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시절과 눈꼽만큼도 달라진게 없군요.
2014.04.16 22:21
당시의 국민학생 꼬꼬마가 이제는 다 큰 장정이 되서 군복무도 다 마치고 예비군을 뛰는데
여전히 대한민국은 이런 일이 터지네요.
심지어 기레기들의 난동 마저도 그때 그 시절과 한치도 다른게 없습니다.
달라진건 소식을 전달하는 매체가 좀 더 다양해진 정도?
어쩜 그리 사건에서 배운게 없는지 원...
코멘트 11
-
맑은하늘
04.17 13:04
육해공, 구포 열차, 서해 위도, 목포? 아시아나 였나요 ?
카페리 사고 나면, 필리핀인가 보다, 그렇게 생각했는데, 우리나라 정말 ... 부끄럽습니다. 지금 이 순간...
-
산나물
04.17 09:43
사람이 안 변하는 거랑 비슷하죠.. 소득은 높아졌지만 사고방식이나 행동은 그대로죠.. 100년전이나 지금이나
-
그때 참 많은 뒷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청와대에 있던 불상을 치워서 사건 사고가 많이 일어났다라는
이야기가 정말 많이 펴졌습니다.) 그 한해 유난히 사고가 많았던 것은 그동안 곪을데로 곪은게
한꺼번에 터졌나왔다는게 일반적인 의견이고 그 말에 수긍이 가더군요. 그동안의 안전불감증이라던가..
그때 비행기 추락으로 119 응급 구조 체계도 많이 바뀐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지금도 많이 부족한 수준이지요.
-
맑은하늘
04.17 13:05
사람이 동물과 다른이유가 학습 아닐까요 ?
우리나라, 제발 나아지기를 바랍니다.
-
왕초보
04.17 10:55
사고나 사태는 막을 수 없다고 하더라도, 대비하고 구조하고 복구하는 과정에서 얼마나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진행이 되고, 얼마나 배우는가는 대통령과 무관하다고 하기는 쉽지 않을 겁니다.
-
맑은하늘
04.17 13:06
그래서, 돌아가신 어떤 대통령이 생각납니다.
늘 그리운 분, 시스템을 강조했던 분...
-
왕초보
04.17 13:52
저도 그분 얘기란.. ( ")
-
라즈곤
04.17 17:00
문제는 그런 사고 뒤에 엄청난 재난이 왔죠.
아직까지도 후유증이 남은..................................
IMF...
-
김명신
04.17 19:34
마우나 리조트 사건에 이어서 배 침몰까지.....다음에 또 무슨 일이 일어날까봐 두렵습니다.
-
김강욱
04.18 01:03
예측 가능한 사고들.
모든 사고는 그 이전에 경고 법칙이 존재합니다. 디테일하게는 기억이 안나는데 자잘한 수십건의 경고가 있다고 하더군요.
- 철골 뺀 아파트 붕괴. 잘도 방관하고 있죠.
- 군대에서 큰 무기 사고 (이미 자잘한 무기는 많죠. 탈영부터). 단지 규모의 문제 일 뿐. 이것 방관의 문제가 아니라, 짜고 억압.
- 음식물 사고. 대량 사망 사고 예상. 방관중.
- 방사능 사고. 향후 5~10 년 뒤부터 기형아 출산 폭증 예상. 역시나 방관중.
- 폭동. 중산층에서 빈민층으로 떨어진 국민의 수가 폭증하는데 방관중.
- 4대강 댐 붕괴 사건. 댐 하부가 계속 파여가고, 부실 공사로 물이 줄줄 새는데 방관중.
- 전력난 방관중.
- 원자력은 우리나라에서 하나 터질 것으로 예상됨. 어마어마한 비리가 원전에 있는데도 방관중.
당장 생각나는 것만해도 두렵습니다.
시스템이 있어도 불안한 판에, 한국은 모 아니면 도인 국가죠. 한방에 X 될 수 있는 구조.
그때는 배침몰 ,비행기추락?,다리붕괴 ,가스폭발? ,건물붕괴 ,,,육해공으로 난리가 났었죠...근데 그게 대통령때문이겠습니까...우리 사회가 스스로 만든 사고엔트로피가 커져서 결국 그시기에 터진거지요...물론 사고처리미숙은 욕먹어야겠지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