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적으로 이번 해킹 건은...
2011.04.29 10:19
아타리 쇼크와 맞먹을 정도로 저에게 큰 충격입니다.
농협의 경우는 원래 우리나라니까 보안 수준을 감안해서 이해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전부터 전자상거래 쪽으로 이리저리 일을 벌여놓은 경향이 강했던 만큼
생각보다 결과가 강력하지만 일어나게 될 일이 일어났다는 느낌이 더 강합니다.
하지만 소니는요. -_- 일단 규모부터 7700만명으로 역대 최강입니다.
거기다, 우리나라 같이 상대적으로 지갑이 빈약한 유저들의 신용카드 번호가 털린 게 아니라
미국 유럽에 지천으로 깔려 있는 양덕후의 지갑까지 털어버렸으니 털 수 있는 최상의 보호지대가 털린 겁니다.
기술력 어쩌고 하기 전에, 소니가 털렸으면 안털릴만한 회사가 얼마나 있을까요?
소니 턴 해커라면 국내 전산망은 은행만 빼놓고 전부 탈탈 털어낼 수 있는 능력이라는 겁니다.
이렇게 불안정한 전자상거래인데, 한번이라도 카드번호 누가 훔쳐가서 수백만원 질러대면
다신 인터넷 결제를 하고 싶을까요? 이미 두번이나 알 수 없는 경로로 제 신용카드 번호가 털려서
번거롭게 은행 간게 바로 저저번달인데, 앞으로 더욱 빈번하게 카드번호 도난 사례가 일어나면요?
아타리 쇼크는 형편없는 게임으로 인해 시장 자체에 대한 저평가가 일어나면서 30억 규모의 시장이
1년도 안되서 1억 달러로 줄어든 일을 일컫습니다. 그 이후로 한동안 비디오 게임은 "유행 따라 가는 게임"
으로 여겨져서 한물 간 패션 마냥 시장 회복이 굉장히 힘들었죠. 이번 해킹 사태는 저에겐
인터넷 상거래의 안전성에 대한 신뢰도를 급격히 깎아내리는 무시무시한 경험입니다.
만약 앞으로도 이런 사태가 자주 일어나고 대규모 공격이 일상화 된다면, 어떤 사람들은
아예 인터넷을 안하게 되고, 어떤 사람들은 폐쇠형 네트워크나, 인터넷2 같은 새로운
보안이 강화된 네트워크를 원하는 흐름이 생길수도 있다고 봅니다.
시대가 변하면서 패러다임이 변화하면 저 스스로의 행동 원리도 바꿔야 합리적이긴 한데 그래도 무서운 어쩔 수 없네요.
코멘트 7
-
미국이나 아이튠스토어 결재방식을 보면 한국은 그나마 안전한 것일 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공인 인증서나 그 뭐시냐 =_=;; 암호를 요구해서요..
외국 홈페이지에서 한국 카드로 결재할때 크롬으로 하려니까 엑티브 엑스 깔리고 별짓 다하더라고요;;;
-
서버를 턴 거니깐 액티브엑스 나 공인인증서 하고는 상관 없지요....
카드번호 digit 16 과 유효년월일 만 가지고 얼마나 많은 일을 할 수 있는데요... 흑
-
최강산왕
04.29 12:56
본문과 상관 없는 이야기이긴 한데, 전 아타리쇼크에 대해 전부터 좀 궁금한게 있었습니다.
그렇게 갑자기 몰락하는 게 정말 게임이 재미 없어서 인가? 라는 생각이요. 그것도 순식간에...
사실 게임 재미없었던 일은 어제 오늘일도 아니죠.
재미 없는 게임들이 쏟아질 때도 분명 있었고요; 그래도 겉보기에는 그럭저럭 잘나갔었는데, 아타리 처럼 시장장악을 한 회사가 한순간에 그렇게 되다니;;
쓰다보니 알아보고 싶은게 많네요. 제규어라는 게임기에 대해서도 찾아봐야겠습니다. ㅎㅎ
-
김강욱
04.29 12:56
카드로 하려고 해도 엄청난 걸 깔아야 돌아가는 한국은 그 자체가 보안이 되는군요...-_-; 반어법입니다.
-
그래서 제가 이배희 여사님을 영접 못하는 이유일껍니다(영어도 못하면서 핑계죠 ㅋㅋ)
항상 직거래.. ㅋㅋ;;
100원 짜리 물건을 사도 항상 보고 사야되는 성격상 ㅠ_ㅠ
기다리는건 현기증 난단 말이예요 ㅋㅋ;;
-
뭐 뒤북인지도 모르겠습니다만(한국에서들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도 모르지만) 외국에선 일회용 크렛딧 카드 나와 있고 큰 수퍼에서 팔고 있습니다. 일회용으로 한번 충전해서 사용하는 것도 있고 여러번 충전할 수 있는 것도 있죠. 인터넷 전자 상거래가 별로 보안성이 없고 언제든 해킹에 취약하고 개인 사적정보 유출이 가능하다고 보는 가봅니다. 일반 크렛딧 카드는 오프라인 시장에서 단말기를 거치므로 덜 취약하겠죠. 저도 온라인상에선 일회용으로 결재하고 있습니다.
노리면 다 됩니다. 다만 얼마만큼의 시간과 돈을 들일 것인가 하는 것이구요.
매출 최상위 업체는 당연히 늘 노려집니다.....
이걸 막는 방법은... 최대한 느리게 뚫리게 만들고... 최대한 빨리 시도여부를 검출하는 방법으로 가는 것이지요.
그러기위한 인력난인 것 같습니다... 지진에 묻혔습니다만, 여러가지 이슈가 있었지요. 일본의 다른 업체들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