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문성 - 꼭 고치고 싶습니다.
2010.03.18 12:37
예전에 만문에 "가장 00한 것들 중 하나"라는 표현에 대해 문의드린바 있습니다 .
http://www.kpug.kr/21800
어제 퇴근시 MBC라디오를 듣는데 기자가 위와 같은 종류의 표현을 반복적으로 사용합니다.
이것은 단지 MBC만의 문제가 아니라 모든 방송사에서 거의 모든 프로그램에서 기자, PD, 자막, 출연자, 심지어 아나운서까지 사용하는 것을 보고 듣습니다.
꼭 고치고 싶습니다.
방송국에 어떤 방식으로 요청을 해야 반영이 될 수 있을까요?
집중적으로 모니터 해서 기록을 근거로 문제점을 제시해야 할까요?
좋은 생각있으신분 알려주세요.
코멘트 21
-
017
03.18 12:45
-
맑은하늘
03.18 12:46
고객의 소리 및 고객센터(?)가 있을겁니다. 쌍방향 의사소통은 요즘 기본이니까요 !
1. 일단 어제 한건에, 제보한다.
2. 담당 기자, 아나운서, 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제보한다
두가지가 생각나네요.
간혹, 라디오를 듣다가, 이런 이야기도 아나운서들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부분입니다.
뭐, 상식이라고 하기는 그런데... 아나운서라면 공부해야죠 !!
ex) Ir-192, 10Ci
--> 아나운서 틀린, 우리말 발음, "아알 백구십이, 십 씨아이"
--> 맞는 표현, "이리듐 백구십이, 십 큐리"
말로 밥을 먹는 분들은, 전문적인 것에도, 틀린것이 없나, 단위나 발음에 틀림이 없나 항시 공부하고, 점검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하겠습니다.
-
그냥 습관적으로 쓰는 듯 합니다..
혹 안되면.. 우리말 나들이 같은 곳에 제보를 해보셔두 될듯 합니다..
아마 옴부즈맨 프로가 주말에 하는것 같더군요
거기도 제보를 해보심이~~^^
-
맑은하늘
03.18 12:58
생각해 보니, 각 방송사 옴부즈맨 프로그램에서, 진행자 말에 대하여 늘 나왔었네요.
-
로이엔탈
03.18 13:06
고등학교 때 '너무' 뒤에는 부정적인 말이 따라야 한다고 배웠거든요.
그래서 너무 좋다, 너무 이쁘다 같은 말은 잘못된 거라고 하셨는데
텔레비전에서나 라디오에서도 아무렇지 않게 쓰더라고요.
잘못된 것인지 모르기 때문에 사용하는 건 어쩔 수 없겠습니다만, 익숙한 표현을 쉽사리 바꾸려 할런지는...
-
기둥
03.18 14:16
맞습니다.
제가 두번째고 고치고 싶은 것이 바로 난무하는 '너무'입니다.
잘못된 사용 예 --> 추천 예
너무 사랑해 -> 정말 사랑해, 엄청 많이 사랑해, 넘치도록 사랑해 등등
너무 좋아 -> 정말 좋아, 매우 좋아, 아주 좋아, 참 좋아 등등
너무 기뻐
너무의 바른 사용 예로는
배가 너무 불러서 숨을 제대로 쉴 수가 없다.
돈이 너무 많아 주체할 수가 없다.
품질이 너무 좋지 않아 사용할 수가 없다.
너무 비싸서 살 수 없다.
등을 들 수 있겠죠.
-
왕초보
03.18 14:21
돈이 너무 많아가 어찌 부정적인 표현이란 말입니까! 이게 맞다면..
너무 기뻐 [서 주체할 수가 없다] 의 [] 가 생략된 표현이라고 본다면.. 앞의 잘못된 사용 예는 모두 바른 사용예가 되는군요. ( '')
-
기둥
03.18 14:54
왕초보님
그럴 수 있겠네요.
제가 이 분야 전문가가 아니라 문법적으로 어떻게 설명이 되는지 모르겠지만,
지적하신 돈이 너무 많아...의 예는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아야겠습니다.
-
tubebell
03.18 13:22
그런데 가만히 살펴 보면, 우리 생활 중에서도 저런 표현을 많이 쓰는 것 같습니다.
제일 많이 가는 곳 중 하나야...
가장 즐겨 먹는 음식 중 하나지...
고쳐야겠죠... ^^;;
-
편강
03.18 13:25
딱히 생각나는 방법은 없네요;;
jinnie 님 말씀처럼 "우리말 나들이" 등에 제보해서, 사회 전반적인 공감대를 형성해야 해결이 되지 싶습니다만,
그게 현실적으로는 불가능에 가까워보입니다.
저도 우리말을 사랑하고, 제대로 쓰자는 주의지만, 가끔 혼란스러울 때가 있었습니다.
표준어를 "교양있는 사람들이 두루 쓰는 현대 서울말" 이라고 배웠는데,
서울에 오니까, 사람들이 "베개"를 "비개?"라고들 발음하더군요; 그럼 "비개"가 표준어가 되어야 하나.. 부터 시작해서~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어리버리"라는 단어를 쓰고, 알고 있는데~ "어리바리"가 표준어라고 하니 왠지 더 어색하기도 하구요.
과연 뭐가 맞는 건지. 언어의 역사성? 이라고 배웠던 변화는 언제 누가 용인하는건지.. 궁금하게 되더라구요 ㅎㅎ
이건 ps 지만, 기둥님의 질문 글에도 "문의드린바" 는 "문의드린 바" 라고 고쳐야 맞는 것일텐데 하는 생각도 드네요^^;;
-
왕초보
03.18 15:06
우리말의 정의도 정의지만 요즘 맞춤법 바뀌는 걸 보면 국어학자들이 정말 국어를 망치기로 작정했구나 싶기도 합니다.
서울말 이라는 한계로 지금은 어떤지 모르지만.. 서울을 제외한 전국에서 통용되는 단어인 '수레'는 표준어가 아니고, '달구지'가 표준어라고 외어야 했었지요.
-
기둥
03.18 13:31
편강님 지적 고맙습니다.
제가 가장 취약한 부분이 띄어쓰기입니다.
-
편강
03.18 13:48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도 요즘엔 인터넷으로 글을 읽고 쓰다보니,
해괴한 말들이 난무하고, 이모티콘도 들어가고 하는 와중에, 표준어 글쓰기를 자꾸 잊어버린답니다.
어렸을 땐 그래도 받아쓰기 100점 맞고 사탕 받곤 했는데 말이죠 ㅎ
-
지니~★
03.18 13:49
가장 xx한 것 중 하나를 대체할 수 있는 표현은 뭔가요?
-
기둥
03.18 14:06
위 관련 글에 몇 가지 예를 들었습니다.
위 댓글에서도 제가
'제가 가장 취약한 부분이 띄어쓰기입니다' 라고 했습니다.
'제가 가장 취약한 부분 중 하나가 띄어쓰기입니다'라고 하지 않았지요.
-
거스파이
03.18 14:04
적절한 표현 같던데요.
김연아처럼 최고의 기량을 보여주는 선수들한텐 가장 우수한 최고 선수라는 표현에
공감이 가지만 소녀시대와 카라등 두 그룹을 놓고 대한민국 최고의 걸스 그룹중 하나라는
표현이 낫지 않나요? ㅋㅋ
-
기둥
03.18 14:10
위 링크의 관련글에 거스파이님께서 말씀하신 부분에 언급을 해두었습니다.
문화적인 차이가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하지만, '가장' 이라는 단어는 독보적인 것을 표현할 때 즉 하나 외에는 없는 것을 표현할 때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때문에 '가장 00한 것들 중 하나'라는 표현은 전적으로 외래어의 번역에서 비롯된 바르지 않은 표현이라는 것이죠.
이런 경우 우리말로는 '매우 00한 것들 중 하나'라는 표현이 적절하다 생각됩니다.
혹은 '내 생각에(내가 알기로)는 가장 00하다'라는 표현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
힘냅시다
03.18 15:51
좀 특이한 경우이긴 하지만, 사실 비교 대상이 실제로 等價의 가치를 지닐 때,
가장 ~ 한 것 중의 하나 라는 말이 틀리지는 않습니다.
예를 들어 백점을 맞은 학생이 두 명일때,
"우리반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학생 중의 하나"라는 표현은 맞는 표현이죠.
-
기둥
03.18 16:59
동의합니다.
즉 힘냅시다님께서 말씀해 주신 경우에 한해서 사용할 수 있을 뿐이라 생각됩니다.
-
힘냅시다
03.18 15:46
저는 파이팅이라는 말이 징그럽게도 싫습니다.
그런 말을 쓰는 순간, 사람이 달라 보입니다. 그래? 파이팅?
당신 집안에 파이팅이 넘치기를 기원한다... 뭐 그래주고 싶습니다.
하긴 언젠가, 양XX라는 여자 가수가 여성시대라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우리 여성시대 스탭 여러분들, 모두 파이팅!" 이라는 말을 써서, 졸지에 그 직원들을 검투사 집단으로 만든 적도 있습니다.
너, 그게 뭔 뜻인지나 아니.... 스탭들이 파이팅 하고 있으면 보기들 좋겠다. 하기야...
우리 엄마, 아빠 파이팅... 우리 가족 파이팅!! 도 질러대는 판이니...
그 여자분, LA는 죽어도 "엘레이"라고 읽으면서, L 자 발음을 철저히 하는 분이, 한글은 어지간히도 많이 틀리는 분...
하여튼 파이팅! 이라는 말만 들으면 일단 제 안색이 변하나 봅니다. 너무~ 싫어요. (너무의 바른 용례 맞죠?)
-
맑은샛별
03.18 17:56
한글이 쉬운 듯 싶으면서도 많이 어려워요.
자주 사용하는 말 중에도 잘못알고 사용하는 말들이 정말 많더라구요.
특히 글을 쓰고나면 바로 등록해 버리고 다시 읽지 않으시는 분들이 많은 듯 해요.
한번쯤 자신이 쓴 글을 다시 읽어보고 오타가 있는지 확인해 보는 것도 좋을 듯 싶은데 말이죠.
영어의 one of the 삐리리~ 이 표현의 번역체죠?
티비에 보시면 방송사별로 옴부즈맨 프로그램이 있는데 이쪽에 건의해 보시는 것이 어떨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