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결제 시스템이 바이러스에 의해 뚤렸네요 =_=;
2011.03.28 02:05
중국에는 즈푸바오란는 PG결제 시스템이 독점으로 있는데 일개 바이러스가 결제시스템을 뚤어서 오늘 피해를 봤네요...
혹시나 하는 마음에 케퍽에도 해당 내용을 업로드 해봅니다.
바이러스가 내 돈을 훔쳐간다.
이 이야기는 2011년 3월 28일 새벽 타오바오에서 물건을 구입하기 위해 즈푸바오로 결제를 하던중에 알아낸 바이러스 이야기 입니다.
1.인터넷 쇼핑을 좋아하는 나.
나는 원래 인터넷 쇼핑에서 물건을 구입하는것을 즐겨합니다. 중국에서는 타오바오가 유명하죠. 오늘도 타오바오에서 쇼핑을 하고 있었습니다.
타오바오에서 구입한 물건 값을 지불하기 위해서는 즈푸바오를 이용해야 하는것은 누구나 아는 사실입니다. 다른 결제 수단은 없죠. 당근 저도 즈푸바오를 이용해서 결제를 합니다.
한번 두번 이용해 본것이 아니기 때문에 저는 후다닥 버튼을 클릭해서 물건 값을 지불 하고 다시 타오바오 구매목록 페이지로 이동했습니다. 근데 이게 뭐냐.
2.결제가 되지 않는 이유는 바이러스
물건 값이 결제완료가 되어있어야 하는 것에 결제 버튼만 덩그러니 있는 것이 아니겠습니까?
그래서 즈푸바오로 가서 결제 내역을 확인해봤죠. 지불은 정상적으로 되어있었습니다. 하지만 뭔가 이상한 부분이 보였습니다. 결제 받는 사람이 즈푸바오로 되어있어야 하는데 이상한 회사이름이 적혀있는것이 아니겠습니까?
3.아무 도움도 되지 않는 고객센터.
사태가 이쯤 되니 뭔가 이상하게 돌아가는 느낌이 듭니다. 우선은 타오바오로 전화를 해봅니다. 그들의 대답은
"우린 돈이 넘어 오지 않았으니 즈푸바오로 전화를 해봐라."
그리하여 즈푸바오로 전화를 하게 되었습니다. 꽤 늦은 시작인데도 전화를 받는군요.
그들의 대답은 간단 합니다.
"너 바이러스에 걸려서 그렇게 된것이니 우리는 어쩔 방도가 없다. 경찰서로 가서 해결해라."
4.도대체 이 바이러스의 정채는?
즈푸바오에서 바이러스 문제라고만 이야기를 하고 해결방법도 내 돈에 대한 것도 아무 도움을 받지 못한채 몇분을 멍하게 있다가, 진짜 바이러스 문제인가? 아니면 회사 문제를 나에게 전가시키는것인가에 대한 의심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진짜 바이러스라면 내 컴퓨터에 있겠지라는 의심. 결국은 바이러스 문제인것.
5.chenzao바이러스 증상
바이러스는 chenzao.exe라는 파일로 이루어진 바이러스 입니다. 이 파일은 즈푸바오를 이용할때 지불하고자 하는
은행번호와 금액을 임의로 바꿔치기 하는 바이러스 입니다.
6.바이러스 감염 여부와 치료 방법
간단하게 바이러스를 체크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다.
1.시스템 관리자를 열어 chenzao.exe라는 파일이 상주해 있는지 확인
2.즈푸바오에서 결제를 할때 컴퓨터가 느려지는 증상이 발생한다.
3.결제 버튼을 누를때 왼쪽의 대금받는 사람이 실제와 다르다.
이럴 경우 chenzao바이러스에 감염된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해결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1.모든 프로그램을 종료한뒤 재시작
2.윈도우 로고가 나오기전에 F8키를 눌러 안전모드를 선택
3.부팅시 c:\windows\chenzao.exe파일을 제거.
위와 같은 방법이 힘들경우 제가 만든 제거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아서 실행하면 간편히 제거할 수 있습니다.
7.이런 바이러스를 걸리지 않게 하는 방법.
모르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엑티브엑스를 다운로드 받지 않습니다.
공공장소에서 인터넷을 할 경우 보안에 주의 합니다.
전자은행으로 돈을 전달 할경우 반드시 받는 사람과 금액을 확인 합니다.
8.마치며
회사라는것은 그 회사를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안전한 서비스를 주어야할 권리가 있습니다. 이런 바이러스가 퍼지고 있음에도 즈푸바오회사의 경우는 이런 바이러스에 대해서 대처할 의지를 찾아 볼 수 없었고 이런 피해를 모두 사용자에게 전가하는 행위를 하고 있음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제가 할 수 있는 일은 이런 상황이 더 발생하지 않게 막는 것이고 이 내용을 많은 사람들에게 전파해주기 바랍니다.
코멘트 4
-
당근 책임이 없죠.. 단지 그 회사에서도 이미 사태를 알았으면 적당한 공지나 해당 소프트웨어 차단 유틸을 제공하는 등의 서비스를 제공해줬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아쉬움이 남는거죠..
그리고 원래 이런것도 회사가 공지해줘야 하는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랬더라면 피해를 보지 않았을 수도 있었죠.
중요한것은 이미 사실을 회사에서는 알고 있었지만 은폐하고 소비자는 이 사실을 알아낼 만큼 컴퓨터에 능숙하지 못해 당하고 있는 상황이 좀 짜증난 겁니다
-
확실히 PC 사용에 미숙한 유저가 아무 사이트나 돌아다니다가 악성코드나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걸 보면 피해를 감소시키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고 생각되긴 하죠. 범죄 같이 완벽히 봉인할 수 있는 건 아니지만 의무 교육이라든지 백신업체에 대한 보조금으로 보급 가격을 낮춘다든지요. 저도 부모님께서 컴 쓰실 때 YES 맨이 되어버리는 걸 보면 불안합니다.
-
맑은하늘
03.28 08:57
이런 생각을 해 봅니다...
닭이 먼저냐 , 알이 먼저냐...
인터넷 비즈니스를 활성화하려면, 상기같은 보안 솔루션이(국내같은, 인뱅할때 자동으로 v3 가 설치되듯이...) 먼저 선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만약 그것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전체 비즈니스 파이가 줄어들기 때문일겁니다.
모든이들이 컴에 능숙할 필요는, 저는 없다 생각합니다.. 뱃치 파일, 안전모드.. 부팅.. 아는 이들이 얼마나 될까요 ?
제 생각이 좀 더, 많이 나간것일수도 있지만... 보안 솔루션을 갖추지 않고, 인터넷 비즈니스를 한다.... 볏짚을(섶이라고 하나요) 들고
불로 뛰어드는것과 무엇이 틀릴까요 ?
중국은.. 잘하는것도 많아지는것 같은데.. 아직까지도, 우리나라 사고방식으로 봐도, 글로벌 스탠다드로 봐도, 참 답답한 구석이
많습니다.
** 샛길 // 덩여인은 왜 조사 못하는 것인지 ? - 짜고 쳤나 ?
그건 좀 아니라고 봅니다.
1. 이미 오염된 PC 를 가지고 중요 결제 및 개인정보 전송 작업을 하는 것 자체가 면책 사유가 됩니다. 바이러스에 감염된 PC 는 온갖 방법으로 정보를 빼가는 것이 가능합니다. 사용자 PC 와 결제 서버간에 무결성이 보장되어야만 전자상거래는 성립합니다.
2. 바이러스를 배포하는 것은 회사가 아니라 시장 질서를 어지럽힐려는 제 삼자입니다. 구체적으로 말한다면 금융쪽 거래법을 위반하여 사용자의 돈을 갈취하는 것이죠. 회사는 이를 막을 수 있도록 보안 서비스를 제공해줘야 하며, 바이러스가 회사 쪽에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으로 적절한 보호 조치를 취하고 있는 걸 증명했습니다.
3. 회사측이 유저에 적절한 보안 솔루션을 제공하는 것은 필수가 아니며, 이는 법으로만 강제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 같이) 만약 법적으로 유저측의 보안까지 보장하는 상태라면 회사에 피해 보상을 요구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이 부분에 대해선 중국 법을 알아봐야 판단할 수 있겠죠.
따라서, 회사의 결제시스템은 파해되지 않았으며, 유저에 의한 바이러스 전파는 회사엔 책임이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현재 같은 상황에선 더 이상 추가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바이러스를 삭제함과 동시에, 해당 계좌를 회사 및 금융 당국에 신고하여 정지시키도록 하고 돈을 회수하도록 하는 것이 옮습니다. 만약 단순히 은행 계좌 이체 방식이라면 복구가 거의 불가능하겠지만 페이팔 같이 회사가 보장해주는 서비스일 경우 회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한, 또 다른 피해자가 생기는 것도 막을 수 있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