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aspberry Pi가 25달러라도 크게 메리트가 없어 보이네요.
2013.04.02 17:47
요즘 미국에서 25달러짜리 Raspberry Pi산다고
난리난것 같습니다.
소장의 의미라면 모르겠으나
가성비가 높은건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이유는 이렇습니다.
현재 Raspberry Pi의 경우 CPU는 ARM11에 700MHz입니다.
스마트폰으로 따지면 아이폰 3와 HTC Legend급 정도의 성능으로 보시면 될겁니다.
이것보다 약간 떨어지는 물건이 바로
과거 EKEN M001에 탑재되었던 WM8515보다 약간 더 나은물겁니다.
즉 데비안 커널을 사용할경우 올릴수 있는 최대한계가 LXDE정도입니다.
Ubuntu정도는 intall까진 가능하겠으나
화살표만 나오느거 보시고 더이상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WM8515가 그랬듯)
개인적으로는 LXDE까지만 쓴다하더라도 뭐 크게 개의치는 않겠지만
내부저장장치가 없어서 SD카드를 추가로 구입해야 합니다.
더구나 512MB메모리를 가진 Raspberry Pi의 경우 25달러가 아니라 35달러입니다.
결국 대충할경우 40-50달러선의 지출을 해야 하고
S-Video기 때문에 선까지 사야될겁니다. (이건 들어있나요??)
이럴거면 차라리 AA10, AA10s 혹은 TCC8920이 탑재된 TV동글을
사는게 휠씬 나아보입니다.
더구나 AA10의 경우 이미 우분투 올라가서 쓸만하고 가격도 1기기램가진걸
40달러밑으로 배송료까지 포함해서 구입할수 있습니다.
네오지오 에뮬이나 PSX에뮬도 잘 돌아가니까요.
굳이 추가 메모리를 구입할 필요도 없습니다
거기에 Cortex A8이라서 더 빠릅니다.
과거라면 모르겠지만 글쎄요....
아무리 지원이 잘된다 하더라도 한계가 명확하고 가성비도 떨어지는데 굳이
수집의 의미가 아니라면 쓸필요가 있을지 모르겠습니다.
코멘트 15
-
purity
04.02 18:10
-
지금 Raspberry Pi가지고 Debian 이용해서 LXDE 돌려볼까 고민중입니다.
근데 돌린다고 해도 웹 브라우징하고 480p정도외에는 (XBMC를 돌리면야 1080p까지 가능하겠지만)
오픈오피스 최신버전은 힘들겠고 구버전정도면 돌릴수는 있을것 같네요.
뭐 실스펙으로는 안드로이드 OS 2.3까지도 가능할듯 하니 포팅되는지의 여부도 좀 봐야겠네요.
-
purity
04.02 20:45
제대로된 안드로이드 4.0.3이 브로드컴에서 나왔지만... 발표를 하지 않고 있어요. 유저 MOD는 CM7, 9이 포팅되어 있지만 아직 쓸만한 수준이 아니며 무엇보다 하드웨어 가속이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
관심은 가지만, 포고를 접한후 라즈베리파이의 효용성이 더 없어져버렸답니다.
-
purity
04.02 19:00
에... 실은 포고플러그의 장점들은 MPD까지 포함해서 대부분다 rPi도 동일하게 가지고 있어요. 오히려 되지 않는 것은 포고의 고유 클라우드 기능이고요. 여기에~! 강력한 XBMC 등을 고려할 때 종합적인 미디어 플레이어 용도로는 rPi가 장점이 있고요.
... 결론은... 애쉬님 덕분에 제가 포고를 샀으니... 이젠 애쉬님이 rPi 구입을... 쿨럭~@@;;;
-
ㅋ 사실 얼마전 WDTV를 구입하지 않았다면. rPi 가 필요했으나^^ (말씀대로 포고는 hdmi 가 없어서 TV로 바로 쏘지를 못한다는--;)
WDTV로 디빅까지 다 갖추다 보니..쿨럭~ㅋ
-
크크크 한대 뭐 보내드릴려고 했는데 말이죠 ^^;
-
닥터랜
04.02 19:03
제가 사용하는 방식은 영상 플레이어 정도라서,
적당히 쓰고 있습니다.
XBMC 플레이어죠..
집 TV는 아직도 21인치 컴포지트 단자가 있는 아날로그 TV구요.
직장에서 밤늦게 야근하다 가끔 LCD TV에 HDMI 로 물려서 봅니다.
저비용으로 적당하게 쓰기엔 괜찮습니다.. ㅎㅎ
-
꼬소
04.02 19:58
그게 OS만을 올려놓고 가성비 비교하면서 쓸려면 쪼금... 메리트가 없는데...
여러 확장기기들을 연결해서 임베디드 기기로 쓸려면 좀 쓸만 합니다.
그리고 Raspberry Pi에 특화 된 wheezy도 제공해 주는데, 여러 서비스와 개발도구 그리고 제법 그럴싸한 완성도(?)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딱히 망이라고 말하긴 어렵습니다.
개발 또는 리눅스 커널을 공부하는 입장이라면, 나름 괜찮은 대안이라고 보구요...
그리고 1080p도 무난히 돌아 간다는데, 총 5만원 정도의 비용이라면 나름 쓸만하다 봅니다.
하지만 저는 집에 묵혀두기만 할 뿐...(귀차니즘;;)
-
iris
04.02 21:21
하드웨어적인 제원의 장점이 없다는 것은 저도 동의하며, 굳이 장점이 있다면 '사용자의 머리 수' 정도가 아닐까 합니다. 개발사의 의지가 확고하지 않는 한 머리 수가 많아야 상대적으로 커스텀 펌웨어 지원이 좋아지는 만큼 비공식적인 활용도와 수명이 길어질 가능성이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
라즈곤
04.02 23:04
제가보아도 글쎄요. 일반적인 원활한 사용을 위해 최소 듀얼코어는 되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그편에서 보았을때는 조금더 기다려보는 것이 니을 거 같습니다. -
현수아빠
04.02 23:52
한국뉴스에 떠들썩한게 근래고요, 작년부터 난리였다가 오히려 요즘 작년에 비해서 조용한 편이에요. 나오자 마자 주문해서 한참 기다린후에 받았어요. 전원은 집에있는 옛날 휴대폰충전기로, sd카드도 집에 안쓰는 4gb로, headless로 모니터 없고, usb wifi만 샀어요, 한 $15줬나? 이더넷으로 해도 되긴 하는데 그럼 돈도 안들겠지요. 티비에 붙이라고 hdmi하고 컴파짓이 붙어있나 그래요. 여튼 돈은 별로 안들었고요.가능성이 무궁 무진해요. 솔라파넬과 웹캠을 붙여서 전기가 안드는 무선 웹캠+데이타 모으는 그런것 만든 사람도 있고, 저는 개인 프로젝트에 쓰려고 처음에 넷북으로 하려고 했는데 이게 나오니 여기에 arduino나 그런 컨트롤러 같이 붙여서 쓰기에 좋군요. 웹서버로 쓰는 사람도 있고 포고 비슷하게 만들어서 쓸수도 있고, mame머신으로 만든 사람도, 애들 컴터로도 쓰고요. 성능은 상당히 좋은데요.사람들도 많이 쓰고 해서 서포트도 든든하고 -- 피씨 리눅스에서 되는거 다 되요.컴퓨터로 할수 있는거 다 하면서 싸고 쉽게 쓸수 있는거라 생각하면 되요. 이건 혁신이라 생각하고요 다른 비슷한것들과 비교해봤는데 가격이나 유연성에선 이게 제일 낫다고 전 결론내렸어요. 컴퓨터가 이정도 가격에 나온것은...거의 모든것에 다 컴터성능의 기기를 붙여서 쓴다고 생각하면 되요.10년전까지만 해도 아마 싱글보드 컴퓨터? 최소 $300-$500 줘야했고, 몇년전에도 $150-$200은 줘야했는데 $35이면 파격이죠. 이거 나오고 다른곳에서 나온것들 비교하니 이게 제일 좋다고 생각들었어요.지금 있는거 좀더 가지고 놀다가 5-6개 더 사고 싶어요. -
크크크 그야 뭐 아는 사람들이 이야기겠죠. ^^;
저도 저정도 스펙이면 PC대용으로 쓸수 있긴 합니다.
단 일반인들이 열풍을 가지면서 쓰기는 조금 힘들다는 이야기고 그럴거면 차라리 편의성 좋은 게 있다는 이야기겠죠.
조만간 시간되면 Raspberry Pi랑 다른기기랑 여러가지 장난을 해서 한번 성능비교 데이터 좀 만들어 볼까 합니다.
한가지 아쉬운건 Allwinner A10이 Raspberry Pi에 채택될수 있었는데 아쉽게도 Allwinner측에서 동영상 디코딩에 관련된
소스를 풀지 않는다는 문제때문에 결국 결렬된게 상당히 아쉽습니다.
그렇게 되었다면 Raspberry Pi라는 것도 상당히 달라졌을텐데 말이죠..
-
관심은 있지만 계륵될까봐 그냥 침만닦고 있네요.
문제는 내가 엄청 게으르다는거죠. ㅜㅅㅜ
요점은 돈들이고 편하게 쓰느냐, 돈안들이고 재미나게 쓰느냐 문제인 것 같아요.
활용도가 무궁무진 하다는건 귀차니즘을 이겨낸 선진(?) 인류들에게 해당된달까요.ㅋ
-
현수아빠
04.03 23:17
이것을 미디어 플레이어로만의 목적이라면 큰 메릿은 없어요. 이것이 주는 가능성은 돈을 더 주고라도 해결되는게 아닌듯해요. 다른 더 나은 옵션은 없는듯해요.
rPi는 커뮤니티가 최대 장점이지요~ 사실 이쯤에서는 사양이 문제는 아닌 것 같아요.
*케이블은 들어있지 않아요. 정직히 말씀드리면... 그냥 기판 하나 덩그라니 들어있으며 부속물은 아무 것도 없습니다. S-Video는 없고 컴포지트 출력이 있는데 HDMI 출력이 메인이라 쓸모는 별로 없고요. 본래 $25의 모델 A는 이것도 없는 그러니까.., 헤드레스 모델이었는데 지금은 좀 바뀌었습니다. 이더넷 없고 USB 1개에 256MB인 것이 모델 A, 기존의 모델 B에서 용량을 512MB로 늘린 것을 모델 B로 부르더군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