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덟 왕자의 재산 분배 문제
2011.03.22 10:21
옛날에 8명의 왕자를 둔 한 왕이 죽기 전에 유언장을 남겼다.
왕은 사후에 자신의 재산을 8명의 왕자가 공평하게 나누어 갖기를 원했다.
그래서 큰 아들에게 재산을 어떻게 나눌 것인지 제안하도록 하고
8명의 왕자 중 과반수 이상의 합의를 받아서 실행에 옮기도록 했다.
만약 과반수 이상의 합의를 얻지 못하면 큰 아들은 재산 분배의 권리를 상실하고 왕실에서도 쫓겨나게 하였다.
그렇게 되면 둘째 아들이 재산 분배안을 만들어서 제안하고 7명 왕자의 과반수 합의를 받아야 한다.
여기서도 합의를 얻지 못하면 둘째 아들도 쫓겨나고 셋째 아들이 안을 만들고...
이런 식으로 계속 진행되도록 하였다.
따라서 재산 분배를 제안하는 아들은 과반수 합의를 얻기 위해 공정한 안을 만들어야 한다.
과반수 합의를 얻지 못하면 한푼도 받지 못하고 쫓겨나기 때문이다.
흥미롭네요.
답(?)은 출처인 변지석 교수님의 블로그에 있습니다.
http://goo.gl/XBHWr
코멘트 12
-
ducky
03.22 10:25
-
왕초보
03.22 10:26
이거 ㅋㅋ 공정은 무슨 얼어죽을.
-
와우~ 그렇군요.
-
맑은샛별
03.22 10:38
답을 보기 전엔 어째서일까 했는데... 어렵네요. -_-
-
내가 첫째라면 아마도 쫒겨났을 듯...
어쩌면 내 주위에 공명같은 모사가 있어서 재산을 다 가질 수도 있었겠군요.
돈 주위엔 머리 좋은 사기꾼들이 득실거릴테니...
그렇게 다 가진 재산은 결국 모사가 꿀꺽할테고...
왕자 여덟명은 모조리 쫒겨난다고 보아야 할 것 같네요. ㅠㅠ
-
역시 머리를 더 잘 굴리는 사람이 이긴다는 뜻일까요?
-
2월의언덕
03.22 15:19
멍청한 질문 하나.. 과반수라면 딱 절반 찬성을 얻으면 통과인가요 탈락인가요..
-
zekyll
03.22 15:50
저도 그부분이 의문이었습니다. 過半數라고 하면 반이 넘어야(초과해야) 하니까요. 아마도 '과반수' 단어가 오역일 가능성이 있죠. At least half of them 쯤 되지 않을런지..
까지 써놓고 구글링 해보니 http://goo.gl/g1eog 이런 링크가 나옵니다.
at least half 가 맞군요.
-
일단 서열이 낮은 4명이 담합하여 상위 3명을 쫓아낸 다음에 생각해야겠군요... 하지만 현실에서는 서열이 높은 왕자가 제안한 내용에 반대하면 그 왕자들이 왕실에서 쫓겨나던데???
근데 저 교수님이 이야기한 공식은, 모든 왕자들이 전부 다 같은 생각을 하고 있을때 가능하지 않을까요? 한명이라도 다른 생각을 하게 되면 완벽히 무너질거 같은데... 저걸 공개적으로 PT해서 보여줄수도 없고...
-
영화 뷰티풀 마인드의 실존 주인공 존내쉬가 노벨상을 타게한 게임이론 이군요...
http://blog.naver.com/bernoulli/20047076182
한번 읽어보세요
행정학 배우면서
너무나 간단하지만 아담스미스와 경제학 기본틀을 박살낸 엄청난 이론이라고 선생님이 하시던 얘기가 기억나네요
챠이코프스키와 신세기 교향곡 사건도 그렇고...
형사영화보시면 자주 나오죠
-
왕초보
03.23 03:27
사실 첫째는 저걸 PT로 만들어서 보여주면 게임 끝입니다. ^^
-
그냥 확 다 까발려버리는건가요? ^^;;;
헉... 답 보기 전엔 첫째가 무슨죄냐! 라고 생각했는데...
이래서 제가 돈 감각이 없다는 소리를 듣나 봅니다. ㅜ_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