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AP Cell에 재연성이 없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네요.
2014.02.14 21:51
흠
비장의 Lymphocytes를 빼서
Mild Acid를 처리하면
Cell 자체가 Null상태가 되서 (혹은 Default상태)
이식하면 이식한 장소에서 융합된다는
STAP Cell에 대한 재연 실험을 단행 했는데
현재까지 8곳에서 실험했는데
7곳은 재연성이 없음
한곳은 미미한 융합 보이는 듯 하다라고 합니다.
(물론 이건 Technical Error일수도 있으니)
즉 재연 실험자체를 아주 쉽게 이야기 하자면
비장에서 Lympocytes 추출 -> Lympocyte에 GFP같은 형광물질 마커 주입
-> 1주일 동안 Mild Acidic Media에 키워서 (만약 제가 한다면 Media Condition좀 바꾸겠죠. ^^;)
-> Co-Culture시켜서 위에는 Lympocytes둥둥 띄우고
아래는 융합시킬 Cell을 미리 Culture Plate아래 꽉꽉 채워서 놔두던지 아니면 Non Coated Plate로 세포들을 둥둥 띄운다음
-> 몇일동안 키워봅니다. (이건 시간에 대한 조건 좀 잡아야 할겁니다.)
-> 그뒤에 GFP(형광물질) Lympocyte가 융합되었는지 안되었는지 확인하고 (죽었는지 살았는지 Trypan Blue로 체크좀 하고)
-> 그리고 난뒤에 GFP Lympocyte가 제대로 분화되서 마케가 될수 있는 고유 단백질이 있는지 없는지
Western으로 때려보고 -> 그 다음에 RT-PCR 돌려서 재확인하면 되긴 합니다.
(참 쉽죠 ^^;)
이런 과정을 거쳐야 하는데 Co-Culture 이후에 GFP가 보이는 세포가 없으면 재연성이 없는 것이 되겠죠.
아마도 제 생각에는 대부분의 실험실에서 Co-Culture에서 융합의 타켓을 Attaching Cell위주로 해서
한듯 합니다.
그리고 Data 조작에 대한 가능성도 있어서
(황박사 논문처럼 과거에 발표되었던 논문의 동일한 데이터를 썼다고 합니다.)
재연성 여부와 맞물려서 자칫하면 꽤 이슈가 될듯 하네요.
네이처 쪽에서 아직 Full Data를 보여주지 않는다고 하는 글도 있는데
제가 이 논문 나왔을때 네이처쪽에서는 Data자체는 작게나마 보여줬습니다.
(다만 그때 Nature의 접속권한이 없어서 열어보지는 못했지만)
상황 참 재미있게 되었네요.
원래 계획은 이 논문 입수해서 강좌란에 이게 무엇에 쓰는 물건인가를
쉬운 그림으로 설명하려 했는데
어쩌면 못할지도 모르겠습니다.
코멘트 8
-
아직은 좀더 지켜봐야 될것 같긴 합니다.
실험이라는게 장소만 바뀌어도 재연이 안되는 경우가 허다해서
(논문에 언급되지 않는 피펫질의 잔기술 같은것도 있으니까요. ^^;)
적어도 3-4개월정도는 좀더 지켜보고 이야기를 해봐야 할것 같긴 합니다만
데이터 조작의 가능성이 발견되어서 신빙성 여부에 대한 촛점도 맞춰지고 있긴 합니다.
이게 없었더라면 재연성에 대한 부분은 조건에 따른 문제였을것이다로 넘어갈수도 있었으니까요.
-
왕초보
02.15 00:21
고온핵융합같은 ? ㄷㄷㄷ
-
고온핵융합은 그래도 에너지는 발생하잖아요~~ ^^;
-
TX
02.15 13:27
성야무인님 중국 it 전문가 아니셨나요? ㅋㅋ ㅎㄷㄷ 전문분야 따로 있으셨군요 .. 그러고보니 프사도 세포사진같네요 -
저요?? 제 전공이 IT쪽이 아니라는 거 누누히 이야기 드린것 같은데요. ^^;
제 프로필 사진은 제가 직접 찍고 논문에 들어간 사진입니다. ^^
-
이번 논문에 사용 된 사진들이 다른 논문에 중복 게재된거 아니냐는 이슈도 있어서 저도 좀 지켜보고는 있는데요. 자칫 대형 스캔들 또는 해프닝으로 끝나는 거 아닌가 우려되기도 합니다
-
위에서 언급했지만 중복게재면 실수 정도로 볼수 있겠지만 종복게재 겸 조작급이니 조금 문제가 되는것 같습니다. 일단 한달정도 추이를 지켜보고 여기에 대해서 한번 더 글을 쓸까 생각중입니다.
유전자 삽입없이 일반 세포에 간단한 스트레스자극만으로 줄기세포로 분화한다는 내용의 그거였던가요.
추시에서 pass하지 못해보인다는 말씀의 내용이신거 같네요. iPS세포 다음으로 오 의학에 새로운 진일보가!!해서 기대했는데......
일단 말은 아끼고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