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방송 전환에 관련한 도움을 구합니다.
2011.09.23 11:03
요즘 들어서 디지털방송으로 전환한다고 후속조치<?>를 하라는 안내전화를 많이 받습니다.
현재 집에서는 PDP티비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제가 사용하는 티비도 디지털방송이 시작되면 사용을 못하는건가요?
디지털방송을 볼려면 셋톱박스(정확한지는 모르겠습니다.^^;;;)가 필요하다고 했던것 같습니다.
지금 행사할때 설치비를 무료로해줄테니 설치하라고들 합니다.
제가 궁금한건.. 셋톱박스<?>를 놓치 않으면 정규방송만 볼 수있고 유선은 못보는건지..
아니면 아예 모든 방송을 못 보는것인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셋톱박스(?)를 설치해야하는것인지요?
아니면 설치하지 않아도 지금처럼 정규,유선을 보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없는것인가요?
이런 부분에 잘 몰라서 판단을 하기가 힘드네요..
혹 셋톱박스를 설치해야하는것이라면 지금 행사할때 미리 신청할까 싶기도해서요..
혹 잘 알고 계시는분께 도움을 구합니다.
혹 설치해야 한다면 설치할때 노하우<?>도 알려주시면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코멘트 6
-
남자
09.26 00:47
모델은 엑스캔버스 보보스 시리즈 50PQ60D 입니다.
2009년4월경에 구매하였습니다.
-
iris
09.23 11:53
천만의 말씀, 만만의 콩떡입니다. 지레 겁을 먹으면 쓰지 말아야 할 돈을 씁니다.
국내에서 팔리는 PDP라는 넘이면 99.9% 그 안에 HDTV 튜너가 들어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TV 전환은 'NTSC'를 'ATSC'로 전환하는 것입니다. 우리나라의 HDTV 규격은 ATSC입니다. 즉, 방송 전환이 되건 말건 그대로 쓰면 됩니다.
다만 ATSC 규격 방송 신호는 음영지역이 많아 일반 실내 안테나나 공청 안테나로 더 잘 안잡히는 문제가 있습니다. 종전에 이렇게 TV를 보셨다면 방송이 잘 안잡힐 수 있습니다. 이 때는 강한 외부 안테나를 따로 공사를 하여 달거나, 최악의 경우 케이블TV의 HDTV 재송신 서비스에 가입해야 합니다.
케이블TV의 HDTV 서비스도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하나는 공중파 방송만 HD 규격인 것, 다른 하나는 다른 방송까지 HD 규격인 것입니다. 후자가 가격은 더 비쌉니다.
-
남자
09.26 00:48
그렇다면 제 같은 경우는 케이블 회사에서 권유하는 기계를 설치하지 않고도
디지털방송이 전환되어도 TV시청하는데는 아무런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이해하도 되는 겁니까?^^;;;
-
iris
09.26 11:35
'하드웨어'적으로는 그렇습니다. 다만 그렇다고 해도 셋톱박스가 없어도 되는 것은 아닙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셋톱박스가 필요합니다.
- IPTV
- 위성 TV(KT 스카이라이프)
- 케이블TV의 PVR, VOD를 이용하는 경우
- 기타 셋톱박스 없이는 시청이 불가능한 방송 서비스를 가입한 경우
-
남자
09.27 12:59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디지털로 전환되려면 일년도 넘게 남았습니다.
근데 그 전화이란게 공중파만 해당됨. 그러니 공중파만 보신다면 디지털셋탑박스란걸 TV에 연결해줘야합니다.
이런거 http://blog.danawa.com/prod/?section_m=PC&prod_c=1322687&cate_c1=149&cate_c2=492&cate_c3=493&cate_c4=0
유선방송본다면 유선방송사는 공중파 디지털 전화해도 계속 아날로그(디지털을 아날로그로 변환시켜서)와 디지털 둘 다 보냅니다.
공중파만 보시면 별도로 셋탑박스 구매하세요.
유선보고 있는데 그런전화 받았다구요? '앞으로 일반전화 모두 없어지니깐 휴대폰사세요'라고 말하는거랑 같습니다.
뉴스찾아보면 알겠지만 "....아날로그 TV의 디지털 전환을 1년 정도를 앞두고 최근 유선방송사업자들이 올바른 설명없이, 무조건 디지털 전환가입을 유도해 물의를 일으키고 있다." 딱 이경우네요
그리고 PDP디지털수신장치가 내장되었을 수 있으니 그땐 셋탑박스도 필요없죠. 가능하다면 제품명을 올려주세요.