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백업
2011.05.23 19:40
윈도우설치한것과 프로그램깔아놓은것은 고스트나 아크로니우스로 백업하고있습니다.
내문서같은 data는 백업을 포기하고
배드섹터나면은 명정보에 맡겨서 해결하였는데
하드용량이 커지니 데이터복구비용도 PC한대가격입니다.
데이터백업을 해보려고합니다.
데이터백업에는 시스템백업의 고스트나 아크로니우스같은 ..베스트셀러 툴이 있나요...
아니면은 윈도우자체에 들어있는 백업툴을 사용하십니까.
아니면은 그냥 copy로 백업하나요...
데이터백업은 어떤툴로 어떤주기로 어떤방법으로 하는것이 좋은지 알고싶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7
-
회사에서 백업은 raid1으로 묶여있는 NAS에 복사 & 싱크프로그램을 썻어요.
-
일단 안정적인 시스템을 장만하는 게 좋을 듯 싶습니다. 대기업의 워크스테이션급 장비를 마련하시든지,
직접 조립하여 엄선한 고급 부품만을 쓴 제품으로 구하세요. 전 실수로 케이블 뽑아서 하드 맛이 간 적 이외엔
데이터 날아간 적 없습니다.
-
요즘은 윈도우즈에 내장된 백업을 이용해 차등백업하는것도 성능 괜찮습니다. 물론 아크로니스가 더 좋습니다만 유료니깐요... 풀백업을 자주하면 시간 많이 걸리고 귀찮아져서 건너뛰다가 위험한 경우가 생기더군요.
-
조일권
05.24 00:17
웬디 나 시케이트에서 판매하는 2.5 인치 하드를 구입하시면 자동 백업 소프트웨어가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는 프로젝트 파일 같은 자잘한 수천개 정도 되는 파일을 노트북 하드에 다 보관을 하고 한달 단위로 위의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백업 프로그램으로 백업을 합니다.
저 프로그램들의 장점이 특정 폴더를 지정하고 변경된 파일만 백업하는 옵션을 두게 되면 알아서 검색해서 외장하드로 백업해줍니다. 물론 변경된 파일 찾는데는 시간이 좀 소요가 되긴 하지만..
그리고 시스템 백업은 XP는 클론질라를 이용합니다. 7은 자체 내장된 백업 시스템을 이용해 풀 백업을 하구요.
-
사용하시는 OS의 소프트웨어 Raid-5를 이용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컨트롤러 비용도 아낄 수 있고 제법 안정적입니다.
대략 하드 5장 정도 붙여서 쓰시면 속도도 내결함성도 다 잡으실 수 있습니다.
5장 힘드시면 3장만 두셔도 살짝의 오버헤드(체감도 힘들어요)만 있지 아주 쓸만해집니다.
패리티를 이용해서 내결함성을 지원하기 때문에 나중에 3장중에서 1장 정도 뻑나도 충분히 복구가 가능한 점도 있고요.
-
김강욱
05.24 23:11
흑...저희가 9장인가 썼는데, 동시에 두장인가 날라가서...휘이이이~
속 시원한 방법은 외장하드 두개 달아서 하나는 Copy and paste로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백업하고 또하나는 프로그램 들어있는 운영체제만 백업하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