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정용 네트워크 질문.
2019.04.27 13:23
KT .5기가비트 회선을 씁니다.
보통의 집이라면
KT기지국--...--(광선로)--KT모뎀--KT유무선공유기
이렇게 연결될텐데 현재 상가를 포함한 집이라 포트가 많아 다음과 같은 구성을 해놓은 상태입니다.
KT기지국--...--(광선로)--KT모뎀--24p스위칭허브≡≡4개의 무선AP, PC 4-5대
이렇게 해도 인터넷은 다 쓸 수 있는데 제생각에 이러면 DHCP 서버가 KT모뎀 상위에 있게되고
그럼 내부 네트워크 구성이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무선 프린트를 한다거나
내부네트웍만 열어놓은 NAS 네트워크드라이브를 연결한다거나..
어렴풋하게 알고있는 저의 네트워크 지식으로는 KT모뎀이 스위칭허브같은 역할인 것 같은데 어떻게 각 4포트 의 외부 IP가 동일하게 되면서 옆포트의 기기를 로컬네트워크 처럼 쓸 수 없는건지도 잘 모르겠고..
그래서 DDNS 서버 역할로 유선공유기를 하나 추가하려는데요
KT기지국--...--(광선로)--KT모뎀--유선공유기--시스코스위칭허브≡≡4개의 무선AP, PC 4-5대
문제가 있습니다.
1. 스위칭 허브가 기가비트급이며 24포트 48gbps 를 처리할 수 있습니다.
비록 인터넷 회선은 .5기가비트이지만 돈문제 떔에 유선공유기는 훨씬 저렴한 T3004를 써야 하는데
유선공유기의 한계가 스위칭 허브내에서의 통신에 영향을 끼칠 까요?
그러니까 내부네트워크의 통신일지라도 패킷이 모두 유선공유기를 거쳐서 갈까요?
물론 특별히 과도한 트래픽은 없을 것 같은데 그래도 하극상의 네트워크가 초래할 불편이 있을지 우려됩니다.
2. 만약 기존 방법대로 유선공유기 없이 간다면
모바일기기며 PC며 댓수가 많아서 KT에서 쉽게 식별이 되겠죠?
코멘트 9
-
TX
04.27 15:33
현재 이미 비슷한 대수로 쓰고 있는데 좀 찾아보니 TV까지 보고있어서 봐주나 보네요.
-
티비 사용하고
nas 1대 + pc 4대 사용하고
일 10-200기가바이트 업 다운하니..
경고 문구 뜨고 차단 되더라고요.
그래서 2회선 + 티비로 변경했어요ㅠㅠ
개인이면 이렇게 하고 상가면
회선 더 추가하라고 상담원이 안내하더군요ㅠㅜ -
TX
04.27 16:25
전 사용량이 적어서 문제삼지 않았나 봅니다. -
현 구성에서 외부 IP가 동일하게 나간다면, 이미 KT모뎀이 공유기 역할을 하고 있는거지요.
-
TX
05.10 13:56
tracert 찍어보면 kt모뎀이 안나타나요. 스위칭허브처럼 역할 하는것 같아요. -
그럼 혹시 KT모뎀 아래에 연결된 호스트들이 공인 IP를 받나요?
-
TX
05.11 14:28
몰랐는데 확인해보니 kt 모뎀에 서로 다른곳에 꽂혀있으면 공인ip가 다르네요.. -
그럼 그냥 진짜 스위치 역할 + 모뎀 역할만 하나 보네요...;;;
그래서 결국 다회선 계약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