똑같은 가격에 1 Kg 더 들고 다니기
2025.02.25 19:24
이번에 산 카메라는 동영상 특화라 초당 전송속도가 최대 250 MB/s 입니다. 그래서 CFexpress (NVME 4GB/s) 나 USB 케이블로 SSD 를 연결해야 모든 기능을 쓸 수 있습니다. 또한, 기본 배터리로는 동영상 최고 화질을 쓸 수 없고 외부 전원으로 연결되는 더미 배터리를 써야 합니다.
1. CF Express 512GB
Lexar 512GB R 1.7 GB/s / W 1.2 GB/s : $140
Lexar CFe/SD UHS-II reader : $40
합 : $180
환율 1500원시 27만원
장점은 메모리 카드가 카메라 안에 쏙 들어가고 속도도 스펙을 만족합니다. 단점은 용량이 절반이고 앞으로 추가시 많이 비쌉니다.
2. USB SSD 1TB
하이닉스 비틀 T31 1TB : 13.7만원
USB SSD 및 USB Type-C 케이블을 카메라에 단단히 고정할 수 있도록 Rig 장착 : $47
Rig 에 USB SSD 를 장착할 수 있는 마운트 어댑터 : $20
마운트 어댑터 끼워보니 상단의 플래시와 간섭을 일으켜서 장착 부위를 다시 변경해주는 핫슈 어댑터 : $12
이러니 추가 무게가 1 Kg 가 넘어서 그립감 향상을 위한 Rig 용 핸들 : $45
총 13.7만원 + $124
환율 1500원 적용시 32만원!!!
장점은 추후 용량 확장/추가시 CFe 의 3배 가량의 가성비.
단점은 Rig 및 USB SSD 무게 1.5Kg 추가하여 총 3 Kg 에 가까운 덩치!!
카메라 LCD 가 Rig 와 간섭을 일으켜 사진처럼 추가 틸트까지 벌려야 LCD 회전이 가능해집니다.
무게와 더불어 조작감이 떨어지는 건 당연하구요.
제가 영상에 딱히 관심이 있는 것도 아니고 용량 가성비만 따져서 최소한의 비용으로 구성한 건데, 전체 비용은 더 비싸고 1.5 Kg 혹까지 붙었습니다. 앞으로 추가 메모리 구할 일도 당분간 없고요. 그냥 다 짱박아 두고 CFe 체제로 갈까 고민중입니다.
코멘트 8
-
맞습니다.
CF 가 IDE 167 MB/s 까지이고
CFast 가 SATA 600 MB/s 까지이고
XQD 가 NVMe (PCI-E 3.0) 1 GB/s 까지이고
CFexpress 가 NVMe (PCI-E 4.0) 4 GB/s 까지로 현용 규격입니다.
완전 영상용 카메라라 버튼이 빈틈없이 붙어있어 사진 촬영용으로는 영 별로네요.
-
왕초보
02.25 23:05
"맞습니다" = 방송관련일 하시는 !
어마어마한 장비네요. 구멍이 많은게 무슨 소총에 붙이는 레일같이 보입니다. 뭔가 붙일때 유용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
바보준용군
02.26 11:34
그래도 cfe 는 가격적으로 매우 혜자이고 조금 귀찬지만 저렴하게 사용할 해결 책이라도 있죠
xqd 가격 보고 오시면…
본질적으로 영상이 메인이 아니고 사진이 메인이라면 고속연사 남발할거 아닌 이상 uhs-1 쓰기 100메가만 되어도 문제될거 없기는 해요 -
PointP
02.26 06:17
저도 cfexpress 처음 알았습니다. Cf는 끝난 줄 알았는데 영상쪽에서 이렇게 발전하고 유지하고 있었군요. 멋지네요. -
지금까지 메모리카드 규격은 영상에서 필요로하는 스펙에 턱없이 못 미쳤으니까요.
사진으로는 CF 167 MB/s 로도 충분하지만 영상을 무압축으로 저장하려면 10배 이상의 속도와 용량이 필요합니다.
유튜브 4K MP4 영상은 3분 짜리가 100 MB 도 안 됩니다만 화질은 JPG 최저급으로 훼손됩니다.
4K RAW 영상 무손실 저장시 1TB 용량을 30분만에 거덜내버립니다. 대신 PNG 처럼 원본 그대로 보존되서 더 나은 영상을 뽑을 수 있죠.
그래서 CFast, XQD 같은 중간의 어정쩡한 스펙까지는 침체기였다가 CFexpress 에서 마침내 불티나게 팔리는 중입니다. 참고로 네 종류 서로 호환 안됩니다. 이전 세대는 전부 팽당했죠. 같은 단체에서 만들었을 뿐 사실상 전부 다른 규격입니다.
-
바보준용군
02.26 11:36
저기 2230 규격의 외장케이스 중에 매우 작고 쿨러도 달려있는 제품 괜찬아 보이더라고요 -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1GB/s 정도의 저속(?) SSD 는 어댑터로 카메라 내부에 넣어도 됩니다만
요즘 나오는 14 GB/s 짜리 등 고속으로 갈수록 전기소모와 발열이 엄청나서 고장날 수 있습니다.
Type B 는 크기가 작아서 방열판이나 쿨링팬 들어갈 공간도 없구요.
그래서 외부로 선 주렁주렁 연장해서 방열판이나 쿨링팬 다는 건데, 호불호가 있을 수 밖에 없습니다.
CF Express..CF의 발전된 형태인가요?
CF.. 정말 오래간만에 들어보네요.
집에 CF 32MB..256MB 있었던 것 같은데..
아..그러고 보니 제 5DMk4에도 CF 메모리가 들어가긴 하는데..SD 메모리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장비만 보고는 유튜브 PD 또는 방송 관련 일 하시는 줄 알았는데..
저는 5DMk4에 세로그립에 24-70 렌즈 붙이고.. 팔목 고장 났네요. 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