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ree NAS 관련인데요, 서버 액세스 속도를 늘릴 수 있는 방법?
2011.04.20 16:38
일전에 eeePC 하나 남는다고 뭣에 쓸까 하고 만문에 글을 올렸던 적이 있었드랬죠.
한분이 Free NAS 로 서버 돌리는 것을 추천해 주셔서 한번 해 보았습니다.
마침 500기가 외장하드에 있는 영화 및 동영상들을
여러 컴퓨터로 옮겨다닐 필요 없이 바로 액세스가 가능해서 아주 좋더군요
블루레이 플레이어에 네트워크로 접속하니 코덱문제 있는 동영상을 제외하고는
테레비로도 바로 볼 수 있어서 더욱 좋습니다.
그리고 토렌트도 내장되어 있어서 필요할 땐 직접 받고, 외장하드로 바로 저장되니 편리하군요
그런데 쓰다보니 질문이 생겨서요
외장하드의 (서버가 되겠죠?) 파일들을 액세스 (Read) 할 때는 문제가 없지요. 뭐 그냥 하면 되니까...
그런데 컴퓨터에 있는 자료들을 서버로 옮겨놓으려고 하면 (Write) 시간이 꽤 걸린다는 점이 걸립니다.
무선 인터넷 신호를 통해서 네트워크로 라우터를 거쳐서
freenas 컴퓨터로 접속하여 USB로 연결되어 있는 외장하드로 액세스 하므로 속도 저하는 불가피 한듯 합니다.
그래도 혹시나 뭔가 개선할 수 있는 여지가 있지 않을까 해서 여쭙습니다.
현재 제가 실험해 보지는 않았지만 가능성으로 두고 있는 옵션은 두가지가 있습니다.
1. 무선보다는 유선(케이블)으로 접속할 경우 속도가 조금은 더 빠르지 않을까 하는 점.
그러나 그것을 위해서 집안에 케이블을 줄줄 연결해 놓고 싶지는 않고, 컴퓨터를 들고 옮겨다니고 싶지도 않습니다.
2. 필요할 때에만 서버를 중지시키고 USB로 접속해서 필요한 데이터를 이동한다.
현재 제일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이 됩니다.
집에서 쓰는데야 문제가 별로 없으므로 이렇게 하면 됩니다만
실험을 좀 해보고 괜찮으면 제가 일하는 곳에다가 살짝쿵 freenas 서버를 구축해 볼 생각이라
가능하면 피하고 싶은 방법이기는 합니다.
보통은 남는 구형 데스크탑에다가 레이드로 대용량 하드를 묶어서 freenas를 주로 쓰는 것 같습니다만
저희 집은 구성이 약간 틀려서 속도가 더 차이가 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레이드가 뭔지도 모르니까 말입니다. 혹시 그런 것 하면 속도가 좀 더 나오려나요?
이건 완전 다른 질문이군요... 레이드도 궁금하긴 한데.
아무튼,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코멘트 6
-
꼬소
04.20 18:35
-
하드 떼어내서 SATA 로 붙이세요.
-
조일권
04.20 22:50
1. 무선으로 전송하면
N 타입이면 270M 상태이면 전송속도가 3~5M로 전송
G 타입이면 54M 상태이면 300Kb ~ 1.5M로 전송됩니다.
한마디로 느린게 정상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USB라고 해도 20M는 전송해주니 뭐 저것보다 안나온다면 FREENAS 돌리는 서버(eee 넷북)이 성능 문제 일 수 있겠네요.
그리고 넷북은 유선으로 연결이 되어 있는 상태이겠죠? 아마 서버도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으면 더더욱 성능저하가 있을 것니다.
2. 지금 USB 하드가 FAT/FAT32 로 해놓으셨거나 Windows OS 에서 인식하는 파티션 타입이면 2번 추천합니다.
-
모두들 감사합니다.
일단 eeePC가 남길래 사용할 곳을 찾다가 적당하겠다 싶어서 서버 돌려본거니까
서버를 위해서 컴퓨터를 새로 장만하는 것은 아직 하고 싶지 않고요,
서버는 유선으로, 나머지는 무선으로 되어 있는데,
아버지께서 쓰시던 구형 라우터와 무선 기기들을 줏어다 컴퓨터로 연결한 것이기 때문에
아마도 N타입 이전 구버전일겁니다. 고로 속도 저하는 불가피하겠죠. 아마도 54메가가 맞을 듯 합니다.
모든 하드는 NTFS로 되어 있고요, 저거 꽉 채우면 1~2테라 정도 하나 장만해볼까 합니다.
USB떼고 SATA로 붙이라고 하셨는데,
데탑이 아니고 USB포트 뿐인 eeePC에 SATA 붙이는 방법을 좀 가르쳐 주세요.
USB 어답터 같은게 있나요? 제 외장하드가 e-SATA 포트가 있기는 합니다.
일단 집에 남는 케이블이 긴 것이 있으니
한번 제 컴과 연결해 보도록 하려고 합니다.
감사드립니다. ^^
-
윈도가 아닌 시스템에서 ntfs은 CPU사용량이 많고 느리더군요
xfs,ext3같은걸로 바꿔보세요
-
Fatal
04.21 08:59
cpu 성능 문제일 가능성이 클겁니다. 기가비트를 사용해보면 바로 알 수 있는데 2Ghz넘는 컴퓨터들도 기가비트로 전송하면 순간 멈칫하기도 하거든요 점유율은 20%이상올라가구요 EEEPC면 더 느릴지도 모르겠네요. 파일 공유하실거면 유선기가비트로 너무 구형컴말고 어느정도 되는 (아톰이상)컴퓨터로 사용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아마도 write하는데 시간이 걸리는건 외장하드가 usb로 연결되어 있어서 그런것 같구요.
이건 전송매체를 바꾸시는거 말고는 답이 없습니다.
그리고 freenas 쓰실려면 eeePC 보다는 중고 데스크탑이 더 나을거라 봅니다.
raid는 디스크 여러개 묶어서 성능이 좋거나 데이터 안정성을 높이는 방식인데 ..
일단 하드가 여러개 있어야 하구요^^;;
구형 데스크탑이나 raid를 지원하지 않는 메인보드를 사용 할 경우... raid 카드를 사셔야 합니다.
그럴경우 배보다 배꼽이 커질 수 있으니.. 추천 안합니다.
가상 raid나 리눅스에 포함되어 있는 LVM을 사용하셔도 되지만, LVM에서 raid1은 지원하지 않는것으로 압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