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타고 있어요 ~
2015.08.14 13:42
코멘트 20
-
최강산왕
08.14 14:23
-
푸른솔
08.14 14:32
그건 차라리 애교스럽네요...ㅎㅎ
-
수빈아빠처리짱
08.14 14:26
baby in Car를 초보운전 스티커를 오인식해서 변형하는 경우, 정말 꼴불견입니다.
사실 애들이 타고 있지도 않고..
불법 부착물로 다 벌금스티커 발부 해버리고 싶어진다는...
-
푸른솔
08.14 14:33
저랑 같은 생각이시군요...^^
-
솔직한 심정을 이야기 하면 아이들의 안전을 위해 스스로 안전운전을 해야 하는데
지 멋대로 성질 다 부리고 운전하면서 아이들의 안전을 빌미로 다른 운전자들에게 위협운전 할거라고
당당하게 소리치는것으로 밖에 생각되지 않아요. 그래서 볼때마다 굉장히 아니꼽습니다
-
푸른솔
08.14 16:09
맞습니다.
상대방의 배려를 원한다면 본인도 상대방을 배려하는 자세를 가져야겠지요.
-
박영민
08.14 15:43
저두 한번씩 그런 스티커 부치는 분들 이해가 잘 안갑니다.
자기 아이 태우고 그런식으로 운전을 하면 ....
-
푸른솔
08.14 16:11
진짜로 아이를 태운 상황이라면 억지로라도 이해를 하겠지만 99.9%가 아이의 동승과는 상관없이 부착된 스티커 잖아요.
운전할때마다 항상 아이를 태우고 다니는 것이 아닌데도 거의 데코레이션 처럼 사용되기에 전 별 느낌도 없어요.
-
hyperaesthetic
08.14 16:03
앞에 그런 스티커 부친 차가 있으면 그런가 보다 싶습니다. 너무 많아서 그렇기도 하고 ...
미국서 외국 관광객 탑승이라는 스티커를 가끔 대도시에서 봅니다.
-
푸른솔
08.14 16:15
우리나라에서도 가끔은 25인승 이나 대형 관광버스에 외국 관광객 탑승 중이란 스티커나 작은 간판을 달기는 하지요.
이런 경우는 제가 최대한 할 수 있는 양보를 한다든지 운전 예절을 지키려고 노력합니다만 제가 쓴 본문 글의 경우는 아니예요.
-
예전에 어디선가 본것 같은데 혈액형을 붙인거보고 정말좋은 아이디어다 라고 생각했던적이...
-
푸른솔
08.14 20:43
그런 아이디어는 참신하군요.^^ -
레이싱의 경우에 드라이버의 혈액형을 적어 놓는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만~ 가물가물 하네요. ^^
-
푸른솔
08.18 08:45
그건 꼭 필요 하겠습니다. -
purity
08.14 20:37
아기가 타고 있어요(Baby on Board)가 쓰인 계기로 본문에 적으신 내용이 전파되어 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닙니다. 대표적인 2가지 위키의 내용을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나무위키 : [4] 원래는 사고시 아기의 탑승을 구조요원에 알려 주의를 환기시키기 위한 문구였다는 도시전설이 있으나 ( 기사조차 있다!) 근거 없는 뜬소문. 해당 문구 (영어로 Baby on board)는 1984년 1월 미국의 Safety 1st Corporation에서 최초로 상업적 목적으로 사용한 것으로, 해당 회사의 창립자 Michael Lerner는 자신의 조카를 차에 태우고 운전하던 중 이 문구를 상업적으로 사용할 아이디어를 얻었다고 밝혔다.
- Wikipedia : (요약하면 나무위키의 내용과 같이 사실을 설명하고 도시전설로 항간에 떠도는 이야기가 있다는 내용입니다)
History and popular use[edit]
First marketed in September 1984 by Safety 1st Corporation, the sign became a ubiquitous fad, flourishing in 1985. Its use in the US rapidly declined in 1986[1] as parody imitations with lines like "Baby I'm Bored", "Pit Bull on board", and "Mother-In-Law in Trunk" became popular, although its popularity continues in the United Kingdom (along with other versions such as "Princess on board" and "Little Person on board"), in Italy and in Japan (usually saying "Baby in Car", with the sign written in either English or Japanese script) well into the 21st century. The original parent company diversified into infant and child care products.[citation needed]
Despite waning in popularity, the signs have entered the American lexicon. In 1993, The Simpsons episode "Homer's Barbershop Quartet" featured a barbershop quartet tune called "Baby on Board". The song was written by Homer Simpson in a flashback to 1985 when Marge bought a sign, hoping it would stop people from "intentionally ramming our car".
Following popular request and trials in 2005,[2] Transport for London (TfL) began issuing badges with the TfL logo and the words "Baby on board!" to pregnant women travelling on the London Underground, to help other passengers identify pregnant commuters who would like to be offered a seat.[3]
Urban legend[edit]
An urban legend claims that the death of a baby led to the creation of the signs. According to snopes.com, there is no truth to this claim.[4] The founder of Safety 1st, Michael Lerner, was inspired in 1984 when he had to drive his baby nephew home in busy traffic and other vehicles were aggressively passing him.[5] He claimed to have heard about similar signs in Europe, when in fact, he entered into a partnership with Patricia and Helen Bradley of Medford, Massachusetts, to market the signs. The Bradleys had been trying to market the signs since Patricia brought them back from Germany, where her husband was stationed. Lerner eventually bought PHOB, the company set up by the Bradleys (for approximately US$150,000), and changed the name to Safety 1st.
그럼 이만~ ==333
-
푸른솔
08.14 20:44
오... 잘 배우고 갑니다. 영어로 올리신 패러디 부분이 재미있군요.^^ -
왕초보
08.18 01:18
사실 더 황당한 것이 '장애자' 표지죠. 장애자가 차에 타고 있어야 효력이 있는데, 그냥 벼슬인 것 처럼 사용하고 다니니까요.
-
푸른솔
08.18 08:46
동감입니다. 혹시 미국에서는 어떤가요? -
왕초보
08.18 08:46
미쿡도 똑같아요. -_-;;
-
푸른솔
08.18 08:50
헐~
저는 호주에서
Blonde inside라는 걸, intel inside 로고 모양으로 만들어서 붙이고 다니는 여자를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