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이트웨이 ? 쉽게 설명좀 부탁드립니다.
2011.04.22 22:34
랜카드에 연결상태를 보면 항상 게이트웨이라는것이 존재합니다.
게이트웨이라는게 이곳을 통해서 밖으로 나가고 다른 기기들과 통신 프로토콜이 다를때 서로 통신 가능하게 해준다는 ??
뭐 이라거라고 나오는거 같은데요.
조금 쉽게 설명 해주실분..^^ ;
만약 회사에서 5대의 컴퓨터를 스위칭 허브에 묶어서 사용하려면 (인터넷 사용은 하지 않음)
5대의 컴퓨터에 임의로 IP를 할당하기만 하면 되나요 ?
이때도 게이트웨이라는 항목을 설정하나요 ?
감사합니다 .^^ 건강 챙시기고요. 날씨가 변덕이라 감기 걸리기 쉽겠습니다.
코멘트 10
-
박영민
04.23 00:26
-
같은 대역의 내부끼리만 통신하는거라면 게이트웨이 안주고 쓰기도 합니다.
흔히 ip는 192.168.1.1 ~ 192.168.1.254사이에 서브넷마스크 255.255.255.0
게이트웨이와 DNS부분은 빈칸으로 .. 이런식으로 사용하죠.
-
카이사르
04.23 10:50
그렇군요.^^ 정보 감사합니다.
-
leehaus
04.23 00:41
게이트웨이는 다른 네트워크에 연결하지 않는다면
사용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스위치 허브로 내부 네트워크를 구성하시려면 전부 고정 아이피를 할당하시거나 (내부 아이피)
간단하게 한 컴퓨터가 DHCP 서비스를 수행하시면 가능합니다.
-
프로토스의 기본 지대지 유닛인 질럿이 고향 별인 아이우에서 전장까지 전송되는 통로가 게이트웨이 입니다.
디아블로2의 포털과 비슷한 개념이라고 보시면 되죠 -ㅅ-
추천:1 댓글의 댓글
-
왕초보
04.23 02:08
박영민님이 공유기를 쓰라고 하신 것은.. 고정아이피 설정이나 DHCP서버를 설치하는 번거로움을 모르고도 그냥 쓸 수 있도록 하신 것일 겁니다. ^^ 엔지니어인 카이사르님께 약간 오바하신듯도 하지만.. 네대 정도면 (보통 공유기가 유선 네포트 달고 나오죠 -_-) 그냥 공유기 하나로 하는게 제일 간단하고 쌀 겁니다.
가격을 알아보신다면 스위칭 허브보다 유무선 공유기가 더 싼 경우가 많습니다. 유무선공유기가 유선공유기보다도 더 싼 경우도 흔합니다. -_-;;
-
카이사르
04.23 10:52
그냥 5대 컴을 연결하려는건 아니구요. ^^ ( 그냥 예로 들은...)
게이트웨이의 쓰임새가 궁금했습니다.
단지 컴끼리 연결할때도 사용이 되는건지 해서요.( 외부 연결 없이)
정보 감사합니다 .^^
-
인포넷
04.23 11:50
외부 연결 없이 단지 컴끼리 연결은 게이트웨이 필요 없어요...
쉽게 말해서 그룹간 연결할 때에 통로라 생각을 하시면 되요...
-
유년시절
04.23 13:12
내부 연결은 1990년대까지 사무실에서 네트웤을 구축하던 사례들입니다.
TCP/IP 프로토콜이 아닌 IPX/SPX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IP 할당에 대한 고민없이 연결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스타크래프트 멀티플레이를 할 때 배틀넷 접속보다 랜접속을 할 때 반응속도가 빠르죠. 이때 IPX 프로토콜을 사용합니다.
-
카이사르
04.23 14:23
정보 감사합니다. ^^
궁금증이 시원하게 풀렸습니다.
스위칭 허브 만으로는 5대 연결이 하기 힘드실겁니다.
그냥 간편하게 공유기 밑에 스위칭 허브 이용하시는게 ^^;;;
------------------------------------------------------------------------------
위처럼 설정하시면 보통 공유기가 gate way가 됩니다.
간단히 설명 드리면 운하의 갑문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