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투브 업로드가 한국은 안되는 것이었군요
2010.04.27 11:11
낭구공방 습격번개시 찍은 동영상을 어딘가 올려 여기에 링크시켜보려니,
유투브가 대세로 추천이 들어오더군요.
그런대 정작 한국은 업로드가 불가능하다니,
그럼 대체 유투브에 올라와있는 저 수많은 한국 동영상들은 누가 올린것일까요?
음, 뭔가 수를 내긴내야겠는데... 안그러면 엘리스님께 혼나요
코멘트 10
-
iris
04.27 11:17
방법이 있습니다. 사이트 하단의 위치 선택을 '한국'이 아닌 곳(전세계 등)으로 하면 됩니다.
이명박정권에서 더욱 강력하게 추진하던(앞으로는 어찌될지 모릅니다. 스마트폰 때문에 규제를 푼다는 이야기도 있습니다.) 인터넷 실명제 압력에 구글이 반발하여 이러한 조치를 취한 것입니다. 이렇게 불편하게 된 것도 대통령각하 및 이하 각료들에게 어느 정도는 원인이 있습니다...만 우리가 어쩌겠습니까? 법이 그렇게 되어 있으니 각하와 정부에서 하라는 대로 해야죠. 불편하기는 하지만 편법도 있는 만큼 일단은 참고 버텨봐야 할 것입니다.
추신: 인터넷 실명제는 정치권의 안목이 좁으면 어떤 문제가 생기는지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고 봅니다. 이 규정은 이전 정권에서 만든 것이기는 하나 그 시작은 한나라당의 강한 압력때문이었습니다. 하지만 몇 년이 지나 정권이 바뀌고 스마트폰이 대세가 되면서 인터넷 실명제를 유지할 수 있는 시스템적인 근간이 흔들리자(인터넷 실명제를 위한 인증 시스템을 스마트폰에 적용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정작 인터넷실명제를 주장했던 한나라당 안에서 인터넷 실명제의 완화나 폐지를 논의하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문제가 치명적이기는 하나 조금 더 깊게 생각했다면 이런 일이 몇 년안에 벌어질 것이라는 점은 충분히 예상할 수 있었던 부분입니다. 세상이 바뀌면 제도는 바뀌어야 하지만 자신들이 주장해 만든 제도를 몇 년이 못가 정 반대로 뒤집을 정도로 짧은 안목으로 제도를 만들면 안될 것입니다. 국회의원들이야 실적 올리니 좋겠지만 국민들만 피곤해집니다. 한나라당이든 민주당이든 어디든 제도를 만들 수 있는 힘이 있는 곳이라면 국민들에게 영향이 큰 제도를 만들 때는 자신들의 주판알을 튕기는 데 바쁘지 않았으면 좋겠습니다.
-
통통배
04.27 11:22
유투브말고 방법이 없을까요?
아니면 보내들리테니 누가 대신 좀 올려줘효~
-
어차피 쓰지도 않는 제 계정 드릴까요?
-
iris
04.27 11:31
Youtube 말고도 네이트나 네이버쪽에도 UCC 관련 코너가 있습니다. 인터넷 실명제 적용은 받지만 복잡한 설정을 해가며 올릴 필요는 없습니다. Youtube가 불필요한 광고도 없어 좋기는 합니다만 올리는 사람이 불편하면 문제가 되겠죠.
-
근데 네이트나 네이버는 외국에서 보기엔 너무 힘듭니다. 거의 안보인다고 봐도 무방하죠.
-
네이버 는 기본적으로 video 인프라를 이제 접는 분위기입니다.
제가 시스템 담당자였기에 애틋하네요. 허허허
-
로이엔탈
04.27 12:17
저도 유투브 가입할 때 한국으로 했더니 업로드가 안 되서... 국적은 네덜란드로 바꾸고
표기 문자만 한글로 해놨습니다. 괜찮던데요? ㅋ
-
우산한박스
04.27 12:50
아버지를 아버지라 부를 수 없고.. 형을 형이라 부를 수 없고..
내 나라를 대한민국이라 부를 수 없는 거지같은 현실 -_-
-
전 그 이유를 전혀 모르고 있었는데 그게 정치적인 이유였군요.
뭐 안되면 다른 것 하지 라는 주의라 별 대수롭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참 답답하네요.
사실 인터넷 실명제라는 것도 전 오늘 첨 알았네요.
한국사이트 가입하려고 하면 왜 그렇게 주민번호, 인증에 필요한 핸드펀 번호를 요구하는지 궁금했었거든요.
외국의 경우 주민번호란게 아예 없고 있다면 운전면허 번호인데 이것도 가변적이여서 별로 요구하는 사이트를 본 적이 없거든요.
네.. 본인 계정의 Region을 한국 --> 미국 으로 바꾸시면 됩니다.
아쉽게도 정치적인 이슈라 뭐라 말씀 못 드리겠습니다. 흑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