼지만, MS MAC Office를 쓴 다고 하지만, 아무래도 적응은 잘 안되서
패럴 Win7에서 office를 사용 중에 있습니다.
기타 다른 불편한 점은 새로 키에 익숙해지는 점 이외에는 별다른 것은 없습니다만, HDD(150G)가 작아서 최소한으로
사용하려고 노력하는 점에서 외부 클라우딩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발열이 높아서 무릅에 올려 놓고 쓰기가 어렵습니다 ㅎㅎㅎ
이상태로 2~3년은 더 버틸 려고 합니다...
-
휴911
06.07 13:15
흠.... 지금 사용하는 노트북 HDD에서 동영상 지우고 하면 약 200G를 실제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백업은 하나만 하고요.
500G HDD를 단다고 치고... 집에 있는 Intel SSD 80G를 ODD에 단다?
여러가지 안이 나올수 있겠네요...
-
유태신
06.11 22:13
제 경우 맥에어 13인치 쓰고 있습니다.
cpu는 i7, 램 4기가, ssd 256, 해상도 1440x900인데,,, 아주 좋습니다. 게다가 하드를 125씩 둘로 나누어서 부트캠프로 win 7과 라이언을 번갈아 쓰고 있네요.
패럴렐도 잠시 써 봤는데, 유료인 점도 있지만, 함께 돌리니까 배터리 전원이 훨씬 빨리 닳는다는 단점이... 쩝! 속도는 크게 느려지지 않아서 쓸만은 합니다만...
제가 보기에 늘상 보는 동영상이 아니라면, 차라리 외장 하드로 쓰시고 맥에어 ssd를 쓰시는 것도 방법이라고 봅니다.
체력이 좋으시면 맥북이겠으나, 자주 이동하는 제 경우 1.35kg인 맥에어 13인치도 가끔은 무겁다는 느낌을 지울수가 없네요.. ㅎㅎ
-
휴911
06.12 15:24
동영상, 영화 등을 자주 볼 목적은 아니니 외장 하드 사용은 괜찮습니다만,
ODD는 어떻게 해결하고 계신지요?
저도 가벼운 노트북을 좋아해서 현재 TP X201을 사용하고 있습니다만,ODD가 매번 쓰는 것은 아니지만 음악 DVD나 CD를 들으려할 때는
많이 아쉬운 생각이 들어서요.
혹시 쓸만한 외장 ODD 아시는 것이나 쓰시는 것이 있으신지요?
저랑 성향이 비슷하시군요^^.
6월12일이후에 구매하시길 권합니다. 새로운 맥북, 맥북프로가 출시될 듯 합니다.
참고로 기술된 CPU는 15,17인치 사양으로 한정됩니다.
최소 i5/ 램8Gb 이상 SSD 장착, ODD제거후 하드장착등이면 용량은 해결되면서 여러 복합 작업에도 강합니다.
SSD비장착시엔 7200rpm하드 추천합니다.
부트캠프나 버츄얼로 윈 사용가능하구요, 고사양 게임 안돌릴리면 페러럴즈나 VMware로 대부분 작업가능합니다.
원하시는 것 다 가능하고 인테넷에 정보도 다 있으니 걱정마시고 6월12일이후 결정하세요~
이번달 나올 제품들 기대하면서 3년전 듀얼코어 마지막 모델로 버티는 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